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istory of the Josadang and Its Meaning as Seen Through the Murals of Josadang Hall in Buseoksa, Yeoungju

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

  • Received : 2022.12.28
  • Accepted : 2023.01.30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Josadang Hall in Buseoksa Temple, Yeongju, by Seolsan Cheonhee(1307~1382) in the late 14th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s mural. Six guardian deities(the Four Heavenly Kings in the center, Indra and Brahma on each side of the kings) are depicted on the southern wall(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Josadang, facing the statue of the great monk Uisang(625~702 AD) on the north wall. This mural is the oldest among Korean temple murals and exhibits very unique characteristics. In general, scenes from the scriptures are depicted on the back wall of the central statue. In contrast, the Josadang mural depicts only the guardian deities facing the main statue with no scene description. The appearance of the deities, who seem to protect the main statue of the monk Uisang, and their expressions, as if drawn from relief statues, are not seen in other murals. Nevertheless, it is similar to the stupas of the Seon(Ch. Chan 禪) sect monks established from the late Silla(57 BC~935 AD) through early Goryeo(918~1392 AD), with guardian deities on their surface. The iconography of the deities is a classic form of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The fact that the Josadang was built to commemorate Uisang, who founded the Korean Hwaeom sect(Ch. Huayan sect, 華嚴宗), and that guardians were placed to protect Uisang's statue reveals the concept of worship for the monk who founded the sect. As a result, the reason Cheonhee built the hall can also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ideology behind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s of the Seon sect monk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heonhee is a monk of the Hwaeom sect, and Buseoksa is a representative temple of the Hwaeom sect, not the Seon sect.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hall's construc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tuation of Goryeo Buddhism in the 14th century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Seolsan Cheonhee. Since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was dominant in the 14th century, Cheonhee went to study in the Yuan Dynasty(1271~1368 AD) at the age of 58 and was approved by Chinese Ganhwaseon monks before taking the position of Guksa(國師 national monk). However, he was eventually pushed to Buseoksa Temple, where he worked hard to rebuild it. Cheonhee most likely sought to expand the Hwaeom sect, which had been shrinking compared to the Seon sect, by enhancing power with the reconstruction of Buseoksa. The desire that the Hwaeom sect, which was losing its power due to the rise of the Seon sect in the 14th century, attempted to develop it by building Josadang hall, is well revealed by the Josadang murals.

이 글은 설산 천희(雪山 千熙, 1307~1382)가 영주 부석사에 조사당을 건립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조사당 벽화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조사당의 남벽(출입구 위치)에는 북벽에 위치한 의상 대사상을 마주 보며 6구의 신장(사천왕과 그 양 옆으로 제석천과 범천)이 그려져 있다. 이 신장 그림은 우리나라 사찰 벽화 중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매우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사찰 전각의 내벽에는 경전에서 묘사하는 장면들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사당에는 이런 종류의 벽화는 없으며 신장들만 그려져 있다. 이는 유일한 예이며, 승려상과 마주보는 위치에 신장들이 그려진 예도 찾아볼 수 없다. 주인공인 승려(의상대사)를 외호하기 위한 신장의 배치와 부조상(浮彫像)을 그림으로 번안한 듯한 표현상의 특징은 특히 주목을 요한다. 그 구성과 표현이 팔각의 탑신 표면에 신장상을 새긴 나말여초 선종의 석조승탑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상 또한 나말여초기 신장과 유사성을 지닌 고식이다. 이중 동방과 서방천왕의 존명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는데 이 글에서는 나말여초 승탑의 사천왕 배치 순서에 근거하여 이들의 명호를 제시하였다. 한편, 해동 화엄의 초조 의상 대사를 기념하여 조사당을 건립하고 이를 외호하는 신장들을 배치했다는 것은 개산조에 대한 숭배 개념을 드러낸다. 따라서 조사당 건립의 목적 또한 선종 승탑 건립 이념의 연장선에서 찾았다. 문제는 설산 천희가 화엄종 승려이고 부석사는 대표적인 화엄 사찰이라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사당 건립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14세기 고려 불교계의 상황과 창건주 설산 천희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14세기에는 간화선이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천희는 58세의 노령에도 원나라에 유학하여 간화선사의 인가를 받아온 뒤 국사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결국 부석사로 밀려나 부석사 중창에 힘쓰게 된다. 천희는 아마도 사찰 중창을 통해 부석사의 위상을 높이고 선종에 위축되어 가던 화엄종의 발전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14세기 선종의 부상 아래 힘을 잃어가던 화엄종이 그 발전을 모색하는 시도 속에서 조사당을 건립하였고 이러한 염원이 벽화의 특징으로 잘 드러난다는 점에서 조사당 벽화의 불교사적인 가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姜三慧, 2001. 「羅末麗初 僧塔 塔身 神將像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姜三慧, 2006, 「나말여초 僧塔 塔身 神將像 연구」, 「미술사학연구」 252, pp.279~315.
