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물리치료사는 환자를 치료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과도한 신체의 접촉과 힘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문제로 인한 통증 발생 위험이 큰 집단 중 하나이다(Kwon & Cho, 2021). 업무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관련성 질환을 작업 관련 근육뼈대계 질환이라 하며(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MSDs) 작업 관련 근육뼈대계 질환은 충분하지 못한 휴식시간, 과도한 업무량 등으로 인해 신경 및 근육뼈대계에 피로와 손상이 누적되며 팔과 허리, 골반, 다리에 부종과 통증, 감각 이상 등을 일으키는 질환이다(Kee, 2023). 특히 물리치료사들은 환자를 이동시키고 계속 움직이며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근무 환경 때문에 허리통증, 다리 통증 등 근육뼈대계 질환 발생율이 다른 직종에 비해 병원종사자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임상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의 근육뼈대계 문제를 연구한 선행연구에서 연구대상자 중 94.2 %가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 중 뿐 만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2020). 물리치료사의 근육뼈대계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반복적인 동일작업 수행, 환자의 운반 및 이동, 과도한 근무시간 등을 들 수 있으며(Campo 등, 2008), 선행연구에서는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근무환경은 순환의 장애를 발생시켜 다리의 부종과 통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고 보고하였다(Choi, 2015). 물리치료사의 다리부종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족욕, 마사지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 외에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는 림프마사지(manual lymph drainage; MLD)가 있다. 림프마사지는 부종의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마사지기법 중 하나이며 치료사의 두 손을 사용하여 정체된 림프액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Eum 등, 2017). 림프마사지는 림프관의 운동능력을 증가시켜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 내부의 노폐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림프마사지는 주로 암, 정맥류 수술 등 수술 후 발생되는 부종과 장시간 서 있어야 하는 직업군인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의 다리부종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Kim, 2010).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 근육뼈대계 질환이나 통증에 관한 선행연구와(Kim 등, 2020) 같은 병원 근무 종사 직종인 간호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다리마사지의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Oh & Yoon, 2008)는 존재하였으나,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중재를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질환인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해 림프마사지 중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다리 림프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고, 나아가 물리치료사뿐만 아니라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 시 다리 림프마사지의 적용이 치료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고려사항으로 적합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에 참여하기 전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고, 이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병원 물리치료실에서 하루 8시간 이상 근무하며 1년 이상 근무한 남녀 20~40대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제외 기준으로는 최소 6개월 이내 다리에 개방성 상처가 있는 자, 다리에 피부질환이 있는 자, 근육뼈대계 및 혈관계, 내분비계 등의 건강문제가 있는 자, 그리고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을 정도의 기저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2024년 8월 경성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KSU-24-06-007) 후 실시하였고, 연구 기간은 2024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4주에 걸쳐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모든 과정은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Kim & An, 2023).
2. 연구 설계
본 연구의 설계는 다음과 같다(Fig 1).
Fig 1. Diagram of experimental design
3. 측정 도구 및 방법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해 다리 림프마사지 적용 전 스마트 줄자(M90026 smart tapeline, Atflee, China)와 VAS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4주 동안 총 20회 매일 10분 동안 적용 후 다리 둘레의 차이와 통증의 정도를 스마트줄자와 VAS를 이용하여 중재 전과 후를 재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서 제시하는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측정법을 토대로 하여 다리의 부위별 그리고 위치별 6부위의 둘레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수치화할 수 있는 스마트 줄자(M90026 smart tapeline, Atflee, China)를 사용하였다(Lee 등, 2012)(Fig 2). 측정다리의 6 부위는 part 1= 발등, part 2= 발목, part 3= 발목위 5 ㎝, part 4= 종아리, part 5= 무릎 위 5 ㎝, part 6= 무릎 위 20 ㎝ 허벅지이며, 총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통증은 주관적인 평가도구인 시각아날로그척도(VAS)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을 눈금이 없는 10 ㎝의 선위에 현재 통증 정도를 표시하게 하여 측정하였다.
