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Roof Tile Buildings of Pungnaptoseong Fortress

풍납토성 기와건물지의 성격과 위상

  • SO Jaeyun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2.05.22
  • Accepted : 2023.08.22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Various Baekje ground-level build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Pungnaptoseong Fortress, including Mirae Village's site E-1. However, building site E-1 is the only one with excavated roof tile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uilding site. As for building sites E-2, D-1, and D-2, which are comparable to site E-1, it is very possible that they had tiles on the roof based on their jeoksim (blocking facilities for roof slopes) and building structures. Also, although they are semi-underground pit structures, pit building sites A-30 and modern apartment site A-5, as well as the No.44 remains of Gyeongdang District, which is closer to a ground-level type, the buildings with tiles may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form of partial tile roofs rather than full-face tile roofs. Therefore,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behind the use of tiles on roofs in the early days, but the primary background of the building's authoritative function would have been considered first. Considering that China and Japan started using tiles on nationally important buildings such as palaces, temples, and ritual buildings, it may be presumed that Baekje began using tiles from the time it centralized power. It is believed that Baekje's early roof tile buildings evolved from rudimentary residential architecture to advanced public architec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fire preven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in larg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Korea with structural features such as the elevated foundations or underground stone foundations that can be found in Mirae Village building site E-1. Rather, similar architectural techniques can be found in China and Japan. In China, similar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discovered in buildings of worship that were primarily built in the palace surroundings, such as Jangan Castle. Based on this, it appears that roof tile building sites, such as site E-1, that have been discovered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of worship, and ground type buildings, such as sites D-1 and D-2, are important facilities that are related to important public facilities such as state-run warehouses. This provides many implications regarding the early Baekje city structure.

풍납토성에서는 미래마을부지 마-1호 건물지를 비롯하여 백제 지상식 건물지가 여럿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와가 건물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출토된 건물지는 마-1호 건물지가 유일하다. 마-1호 건물지와 비견되는 마-2호 건물지와 라-1호·2호 건물지 등의 경우에는 적심시설 및 건물 구조로 보건데 지붕에 기와가 올라갔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건물지라 하겠다. 비록 반지하식의 수혈건물지일지라도 내외부 기와 출토상황상 가-30호 수혈건물지나 현대아파트부지 가-5호 주거지 혹은 지상식에 가까운 경당지구 44호 유구처럼 지붕에 전면 즙와가 아닌 부분즙와의 형태로 기와건물이 조성되었을 수도 있다. 지붕에 기와를 사용한 초기 배경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주요한 배경으로는 건물의 위세적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과 일본에서 궁전, 사찰, 예제성 건축물(禮制性 建築物)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건물에 기와를 사용하기 시작한 사례로 보아, 백제도 중앙집권화된 시점부터는 적극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초기 기와건물은 대형화된 건물을 염두에 두고 화재예방과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결과, 초보적 주거 건축기술에서 고도화된 공공 건축기술로의 변화가 뒤따라오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미래 마-1호 건물지는 고대(高臺)나 지하초석과 같은 구조적인 특징상 국내에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오히려 중국과 일본에서 유사 기술을 사용한 중요 건축물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장안성 등 궁전 주변에 조성된 예제성 건축물에서 유사 건축기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보면 마-1호 건물지 등 현재까지 발견된 기와 건물지는 예제성 건축물 성격과 매우 관련 있어 보이며, 라-1호·2호 건물지와 같은 지상식 건물은 국영 창고와 관련된 중요 시설물로 공공시설물과 연계되어 백제 초기의 도성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2. 「日本書紀」
  3. 「魏書」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風納土城XIV」 발굴조사보고서.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한성백제 건축유적 유형분류와 복원연구」.
  6. 金京愛, 2014, 「百濟 漢城期 瓦의 規格化와 瓦葺樣相」,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권오영, 2001, 「풍납토성 경당지구 발굴조사의 성과」, 「風納土城의 發掘과 그 成果」, 한밭大學校 鄕土文化硏究所.
  8. 소재윤, 2012, 「백제 왕실(국영) 창고시설의 특징과 운영」, 「文化財」 45(4), 국립문화재연구소.
  9. 소재윤, 2013, 「풍납토성 평기와의 제작공정에 따른 제작기법 특징과 변화」, 「야외고고학」 18,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10. 申熙權, 2017, 「中國 都城과의 比較를 통한 漢城百濟 都城의 形成과 發達」, 「百濟學報」 19, 百濟學會.
  11. 양정석, 2013, 「新羅 王京 中心區域 儀禮關聯 建築群에 대한 검토」, 「역사와 담론」 68, 호서사학회.
  12. 윤용희, 2019, 「풍납토성 출토 수막새의 현황과 변천에 대한 일고찰」, 「사림」 70, 수선사학회.
  13. 이병건, 2003, 「日本의 高床式 建築에 關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12(3) 35, 韓國建築歷史學會.
  14. 이홍종, 2015,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고고학」 14(1), 중부고고학회.
  15. 정치영, 2010, 「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中國 南北朝 建築文化와 百濟」, 제2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16. 趙恩慶, 2011, 「미륵사지석탑의 구조체계와 축조 해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卓京栢, 2011,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한욱, 2021, 「집모양토기를 통한 가야 건축 연구」, 「문화재」 54(1), 국립문화재연구소.
  19.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5 「飛鳥.藤原宮發掘調査報告IV」-飛鳥水落遺跡の調査.
  2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2003, 「西漢禮制建築遺址」, 文物出版社.
  2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奈良文化財硏究所, 2011, 「漢長安城桂宮」
  22. 韋正, 2010, 「北魏平城的佛寺与礼制性建築」, 「中國 南北朝 建築文化와 百濟」, 제2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23. 錢國祥, 2010, 「漢魏洛陽城發現的礼制建築与佛寺遺址」, 「中國 南北朝 建築文化와 百濟」, 제21회 호서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