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Online Real-time Constuctivist Practical Trainings in an IT Company

IT 기업의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 기반 실시간 온라인 실습 교육 효과 분석

  • 안슬기 (현대오토에버 인재성장문화팀) ;
  • 이명근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24.02.21
  • Accepted : 2024.03.26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seems to have been impossible to run offline training courses. To overcome this situation, online training courses has been emerged. Just m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offline to online instead of re-designing the curriculum, however, is not effective for trainees.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curriculum based on constructivist appoach which gives trainees experience on skills and knowledge about their job. As for re-designing the curriculum into real-time onlin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satisfaction and work efficacy of trainees may have been increased. From these results, HRD professionals in an IT company should need to consider how to structure the curriculum when they design the real-time online practical learning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2003).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2. 교육부(2020).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기준안. 교육부 보도자료(2020. 3).
  3. 김천호(2000).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청구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4. 문철우.김재현(2011).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3), 63-72.
  5. 박대범.구자원(2018).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7(3), 1-25.
  6. 박여진(2022). 대학 실시간 화상 강좌의 성과 영향요인 규명 및 영향력 분석. 석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7. 박인우(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2), 81-99.
  8. 배윤희(2007). 실천학습에서 학습 소모임의 특성에 따른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산업대학교
  9. 손혜숙.진설아(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문화와 융합, 43(2), 15-34.
  10. 신동윤(2022). 미국 내 재택근무의 현황과 시사점. 노동법논총, 56, 259-292.
  11. 유일.김재전.조영만(2003). 웹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 L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5(1), 33-48.
  12. 이상훈.정보영(2021). 코로나19와 일터환경: 재택근무에 대한 국내언론보도기사 분석. Hrd연구, 23(1), 145-175. https://doi.org/10.18211/KJHRDQ.2021.23.1.006
  13. 이옥화(2002). 대학 및 대학원에서의 Cyber교육의 제도적 정비방안 - 정원 및 학위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지원 연구결과보고서.
  14. 임명진(2020). 실습 교과목 운영을 위한 쌍방향 비대면 교육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15. 임연욱.이옥화(2008).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열린교육연구, 16(2), 177- 200.
  16. 정경수.김경준(2006).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15(2), 1-29.
  17. 조은순(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93-713.
  18. 진주완(2021). 구성주의 교육방식을 이용한 BIM/IPD협업교육체계. 박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9. 최용훈(2011).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1), 141-144.
  20. 한지윤.조일현(2012).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만족도가 직무 효능감 및 직무 몰입 변화를 매개로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4(2), 261-276
  21. Bednar, A. K. et al.(1991). Theory into practice : How do we link? Libraries Unl.
  22. Cunningham, D. J.(1991). Assess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assessments : A dialogu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 13-17.
  23. Gist, M. E.(1987).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472-485. https://doi.org/10.2307/258514
  24. Kirkpatrick, D. L.(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2nd Edition. Berrett-Koehler.
  25. Laurillard, D.(2002). Rethinking university teaching: A framework for the effectiv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2nd ed.). Routledge Falmer.
  26. Lebow, D.(1993). Constructivist values for systems design : Five principles toward a new mindset. ETR&D, 41(3), 4-16. https://doi.org/10.1007/BF02297354
  27. Newby, T. J. et al.(2006).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공학 (3판) (노석준 외 역). 학지사.
  28. Osipow, S. H., & Rooney, R. A.(1992). Task-specific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ototyp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0, 14-32. https://doi.org/10.1016/0001-8791(92)90044-Z
  29. Perkins, D(1991). Technology meets constructivism. Educational Technology, 31(5). 18-23.
  30. Phillips, J. J., & Stone, R. D.(2002). How to measure training results: A practical guide to tracking the six key indicators. McGraw Hill.
  31. Speier, C. & Frese, M.(1997). Generalized self-efficacy as a mediator and moderator between control and complexity at work and personal initiative: A longitudinal field study in east Germany. Human Performance, 10(2), 171-192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2_7
  32. Spiro, R. J. et al.(1992). Cognitive flexibility, constructivism, and hypertext: Random access instruction for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n ill-structured domains. In T. Duffy & D. Jonassen(Eds.),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 A convers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Steffe, L. P., & Gale, J. E.(1995). 교육과 구성주의 : 교육공학의 인식론적 기반 (이명근 역).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