Fig 2. Legs dimensions measured area
4. 중재 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들을 상대로 다리 림프마사지(manual lymphatic drainage)를 적용하였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대상자를 침대에 엎드린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② 넙다리 안쪽면에 두 손을 나란히 위치시킨 후 네 손가락을 사용하여 약한 압력으로 원을 그리며 서혜부 방향으로 원 그리기를 시행한다. ③넙다리 바깥면에 안쪽면과 같은 방법으로 펌프(pump) 동작을 시행한다. 넙다리 안쪽에서 시작하여 무릎 방향으로 반복 시행한다. ④ 종아리 위쪽부터 시작하여 무릎 방향으로 펌프 동작을 시행한다. ⑤ 무릎 뒤 오금 부위에 양손을 고정한 후 고정 원그리기 동작을 시행한다. ⑥ 종아리 부위에서 같은 방법으로 펌프 동작을 시행한다. ⑦ 종아리 부위에서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방향으로 내려가며 고정 원그리기 동작을 시행한다. ⑧ 대상자를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⑨ 허벅지 윗부분에 두 손을 나란히 위치시킨 후 서혜부 인대 방향으로 펌프 동작을 시행한다. ⑩ 허벅지 윗부분에서 펌프 동작을 시행하며 무릎 방향을 향해 내려간다. ⑪ 다리 바깥면 무릎 윗부분에 펌프동작을 시행한다. ⑫ 무릎에 같은 방법으로 펌프 동작을 시행한다. ⑬ 발목 안쪽에 손을 놓고 발꿈치뼈 전면부에 두손가락을 이용하여 약하게 펌프를 시행한다. ⑭ 발목과 발등 부위에 같은 방법으로 펌프를 시행한다. ⑮ 마무리 발목부터 허벅지까지 가볍게 쓰다듬기 동작을 수행한다. 모든 동작은 4~5회 반복 시행할 것이며 통증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시행하였다(Eum 등, 2017)(Fig 3).
Fig 3. Manual lymphatic drainage (MLD)
5.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다리 림프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 38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n= 38)
(Mean±SD), *p<.05, VAS; visual analog scale
2. 다리 림프마사지 중재 전·후에 따른 다리 둘레와 통증의 변화 비교
연구 대상자들에게 다리 림프마사지 시행 전과 후 다리 둘레와 통증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다리 림프마사지 중재 전·후에 따른 비교에서 다리 둘레와 통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leg circumference and pain before and after MLD (unit= ㎝)
(Mean±SD), *p<.05, VAS; visual analog scale
Ⅳ. 고찰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들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다리 림프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은 환자 치료의 과정에서 신체의 직접적인 접촉과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근육뼈대계에 과도한 부담을 받고 있으며, 업무와 관련된 근육뼈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은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다(Campo 등, 2008).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작업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리 부종은 대표적인 다리의 질병중 하나이며,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환경은 다리의 통증을 유발한다. 다리 부종은 다리 체액 순환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체되거나, 노폐물이 쌓이게 되며 순환의 장애가 나타나 이로 인해 다리가 부어오르는 증상을 말한다.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 통증이 지속되면 직무스트레스로 이어져 물리치료사 개인의 삶의 질 저하 뿐 아니라 환자 치료에 대한 질적 저하를 초래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Han 등, 2012). 하지만 간호사의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을 연구한 선행 연구는 많이 보고되었으나(Jeon & Jung, 2021; Lee & Yu, 2023)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을 연구한 선행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을 연구한 Wang과 An(2015)의 선행 연구에서 다리와 발에 통증을 호소하는 물리치료사의 비율이 20.1 %로 높게 나타났으며 장시간 서서 근무하며 쉬지 않고 움직여야 하는 병원 임상 근무 특성상 다리가 붓는 등 순환계의 문제가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Oh & Yoon, 2008). 다리 부종에 대한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다리 림프마사지(manual lymphatic drainage)가 보고되고 있으며 다리 림프마사지는 부종의 제거와 통증의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Ha, 2020; Hwang, 2020), 림프마사지는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시켜 조직 내부의 노폐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직업군인 병원종사자들과 물리치료사 등의 다리 부종의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Kim, 2009).
