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After School Care Services in the Child Welfare System

아동복지제도 방과 후 돌봄서비스에 관한 연구

  • 김연자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현승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4.01.02
  • Accepted : 2024.01.16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child care gaps has arisen due to the expansion of women's entry into the workforce and the increase in working couples, and the care cliff phenomenon after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causes of women's career disconnection and low birth rates, and child care services have been initiated to solve care problems and balance work and family. The importance of childcare services to the safety and well-being of children has been highlighted by the restrictions on school attendance and the absence of caregiv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government has been making policy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child care, but problems with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child care system have arisen due to unstable target selection and delivery systems by ministries and projects in the implementation of child c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ild care services implemented by each ministry to reduce the blind spots of after-school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and prepare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various delivery systems, and seek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care services.

본 연구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아동 돌봄 공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이후의 돌봄 절벽 현상이 여성의 경력 단절을 심화하고 저출산의 원인 중 하나로 밝혀지며 돌봄 문제 해결과 일·가정의 양립을 위한 아동 돌봄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의 등교 제한과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아동의 안전과 복지에 돌봄서비스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정부는 정책적 노력을 통해 아동 돌봄 공백을 줄이기 위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돌봄서비스 시행에 있어서 부처별·사업별로 대상자 선정과 전달체계의 불안정으로 인한 돌봄 제도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통합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각 부처에서 시행하는 돌봄서비스를 살펴보고, 아동 돌봄서비스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준성.이희현(2019).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범정부 공동 수요조사 개선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6(4). pp107-130.
  2. 최은지(2020.10.15.). 라면 화재 형제는 돌봄 공백 문제. 교육복지사 늘려야. 연합뉴스.
  3. 홍나미.정익중(2019).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시론. 사회복지연구, 50(3). pp5-31. https://doi.org/10.16999/KASWS.2019.50.3.5
  4. 김주리.최혜진.강지원(2021). 초등 방과 후 돌봄서비스 이용 유형이 돌봄 공백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1(2). pp178-197. https://doi.org/10.15709/HSWR.2021.41.2.178
  5. 강지원.최혜진.임완섭.황안나.안영.조동훈.김우성(2020).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정적 지출 관리 방안 연구-방과 후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51.
  6. 한국교육개발원(2018).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별책 초등돌봄교실 운영 가이 드라인.
  7. 김은정.장수정.정영모.오신휘(2019). 초등아동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공급체계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45.
  8. 정익중.오정수(2021). 아동복지론. 학지사.
  9. 임지선(2020). 돌봄 추첨 뒤 위경련이 왔다. 한겨21, 제 1300호.
  10. 김정란.최지훈(2014,). 「광주지역 초등자녀 돌봄서비스 효율화 방안 연구」, 광주여성재단.
  11. 이주연.조경욱.최지훈(2021). 「전북지역 기반 아동돌봄공동체 모델 개발」, 전북: 전북연구원.
  12. 유해미(2018). 저출산 분야 자녀 돌봄 지원의 생애주기별 정합성 진단 및 향후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13. 이미영.전희(2018). 여성 임파워먼트를 위한 여성 노동, 돌봄과 법적 관계. 입법학연구, 15(1), 235-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