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Transfer of Learn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Work-Learning Dual System of Engineering Students - Mediated by Self-efficacy

공학계열 일학습병행제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전이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 Kim, Changhwan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 김창환 (영남이공대학교 스마트융합기계계열)
  • Received : 2023.12.26
  • Accepted : 2024.01.08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that allows both workers and organizations to coexist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immersion of engineering students.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Firstly, self-esteem and transfer of learning were influential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self-esteem and transfer of learning were influencing factors of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was an influential factor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self-efficacy appeared as a mediating effect on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in learning transf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for various factors that can increase self-efficacy, and to fi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 highly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while studying at the same time.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숙.방은령(2014).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4), 443-467.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1
  2. 강원석.김우철(2019). 일학습병해제 학습근로자의 교육훈련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 14(1), 53-86.
  3. 고용노동부(2023). Retrieved December 22, 2023. from https://www.moel.go.kr/policy/policyinfo/young/list4.do.
  4. 공민영.김진모(2008).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도, 학습과의 관계.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40(3), 223-246. https://doi.org/10.23840/AGEHRD.2008.40.3.223
  5. 김대영.이민영(2023). 일터 교수.학습 경험과 경력개발 효과성: 일학습병행 참여자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26(1), 1-33.
  6. 김득만(2018). 평생직업교육학원의 바리스타교육이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7.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8. 김주섭(2020). 대학생들의 취업불안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 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1021-1040.
  9. 김필 외(2020).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8(1), 73-108.
  10. 김현경(2020). 대학생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생활태도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2), 105-115.
  11. 김혜영 외(2012). 치과위생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12(1), 213-223.
  12. 남궁승은 외(2022). 기업 이러닝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와 학습지원환경의 조절효과. 기업과혁신연구, 45(2), 127-148. https://doi.org/10.22778/JCI.2022.45.2.127
  13. 남기찬.임효창.황국재(2002). 온라인(on-line)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27(1), 75-94.
  14. 문영숙.한수정(2011).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72-79.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72
  15. 박광표.김동철(2017). 장애인근로자의 종사상 지위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비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7(1), 29-55.
  16. 박종철.윤용보(2013). 호텔종사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7(3), 327-347.
  17. 부기철.윤종록.임준현(2015). 일학습병행제 사례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5(4), 179-192.
  18. 신기식.강민정(2023). 일학습병행제 참여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즈니스융복합연구, 8(1), 83-90.
  19. 안상숙.이보람.노성향(2023). 50 세 이상 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 경험, 학습 동기, 학습 실천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 1-19.
  20. 윤정혜(2015).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5(2), 29-46. https://doi.org/10.35273/JEC.2015.5.2.002
  21. 이경민(2020). 취업준비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전공과 타전공 간에 비교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22. 이정욱.김진모(2012).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성과와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및 조직몰입의 인과관계. 산업교육연구, 24, 21-48.
  23. 장명희.박지영(2019). 선취업 후학습 여대생의 학업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상업계열직업계고 졸업자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0(4), 57-80.
  24. 장은주.임효창(2001). 비서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웹기반 교육훈련(web-based training)의 효과성 모형 도출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10(2), 21-36.
  25. 전성중.김찬중(2023).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이직 결정요인의 탐색적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3(2), 283-298.
  26. 최규환 외(2014).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목입,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6(8), 451-469.
  27. 한국산업인력공단(2023). Retrieved December 22, 2023 https://www.hrdkorea.or.kr/1/1/2/5
  28. Bandura, A.(1997). The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29. Calantone, R. J. et al.(2002). Learning orientation,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1(6), 515-524. https://doi.org/10.1016/S0019-8501(01)00203-6
  30. Cannon-Bowers, J. A. et al.(1997), A framework for developing team performance measures in training. In Team performance assessment and measurement. Psychology Press.
  31. Chiu, R. K., & Francesco, A. M.(2003). Dispositional Traits and Turnover Intention: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4(3), 284-298.
  32. Dunham, R. B. et al.(1994).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Utility of an Integrative Defini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3), 370-382. https://doi.org/10.1037/0021-9010.79.3.370
  33. Meyer, J. P. & Allen, N. J.(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61-89.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34. Meyer, J. P. et al.(1993).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4), 538-551. https://doi.org/10.1037/0021-9010.78.4.538
  35. Oliver, N.(1990). Rewards, investment, alternativ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ir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develop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9-31.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7.x
  36. Orth, U. & Robins, R. W.(2022). Is high self-esteem beneficial? Revisiting a classic question. American Psychologist, 77(1), 5-17. https://doi.org/10.1037/amp0000922
  37. Waddington, J.(2023). Self-efficacy. ELT Jounal, 77(2), 237-240. https://doi.org/10.1093/elt/ccac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