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material> A Historical Study on the Memorandum Record of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

<신자료> 『경자년(庚子年) 대통력(大統曆)』에 관한 고증 연구 - 비망 기록을 중심으로 -

  • RO Seungsuk (Yeohae(汝諧) Research Institute, Dongguk University's)
  • 노승석 (동국대학교 여해(汝諧)연구소)
  • Received : 2022.12.16
  • Accepted : 2023.05.1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Recently,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1600), a memorandum record of Yu Seong-ryong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宣祖) of the Joseon Dynasty, was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and about 4,000 letters in cursive characters have been interpreted by Ro Seung-suk. The contents for 203 days written in the margin of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 are mostly new, and a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Yu's life and social association circumstances. There are daily routines of each day, contemporary figures, diseases and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In particular, the combat record of Admiral Yi Sun-shin in 83 letters on the cover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n those days. It seems that the reason for writing the combat situations a year and a few months after Admiral Yi died in war was to honor his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for a long time by King Seonjo's order according to the public opinion of the royal court. The recor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irst, Admiral Yi sighed when he heard about Yu's dismissal from the office in Gogeumdo, and was always alert with clear water on the boat after the Battle of Waekyo Castle. Second, he was killed by bullets shot by the enemy while directly encouraging battle, not listening to his men who tried to dissuade him from leading the naval battle at Noryang. This only contained contents of devoting his life desperately, which is an important proof of the theory of his death in war. It also contains nine methods for making liquor and another method that wasn't known to the public, and seems to include popular alcohol brewing methods or newly devised ones. In addition, there is a detail that Heo Jun, the author of 『Donguibogam』, introduced medicine to Yu, along with being unable to attend ancestral rites and relieving the poor written in red. There are also stories about Kang Hang(姜沆) returning to Korea after being captured by Japan and Lee Deok-hong(李德弘)'s son, who introduced Gugapseondo(龜甲船圖, the first picture of the Turtle Ship in Korea) to King Seonjo. In the light of the above,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is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to empirically research not only figures related to Yu but also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since it contains new facts that are not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big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mistakenly known theory of Admiral Yi's suicide and to find out the new fact that Heo Jun provided medical information. In this respect, this book is expected to serve as a testament to the future study of the history and characters related to Yu in the mid-Joseon period.

