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in 2025, as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ll account for approximately 44.10%.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up to 48.7% by 2050. Henc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housing policies for elderly househol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ngth of residence of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on their choice of residential mobilit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less intention to move as the length of their residence in the current location increases. Even if they intend to move, they decide to move within the current region. In particular, owner-occupiers' intention to move decreases further as the length of their residence increases, indicating that residential sta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households. These resul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idential mobility of elderly households is closely related to the length of resid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related to housing for elderly households.
2025년 초고령사회가 임박한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중 수도권에 거주하는 고령인구는 약 44.10%이다. 2050년에는 48.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정책적 수요 역시 증가하는 추세로 고령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수립이 시급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고령가구의 거주기간이 주거 이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에 따른 고령가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고령가구의 경우 현 거주지역에서 거주기간이 길수록 주거 이동 의사가 없고, 더 나아가 주거 이동 의사가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지역 내 이동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의 점유 형태가 자가인 경우 거주기간이 길수록 주거 이동 의사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거 안정성이 고령가구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및 본 연구에서도 고령가구의 주거 이동은 거주기간 및 주거환경 만족도와 밀접한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고령가구의 주거와 관련된 정책 마련 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