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rk & Life Balance and Conflict among Employees : Work-life Balance Effect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2.27
  • Accepted : 2024.03.21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Recently, with the MZ generation's entry into society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emale population,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workplace groups that value WLB and existing groups that emphasize collaboration due to differences in work orient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utiliz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s show differences in job Commitm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activation of the support syst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WLB support system actually operated by the company and present universally valid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for work-life balance and to find practical consensus amid changes in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level and job immersion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verify the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s for WLB operation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a 2X2 matrix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n job commitment, and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nflict-type group members, secon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leading group members, thir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agreeable group members, and fourth,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operative group members. To conduct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days from October 23 to 31, 2023, and 163 people responded,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a valid sample of 152 people, excluding 11 copies that were insincere responses or gave up midway. As a result of the study's hypothesis testing, first, the conflict type group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1.43. Second, the proactiv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4.54. Third, the conformity group showed a slightly low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2.58. Fourth, the cooperative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3.80.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subdivides employees' personalities into factors based o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nature of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WLB support systems oper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by grouping them.

최근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던 기존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업무성격과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성화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WLB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생활 균형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MZ세대의 직장에 대한 이상적 가치관과 부합하며, 융통성 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또한,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Working Mom)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는 기존 직장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및 조직은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과 업무성격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공공기관 및 중견·대기업에서 실제 운영 중인 WLB를 위한 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편타당한 WLB 지원제도의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로환경에 대한 정책과 인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무적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 및 업무성격에 따른 직무몰입 영향을 분석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운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상호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2x2 매트릭스 모형으로 구성하여 상호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갈등형, 주도형, 동조형, 협동형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협업 지향적인 갈등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입장의 협업을 강조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를 도입하는데 제한된 입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개인 지향적인 주도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사회진출 및 여성인구의 고용률 증가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WLB 수준과 부합할 때 직무몰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며,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적절한 활용이 가능함이 검증 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을 요인으로 구성원의 성격을 세분화한 것이며, 실무적 시사점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에서 운영중인 WLB 지원 제도를 그룹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한 조직이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설정하고,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와 업무성격을 세분화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란, 배노조, 정지영 (2006). 경영의 새 화두: 일과 생활의 균형. 삼성경영연구소 CEO Information, 558, 1-21.
  2. 김석영.이수진.박은경.손승연.윤석화.박희태(2012). 일-가정 갈등이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6(3), 103-133.
  3. 김지현 (2021). 유연근무제도 사용이 기혼여성 관리자의 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사회보장연구, 37(3), 5-40.
  4. 박상언.최민오(2013). 가정친화제도의 효과성과 직장: 가정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경영학연구, 42(2), 355-381.
  5. 박원철(2012).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정민, 윤영채 (2018).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3), 21-38.
  7. 김종순 (2019). 집단지성이 공공기관 팀 성과와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양성과 협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환 (2015). 유연근무제의 도입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5.
  9. 방진아(2021). 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방진아 (2022).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 유연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설승환 (2014). 일 생활 균형(WLB)을 위한 지원제도와 지원분위기가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 지원과 배우자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영미, 박정열 (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13.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14. 윤병훈.최응렬 (2014). 경찰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3(1), 92-114.
  15. 윤홍식 (2006).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06~2010의 평가와 전망. 젠더리뷰, 1(-), 24-33.
  16. 이선경, 이춘우, 김상순 (2014).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 관리연구, 21(5), 245-262.
  17. 이수연, 김효선(2017). 인지된 유연근무제 활성화가 조직성과와 일가족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형평적 문화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3), 1-18.
  18. 이유덕.송광선(2009). 가족친화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조화,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213-236.
  19. 이혜정, 유규창 (2012).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80(1), 37-79.
  20. 정미주, 임상호 (2016).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1(2), 41-47.
  21. 정영금(2005). 기혼취업영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3-122.
  22. 최수형, 강희경, 안나 (2015). 동료에 대한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2(1), 147-169.
  23. 최슬기(2020). 스마트워크의 조직과 개인의 만족도와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한영선, 정영금 (2014).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25. 홍병윤(2017).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Ashforth, B. E., Schinoff, B. S., & Rogers, K. M. (2016). I identify with her, I identify with him: Unpacking the dynamics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1(1), 28-60.
  27. Austin, J. E. (2000).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nonprofits and businesse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29(1_suppl), 69-97.
  28. Aziri, B. (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77-86.
  29. Beauregard, T. A., & Henry, L. C. (2009). Making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9(1), 9-22.
  30. Clark S. C.(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31. Estes, S. B., & Michael, J. (2005). Sloan Network Encyclopedia Entry.
  32. Galinsky, E., Friedman, D. E., & Hernandez, C. A. (1991).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 programs. Families and Work institute.
  33. Glass, J, L., & Finley, A. (2002). Coverage and effectiveness of family -responsive workplace poli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3), 313-337.
  34. Guest D. E.(2002). Human resource management, corporate performance and employee well-being: building the worker into HRM.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44(3), 335-58.
  35. Jenni, R. W., & Mauriel, J. (2004).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reality or rhetoric?.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7(2), 181-195.
  36. Kinsella-Meier, M. A., & Gala, N. M. (2016). Collaboration: Definitions and Explorations of an Essential Partnership. Odyssey: New Directions in Deaf Education, 17, 4-9.
  37. Kossek E. E.(2016). Managing work-life boundaries in the digital age. Organizational Dynamic, 45(3), 258-270.
  38. Lambert, S. J. (1990).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 relations, 43(3), 239-257.
  39. Leonard, P. E., & Leonard, L. J. (2001). The collaborative prescription: Remedy or reveri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4(4), 383-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