  3. 姜友邦, 1990, 「圓融과 調和」, 열화당.
  4. 姜友邦, 1982, 「統一新羅 十二支像의 樣式的 考察」, 「考古美術」 154.155, pp.117~136.
  5. 강호선, 2021, 「고려불교사에서의 구산선문 개념 검토」, 「한국사상사학」 69, pp.1~34. https://doi.org/10.31309/SKHT.69.202112.1
  6. 姜好鮮, 2014, 「無畏國統 丁午와 원간섭기 백련결사의 전개」, 「震檀學報」 120, pp.1~29.
  7. 姜好鮮, 2011, 「高麗末 懶翁惠勤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姜好鮮, 2001, 「충렬.충선왕대 臨濟宗 수용과 고려불교의 변화」, 「韓國史論」 46, pp.57~110.
  9. 郭丞勳, 1998, 「新羅 下代 前期 興輪寺 金堂 十聖의 奉安과 彌勒下生信仰」, 「韓國思想史學」 11, pp.55~96.
  10.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2022년 국립문화재연구원 학술심포지엄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 연구와 디지털 복원」 발표 자료집.
  11. 김동현, 1977, 「浮石寺 無量壽殿과 祖師堂」, 「佛敎美術」 3, pp.28~33.
  12. 金相永, 2007, 「高麗時代 禪門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金相鉉, 2013, 「眞覺國師 千熙의 佛敎史的 位相」, 「문화사학」 39, pp.57~66.
  14. 金相鉉, 2002, 「興輪寺 出身의 高僧들」, 「新羅文化」 20, pp.25~38.
  15. 金煐泰, 1977, 「新羅十聖攷: 興輪寺金堂의 塑像安置와 그 思想性」, 「韓國學硏究」 2, pp.77~99.
  16. 김호귀, 2017, 「선종에서 조사신앙의 유형과 그 특징」, 「淨土學硏究」 27, pp.87~115.
  17. 南東信, 1993, 「羅末麗初 華嚴宗團의 대응과 (華嚴)神衆經의 성립」, 「外大史學」 5, pp.143~174.
  18. 남동신, 2007, 「여말선초기 懶翁 현창운동」, 「한국사연구」 139, pp.161~203. https://doi.org/10.1038/bdj.2007.716
  19. 대한불교조계종, 2018, 「부석사 조사당 벽화 과학적 보존상태 조사 및 영인본 제작 보고서」, 영주시.
  20. 라정숙, 2010, 「고려시대 정토신앙 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21. 文明大, 1977, 「浮石寺 祖師堂 壁畵試論」, 「佛敎美術」 3, pp.10~27.
  22. 文明大, 1980, 「新羅四天王像의 硏究-韓國塔浮彫像의 硏究 2」, 「佛敎美術」 5, pp.10~55.
  23. 문상련(정각), 2021, 「증명삼화상(證明三和尙)의 형성 배경과 불교적 위상」, 「보조사상」 61, pp.111~155. https://doi.org/10.14731/kjir.2021.03.61.1.111
  24. 문화재청, 2003, 「문화재대관-경상북도」.
  25. 文化財廳, 2005, 「浮石寺 祖師堂 修理.實測調査報告書」, 文化財廳.
  26. 박도화, 2006, 「불교벽화의 전개와 우리나라의 사찰벽화」, 「한국의 사찰벽화: 사찰벽화보고서」 인천광역시.경기도.강원도, 성보문화재연구원.
  27. 박도화, 1981, 「韓國佛敎壁畵의 硏究 -高麗時代를 중심으로-」, 「불교미술」 6, pp.89~113.
  28. 박용진, 2019, 「고려후기 백련사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의의」, 「남도문화연구」 37, pp.77~110. https://doi.org/10.31929/namdo.2019.37.77
  29. 박은경, 2019,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석당논총」 73, pp.85~101. https://doi.org/10.17842/jsa.2019..73.85
  30. 박은경, 2019, 「한국의 사찰벽화: 시대별 장엄요소와 표현 영역」, 「불교미술사학」 28, pp.371~397. https://doi.org/10.36620/BMS.2019.28.15
  31. 白燦圭, 1991, 「조선시대 사찰벽화와 그 보존에 관한 연구(朝鮮時代 寺刹壁畫와 그 保存에 관한 硏究)」, 「문화재」 24, pp.159~179. https://doi.org/10.22755/KJCHS.1991.24.159
  32.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한국의 사찰벽화」.