본 연구에서 4주간 다리 림프마사지를 총 20회 진행하였고 중재 시작 전과 시작 후의 다리 6부분의 둘레와 통증을 측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4주간 20회 다리 림프마사지 시행 후 다리의 6부분 발목, 발목 위, 종아리, 무릎 위, 허벅지 둘레와 통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중에서도 종아리 둘레와 통증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선행연구에서 림프 마사지는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로 인해 자율신경계 균형을 유지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림프마사지로 인해 림프 순환이 빨라져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고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통증 완화와 근긴장도 저하로 이어져 부종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Kim, 2023). 이러한 효과로 인해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 부종에 림프마사지를 시행 후 통증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같은 병원 근무직종인 간호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을 연구한 Oh와 Yoon(2008)의 선행 연구에서 다리 림프마사지 시행 후 다리 부종과 통증이 저하된 것과 같은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림프부종 환자가 아닌 하이힐에 의해 유발된 다리 부종이 있는 일반인에게 림프 마사지를 적용한 Lee(2012)의 선행연구에서도 다리 림프마사지 적용 후 다리 부종과 통증이 저하되는 결과가 나타났고 이는 다리에 정체되어있던 체액을 배출시키는 림프 마사지의 특징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리 림프마사지는 다리 부종과 통증을 감소시키는 중재법으로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조군이 없는 단일 중재 전후비교 연구인 점과 연구 대상자들의 나이가 20대~40대로 한정적이었고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았던 점, B광역시라는 한정적인 곳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향후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고 연령대별과 성별을 세분화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된다면, 물리치료사들의 작업 관련성 근육뼈대계 질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에 대한 다리 림프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다리 림프마사지 전·후 다리부종과 통증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리부종과 통증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리 림프마사지가 다리부종과 통증의 감소를 위한 중재 방법으로 적합함을 나타내며 물리치료사의 작업 관련성 다리부종과 통증을 저하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설계 시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할 수 있다.
References
- Campo MA, Weiser S, Koenig KL, et al(2008).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1-year follow-up. Phys Ther, 88(5), 608-619. DOI: 10.2522/ptj.20070127
- Choi YS(2015).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lower extremities exercise and elastic compression stockings on edema and pain of lower extremities in nurses. J Korea Acad Industr Cooper Soc, 16(11), 8037-8045. DOI: 10.5762/KAIS.2015.16.11.8037
- Eum HK, Moon DH, Shim EK(2017). Effects of lymph massage on lower body edema among women in pregnancy. Korean Soc Beauty Arts, 18(4), 55-64. https://doi.org/10.18693/jksba.2017.18.4.55
- Ha YS(2020). Study on the effect of aroma lymphatic tressage for systemic pain relief associated with the taxanes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st cancer. Graduate school of the CH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 Hwang HN(2020). Factors affecting lymphedema and its practice of self-car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 Health Inform Stat, 45(3), 288-295. DOI: 10.21032/jhis.2020.45.3.288
- Jeon EB, Jung HS(2021).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Korean J Occup Health, 3(3), 105-119. DOI: 10.35861/KJOH.2021.3.3.105
- Kee DH(2023).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 Printed Online. DOI: 10.3390/ijerph20021024
- Kim MS, An CS(2023). The effectiveness of a manual lymphatic drainage (MLD) on lower extremities function, lymphedema and pain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with lymph node dissection. Korean J Neuromuscul Rehabil, 13(1), 82-92. https://doi.org/10.37851/kjnr.2023.13.1.9
- Kim SH, Lee SH, Shin HJ, et al(2020). Effectiveness of kinesio-taping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wrist of a physical therapist: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Korean Soc Phys Med, 15(3), 79-87. DOI: 10.13066/kspm.2020.15.3.79
- Kwon GI, Cho YH(2021). Deduction solutions to problems at the industrial fiel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f physical therapy. J Nat Heal, 5(2), 33-45.
- Lee EW, Park KH, Ryu HW(2012). Characteristics of the leg edema caused by wearing high heels and calming effect of manual lymph drainage on the edema. Korean J Aesthet Cosmetol, 10(4), 969-977.
- Lee JC(2020). A survey on risk factors related to job-low back pain in physical therapists. J Converg Cult Technol, 6(2), 289-297. DOI: 10.17703/JCCT.2020.6.2.289
- Lee YJ, Yu JO(2023).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burden work on presenteeism among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32(4), 152-163. DOI: 10.5807/kjohn.2023.32.4.152
- Oh JN, Yoon CH(2008). Lower extremity edema and pain of nurses and the effect of self leg massage. J Korean Acad Nurs, 38(2), 278-286. DOI: 10.4040/jkan.2008.38.2.278
- Wang JS, An HJ(2015).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in twenties: focusing on therapeutic Exercise task. J Korea Contents Assoc, 15(7), 314-321. DOI: 10.5392/JKCA.2015.15.07.314
- Han SH, N DH, S BY, et al(2012). Effects of preventive activiti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 on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pain and job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29-41.
- Kim MJ(2023). Effects of acupressure and lymphatic massage on chronic neck pain, stress and sleep qualit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9(2), 411-420. https://doi.org/10.52660/JKSC.2023.29.2.411
- Kim KW, D EJ, Jang JH(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ymph Massage upon Sensitive Ski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8(2), 8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