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Epistemic Characteristics of Using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Inquiries about Noise Conduct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the Cases of Science Inquiry Reports

소음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탐구에서 나타나는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 활용의 인식적 특징 비교 - 과학탐구 보고서 사례를 중심으로 -

  • Chang, Jina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 Na, Jiye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장진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국립교육원) ;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23.12.26
  • Accepted : 2024.01.10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nd conducts an in-depth comparison of the epistemic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data types utilized in the science inquirie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noise as a risk in everyday life. Focusing on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the context of science inquiries about noise, we examined how these data types differ in science inquires in terms of inquiry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The findings reveal that sensor-based primary data enable direct measurement and observation of key phenomena. Conversely, secondary data rely on predetermined measurement methods within a public data system. These differences require different epistemic considerations during the inquiry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cerning teaching approaches for science inquiries, teacher education for inquiry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isk response competencies in preparation for the VUCA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nd Ambiguity) era.

이 연구에서는 생활 속 위험 문제 중 하나인 '소음'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수행한 과학탐구 사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활용에서 나타나는 인식적 특징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소음에 대한 탐구 보고서를 수집하고, 탐구 보고서에서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가 어떻게 과학탐구에 활용되는지,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탐구 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센서 기반의 1차 데이터는 핵심 현상을 측정하고 관찰하는 주체가 탐구자 자신이지만, 2차 데이터는 공공 기관에서 이미 측정 대상과 방법을 결정하여 데이터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은 공공 데이터의 특징을 먼저 조사하고 탐구 목적에 맞게 선별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탐구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식적 고려 사항과 방식이 서로 달랐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과학탐구 교수학습 및 탐구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그리고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극대화될 VUCA 시대를 대비한 위험 대응 역량 교육의 측면에서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8439).

References

  1. 고유미, 여상인(2011).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발견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성향, 과학 탐구 능력 비교. 초등과학교육, 30(4), 624-633.
  2.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의 신구 대비표. 세종: 교육부.
  3.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4. 김동렬(2014). 초등 예비교사들이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 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33(2), 306-321.
  5. 맹승호(2023).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 증거-설명 연속선의 관점. 초등과학교육, 42(1), 109-126.
  6. 백성혜, 손수희(2014). 중학교 1학년 상태변화 실험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논증구조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197-20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197
  7. 박희제(2014). 울리히 벡의 기술위험 거버넌스 전망과 한국의 사회학, 사회사상과 문화, 30, 83-120.
  8. 손미현, 정대홍(2020).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6), 657-67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57
  9. 이은선, 정은영(2016). 중등 예비 과학 교사의 자유 탐구 수행 능력 분석. 교사교육연구, 55(4), 501-511.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501
  10. 이봉우, 임명선(2010).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39-751.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6.739
  11. 장진아, 임인숙, 박준형(2021).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5(2), 201-218.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01
  12. 장진아, 전영석(2010).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 특성 및 지속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9(2), 207-218.
  13. 전승준, 곽영순, 고훈영, 이영식, 최성연(2017). 미래 사회 한국인의 과학소양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41-4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41
  14. 정수연, 정은영(2018).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 비교. 과학영재교육, 10(3), 171-185.
  15. 정인진, 박경애(2022). 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 현장과학교육, 16(4), 518-535. https://doi.org/10.15737/SSJ.16.4.202210.518
  16. 조광래(2018).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성찰적 근대화]의 재해석. 시큐리티 연구, 57, 277-301.
  17. Ajayi, V. O. (2017). Primary sources of data and secondary sources of data. Benue State University, 1(1), 1-6.
  18. Christensen, C. (2009). Risk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205-223. https://doi.org/10.1080/03057260903142293
  19. Delen, I., & Krajcik, J. (2015). What do students' explanations look like when they use second-han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2), 1953-197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5.1058989
  20. Duschl, R. A. (2000). Making the nature of science explicit. In R. Millar, J. Osborne and J. Leach (Eds), Im 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Open University Press.
  21. Duschl, R. (2008). Science education in three-part harmony: 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2(1), 268-291. https://doi.org/10.3102/0091732X07309371
  22. Duschl, R., Avraamidou, L., & Azevedo, N. H. (2021). Data-texts in the sciences: The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Science & Education, 30(5), 1159-1181. https://doi.org/10.1007/s11191-021-00225-y
  23. Griffis, K., Thadani, V., & Wise, J. (2008). Making authentic data accessible: The sensing the environment inquiry module.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2(3), 119-122. https://doi.org/10.1080/00219266.2008.9656124
  24. Hagop, A. Y. (2018). Scientific literacy for democratic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3), 308-327. https://doi.org/10.1080/09500693.2017.1420266
  25. Kerlin, S. C., McDonald, S. P., & Kelly, G. J. (2010). Complexity of secondary scientific data sources and students' argumentative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9), 1207-1225. https://doi.org/10.1080/09500690902995632
  26.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7. Qin, J., & D'Ignazio, J. (2010). Teaching metadata as a key ingredient in developing science data literacy. Journal of Library Metadata, 10(2-3), 188-204. https://doi.org/10.1080/19386389.2010.506379
  28. Sandoval, W. A. (2003).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1), 5-5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201_2
  29. Zint, M., & Peyton, R. B. (2001). Improving risk education in grades 6-12: A needs assessment of Michigan, Ohio, and Wisconsin science teacher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2), 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