  33. 蘇在龜, 2001, 「新羅下代와 高麗時代 僧塔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34. 孫連七, 1997, 「浮石寺 祖師堂 壁書」, 「문화사학」 6.7, pp.427~450.
  35. 신광희, 2021, 「祖師 信仰과 祖師圖 연구 - 三十三祖師圖를 중심으로」, 「東岳美術史學」 29, pp.7~31. https://doi.org/10.17300/dah.2021.29.1
  36. 沈盈伸, 1993, 「統一新羅 四天王像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嚴基杓, 2013, 「水原 彰聖寺의 沿革과 眞覺國師 千熙의 史蹟」, 「文化史學」 39, pp.91~116.
  38. 엄기표, 2000, 「신라 석조부도의 표면 장엄과 조형 의의」, 「사학지」 33, pp.103~149.
  39. 嚴基杓, 2003,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40. 예경산업사, 1984, 「국보-회화」 10.
  41. 兪瑩淑, 1992, 「眞覺國師 千凞의 生涯와 信仰」, 「韓國佛敎文化思想史(上)」, 伽山李智冠스님華甲紀念論叢, 伽山佛敎文化振興院, pp.1049~1068.
  42. 李基白, 1987, 「韓國上代古文書資料集成」, 일지사.
  43. 이동주, 2020, 「高麗 彰聖寺 眞覺國師碑 음기의 人間關係網」, 「한국학논집」 81, pp.189~219.
  44. 이만, 1985, 「談禪法會에 관한 연구」, 「韓國佛敎學」 10, pp.63~76.
  45. 이정국, 2001, 「태안사의 가람배치-事蹟記를 中心으로-」, 「桐裏山 泰安寺」, 태안사 지표조사보고서(대한불교조계종 동리산 태안사.(재) 불교중앙교원 대한불교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
  46. 이지관 역, 1977,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高麗篇4」, (사)가산불교문화연구원.
  47. 임영애, 2010, 「북방 다문천의 보탑 도상 해석-도상 형성 원인과 원.고려 이전의 양상」, 「미술사와 시각문화」 9, pp.86~115.
  48. 林泉, 1960, 「修德寺 大雄殿의 壁畵」, 「미술자료」 2(1960.12), pp.21~23.
  49. 정병삼, 1998, 「의상화엄사상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50. 曺凡煥, 2014, 「東京 興輪寺 金堂 十聖에 대한 再論」,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35, pp.111~137.
  51. 朝鮮總督府, 1920, 「朝鮮古蹟圖譜」 7.
  52. 최연식, 2012, 「고려말 간화선 전통의 확립과정에 대한 검토」, 「普照思想」 37, pp.189~226.
  53. 崔鈆植, 2013, 「眞覺國師 千熙의 生涯와 思想」, 「문화사학」 39, pp.67~90.
  54. 최연식, 2008, 「한국 간화선의 형성과 변화과정」, 「불교평론」(http://www.budreview.com).
  55. 韓基汶, 2002, 「新羅 下代 興輪寺와 金堂 十聖의 性格」, 「新羅文化」 20, pp.171~195.
  56. 허형욱, 2005, 「석굴암 梵天.帝釋天 도상의 기원과 성립」, 「미술사학연구」 246, pp.5~46.
  57. 허형욱, 2007, 「통일신라 말 고려 초 부도의 梵天.帝釋天 도상 연구」, 「新羅文物硏究」 창간호, pp.9~38.
  58. 허흥식, 1997, 「無畏國師 丁午의 事業과 繼承」, 「天台思想과 東洋文化」, 불지사, pp.41~63.
  59. 황인규, 2006, 「水原의 고승 眞覺國師 千熙와 고려말 불교계」, 「水原學硏究」 3, pp.97~125.
  60. 황인규, 2011, 「화엄종 국사 설산천희」, 「고려시대 불교계와 불교문화」, 국학자료원, pp.209~237.
  61.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접속일: 2022.10.10.).
  62. 数字 敦煌, https://www.e-dunhuang.com/cave/(접속일: 2022.10.10.).
  63. 부석사 조사당 벽화 디지털 복원 VR, https://vrart.nrich.kr/buseoksa/(접속일: 202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