최근 조선 선조 때 유성룡의 『경자년 대통력』(1600)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의해 일본에서 국내로 환수되었고, 이 책의 여백에 초서로 작성된 비망기록 4천여 자를 노승석이 해독하였다. 이는 203일 간의 대부분 새로운 내용들로서 그 당시 유성룡의 생활과 교유양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이다. 각 날짜별 날씨와 하루 일과, 당시 인물, 질병과 한약 처방 등이 적혀 있다. 특히 표지에 적힌 83자의 이순신의 전사 기록에는 당시의 상황이 상세하게 담겨 있다. 이순신이 전사한 후 1년여 기간이 지난 뒤에 그 전사내용을 적은 것은 선조의 전교를 받아 이순신의 공적을 현창하려는 조정의 여론에 부응하여 그의 전공을 오랫동안 되새기기 위해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기록은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이순신이 고금도에서 유성룡의 파직 소식을 듣고 탄식하고 왜교성전투 이후 항상 배안에서 맑은 물을 떠놓고 다짐한 것. 둘째, 노량해전에서 부장들이 간언하여 만류함에도 끝내 부하들의 말을 듣지 않고 직접 나가 전쟁을 독려하다가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한 것이다. 이는 오직 결사적인 각오로 싸우다가 전사했다는 의미로 작성되어 전사설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 외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술을 만드는 법 9건과 기타 방법 1건이 있는데, 당시 유행한 양주법과 새롭게 고안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의보감』저자인 허준이 유성룡에게 약품을 소개했다는 내용이 있고, 그외 빈민을 구제하고 집안의 제사에 참석하지 못한 경우를 주서(朱書)로 표기하였다. 일본에 잡혀간 강항(姜沆)의 귀환 소식과 귀갑선도(龜甲船圖)를 선조에게 올린 이덕홍(李德弘)의 아들 내용도 있다. 요컨대 『경자년 대통력』은 현존하는 문헌에 없는 새로운 사실들을 다수 담고 있어서 유성룡과 관계된 인물 연구는 물론, 그 당시 시대상황을 실증적으로 고증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다. 특히 이순신의 전사기록을 통해 항간에 잘못 알려진 자살설을 바로 잡고, 허준이 유성룡에게 의학정보를 제공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힌 점은 이번 연구의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앞으로 조선 선조 때의 유성룡과 관계된 역사와 인물을 연구하는 데 시금석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곡응태(谷應泰), 「명사기사본말(明史紀事本末)」.
  2. 「역법전(曆法典)」.
  3. 유성룡, 「경자년 대통력」, 국립고궁박물관.
  4. 유성룡, 「대통력.정유」, 한국학중앙연구원.
  5. 유성룡, 「대통력.무술」, 한국학중앙연구원.
  6. 유성룡, 「징비록」, 국립중앙도서관.
  7. 유성룡, 「서애집」, 국립중앙도서관.
  8. 안방준, 「은봉전서」, 국립중앙도서관.
  9. 이순신, 「이충무공전서」, 국립중앙도서관.
  10. 임요유(林堯兪), 「예부지고(禮部志稿)」.
  11. 노승석 해독본, 2022, 「경자년 대통력」, 국외소재문화재재단.
  12. 노승석, 2014, 「교감완역 난중일기」, 도서출판 여해.
  13. 노승석, 2021, 「신완역 난중일기 교주본」, 도서출판 여해.
  14. 경민문화사, 2016, 「서애선생문집」.
  15. 민족문화추진회, 1977, 「서애집(西厓集)」.
  16. 민족문화추진회, 솔출판사, 1997, 「서애집(西厓集)」(국역).
  17. 「역법총부회고(曆法總部匯考)」 41.
  18. 서울아세아문화사, 1990, 「고려사」 42.
  19. 이재호, 2001, 「국역 서애전서(西厓全書)」, 「징비록」, 서애선생기념사업회.
  20. 이재호, 2001, 「국역 서애전서(西厓全書)」, 「잡저」, 서애선생기념사업회.
  21. 이형석, 1974, 「임진전란사」 상.중.하, 한국자치신문사.
  22. 이은상, 1960, 「국역주해 이충무공전서」, (사)충무공기념사업회.
  23. 장정옥(張廷玉), 1991, 「명사(明史)」, 중화서국.
  24. 權丙勳, 1983, 「六書尋源」, 경인문화사.
  25. 江守賢治, 2007, 「草書檢索字典」, 三省堂.
  26. 金星元, 1983, 「五體字類」, 明文堂.
  27. 圓道祐之, 1979, 「草書字典」, 강당사.
  28. 劉少英, 1998, 「草書異部同形大字典」, 北京圖書館出版社.
  29. 張自烈, 1996, 「正字通」, 北京, 中國工人出版社.
  30. 赤井淸美, 1992, 「行草大字典」, 교육출판사.
  31. 류을하, 2021, 「임진왜란 기간 류성룡.이순신의 관계와 정유년 위기의 극복」, 「서애학회」.
  32. 박권수, 2013, 「조선의 역서간행과 로컬사이언스」, 「한국과학사학회지」, 한국과학사학회.
  33. 성주덕 편저.이면우 등 역주, 2003, 「서운관지」, 소명출판사.
  34.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35. 이은희.한영호.강민정, 2018, 「아랍에서 조선까지 이슬람역법의 전래와 수용」, 「한국과학사학회지」, 한국과학사학회.
  36. 정성희, 2007, 「조선시대 양반가문 소장 역서류의 현황과 가치」, 「사학연구 86호」, 한국사학회.
  37. 한국고전번역원 www.itkc.or.kr(검색일 2022,12,1-10)
  38. 국가문화유산포탈 https://www.heritage.go.kr(검색일 2022,1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