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actitioners on Innovative Behavior via Job Satisfaction : A Comparison between Manufacturing and ICT Industries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 최민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Received : 2024.02.15
  • Accepted : 2024.03.19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R&D practition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ies. To accomplish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s and collected data from 209 respondents. We emplo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0.0 software to analyze the data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in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and natural reward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urth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with manufacturing sector having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ICT sector. La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dicate tha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a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significantly influences, show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However, in the ICT sector, no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were observed for any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ese research findings highlight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of action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ulture towards promoting leadership, job design,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김문중(2019),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33(6), 229-258.
  2. 강민주(2017), 연구개발직군의 학습접근방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고득영, 유태용(2012),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성격과 조직혁신풍토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5(1), 215-238.
  4. 김도현(2023), ICT 대기업 연구개발인력의 혁신행동과 상사의 진성리더십, 직무자율성 및 직무재창조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남환(2019). 학습조직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학습지향성과 LMX 매개 효과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동원, 홍재범(2023), 경영컨설턴트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5(2), 713-724.
  7. 김미라(2013), 연구개발 종사자의 지식경영활동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성 수용정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선희(2023), 소재,부품,장비 제조업과 오프라인,온라인 유통업의 중소기업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영희, 이윤미(2009),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1(4), 1939-1951.
  10. 김유찬(2015), 제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특성과 조직지원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찬(2018), 제조업 연구개발 직군의 학습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업무몰입의 매개효과와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4), 103-131.
  12. 김현종(2019), IT연구개발 인력의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추구행동 동기의조절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해룡, 김쌍언(2008), 개발문화 특성이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53, 249-276.
  14. 래명린(2023), MZ세대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맹채연(2021), 제조업 연구개발(R&D) 구성원의 직무도전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명호, 황찬규(2023), 베트남 금형관련 업체 종사자들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인문사회21, 14(2), 1401-1416.
  17. 명호(2023), 한국과 베트남의 금형기업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문은혜(2016), 제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특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대석(2010),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시장지향성, 직무만족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주상(2023),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지, 20(4), 35-52.
  21. 박춘렬(2023), 간호사의 행복감, 셀프리더십, 간호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송정수, 양필석(2008),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1), 223-246.
  23. 신승용(2017), 연구개발팀의 R&D역량이 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유민희(2014), 평생교육강사의 관계지향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20(1), 1-31.
  25. 이수진, 이진구(2020), 셀프리더십, 조직지원인식, 긍정심리자본,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개발관계 종사자를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2(2), 77-103.
  26. 이재하(2003), 사내 연구개발부문 핵심인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인식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9, 167-177.
  27. 이종법(1995),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서화(2012), R&D 조직의 조직성과 결정요인 분석: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조경아(2019),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10), 1197-1212.
  30. 최인선, 주은지(2022),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3(2), 659-674.
  31. 최정환(2003), 호텔기업의 조직특성에 따른 시장지향성과 서비스 가치, 직무만족, 마케팅 성과의 구조적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허수영(2022), 변혁적 리더십이 연구개발 (R&D) 인력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홍아정, 박규미, 강민주 (2017), 연구개발 종사자의 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접근방식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9(3), 1-26.
  34.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35. Manz, C. C. & Sims, H. P. (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61-367.
  36. Manz, C. C. & Sims, H. P. (1987). Leading workers to lead themselves : The external leadership of self-managing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06-129.
  37. McCormick, E. J. and J. Tiffin. (1974),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8. Porter, L. W. and R. M. Steer (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 151-76.
  39. Scott, S. G., &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 Manag, J. 37, 580-607.
  40. Smith, D. M. and EdD, RN, (1995), Job Satisfaction, Productive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Leadership,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5(9),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