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Sinchungmyeong Jochong(辛丑銘鳥銃)'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Attribute analysis and point of use estimation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축명 조총(辛丑銘鳥銃)'연구 - 속성 분석과 운용 시기 추정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8.28
  • Accepted : 2023.10.30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Shinchungmyeong Jochong' is the sole firearm in the country bearing inscriptions written in ink('辛丑改備江華庫藏'). Thanks to this written reco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is firearm was stored and to make an estimate of the time when it was stored. Additionally, it is a valuable artifact that has been exceptionally well preserved and has an artistic design. However, research into the operational period, for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is firearm has been limited to date.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operational period, form,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Shinchukmyeong Jochong.' To achieve this, the specification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arm were examined, and comparisons were made with 17 other extant firearms and their attribut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hinchungmyeong Jochong'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ypical firearms of the Joseon Dynasty. Next, the timing, background, and production subject of the Ganghwado containment of the Jochong were tracked based on letters found with the Jochong. The investigation revealed an entry in the 'Records of King Jeongjo'(『正祖實錄』) indicating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military supplies, including firearms, were stored on Ganghwado in December of the 5th year of Shinchung(1781). The decision to store these materials in Ganghwado Island may have been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Joseon decision-makers, who strategically valued Ganghwado Island, and the relocation of 'Tongaoyeong'(統禦營) and the integration with 'Jinmuyeong'(鎭撫營). After acquis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firearm was operated at locations like 'Jinmuyeong'(鎭撫營). The firearm's production is presumed to have been associated associated with institutions such as 'Gungisi'(軍器寺). In conclusion, the 'Shinchungmyeong Jochong' exemplifies a typical firearm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likely that it was stored on Ganghwado in December of 1781. Its production is believed to have been related to institutions such as 'Gungisi'. Following its acquis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firearm was operated at locations including 'Jinmuyeong'.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축명 조총은 국내 유일의 묵서명('辛丑改備江華庫藏') 조총이다. 이 명문으로 인해 조총이 격납된 장소를 알 수 있으며, 격납된 시점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총은 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조형미도 있는 귀중한 유물이다. 그러나 신축명 조총의 운용 시기와 형태·구조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번 연구는 신축명 조총의 운용 시기와 제작 주체, 형태·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신축명 조총의 제원과 구조적 특징을 살피고, 현존하는 조총 17점과 속성을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신축명 조총이 전형적인 조선시대 조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조총에 남은 명문을 바탕으로 신축년 조총의 강화 격납 시기와 배경, 그리고 제작 주체를 추적했다. 그 결과 1781년 신축년(정조 5) 12월에 조총을 포함한 대량의 군수물자가 강화도에 입고된 기록을 『정조실록』에서 찾을 수 있었다. 강화도 입고의 배경은 군사적으로 강화도를 중시하던 조선 왕실의 인식과 통어영의 이전 및 진무영과의 통합에 따른 것으로 보았다. 강화도 입고 이후 조총은 진무영에서 운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조총의 제작은 군기시에서 이뤄졌을 것으로 보았다. 종합하면 신축명 조총은 전형적인 조선시대 조총이며, 강화도 격납 시기는 1781년 12월일 가능성이 높다. 제작은 군기시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입고된 후에는 진무영에서 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단종실록」 5권, 단종 1년(1453) 1월 23일.
  2. 「영조실록」 124권, 영조 51년(1775) 1월 23일.
  3. 「정조실록」 7권, 정조 3년(1779) 3월 8일.
  4. 「정조실록」 12권, 정조 5년(1781) 12월 19일.
  5. 「정조실록」 27권, 정조 13년(1789) 5월 26일.
  6. 「비변사등록」 29책, 현종 11년(1670) 4월 17일.
  7. 「비변사등록」 39책, 숙종 11년(1685) 9월 12일.
  8. 「비변사등록」 68책, 숙종 41년(1715) 6월 24일.
  9. 「비변사등록」 85책 영조 5년(1729) 5월 25일.
  10. 「비변사등록」 101책, 영조 13년(1737) 3월 10일.
  11. 「비변사등록」 162책, 정조 5년(1781) 3월 4일.
  12. 「비변사등록」 162책, 정조 5년(1781) 5월 12일.
  13. 「경국대전」.
  14. 「대전통편」, 「병전」.
  15. 「무기재고표」.
  16. 「만기요람」, 「군정편」.
  17. 「융원필비」.
  18. 강화전쟁박물관, 2015, 「강화전쟁박물관」.
  19. 강화전쟁박물관, 2016, 「2016년 강화전쟁박물관 특별전시」.
  20. 국립고궁박물관, 2020, 「왕실문화도감」.
  21. 國防軍史硏究所, 1994, 「韓國武器發達史」.
  22. 국립진주박물관, 2019, 「소형화약무기」.
  23. 국립진주박물관, 2021, 「화력조선」.
  24. 김기운 외, 2020, 「타임라인M 01」, 길찾기.
  25. 노영구, 2022,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들녘.
  26. 서울역사박물관, 2020, 「한양을 지켜라-삼군영 소속 한 군인 집안의 고군분투기-」.
  27. 유승주, 2020, 수정판, 「수정판 朝鮮時代 鑛業史硏究」, 온샘.
  28. 폴 록하트, 2023, 「화력」, 북이십일 레드리버.
  29. 화폐박물관, 2018, 「한국의 화폐」.
  30. 日本歴史民俗博物館, 2006, 「歴史のなかの鉄砲伝来 種子島から戊辰戦争まで」.
  31. 宇田川武久, 1993, 「東アジア兵器交流史の硏究」, 吉川弘文館.
  32. 김명훈.박선숙, 2019, 「조총의 등장과 원리」, 「소형화약무기」, 국립진주박물관, pp.448~463.
  33. 김명훈.박선숙, 2020, 「조총의 등장과 발사원리 연구」,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7, pp.77~122.
  34. 김영태, 2015, 「대원군 집권기의 국방력 강화 정책」,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김진수, 2015, 「조선 후기 鳥銃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군사연구」 139, pp.453~472. https://doi.org/10.17934/jmhs..139.201506.453
  36. 노성환, 2009, 「조총을 통해서 본 한일관계」, 「동북아문화연구」 20, pp.491~511. https://doi.org/10.1080/10509580903220602
  37. 노영구, 2002, 「조선후기 兵書와 戰法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박현정, 2002, 「대한제국기 오얏꽃 문양 연구」,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석사학위 논문.
  39. 서태원, 2015, 「강화 지방대.진위대 연구(1896~1907)」, 「한국사연구」, pp.177~219.
  40. 서윤희, 2019, 「문헌 기록과 명문으로 본 14~16세기 소형총통류의 전개」, 「소형화약무기」, 국립진주박물관, pp.394~406.
  41. 연갑수, 1997, 「대원군 집권기 국방정책」, 「한국문화」 20, pp.245~303. https://doi.org/10.2177/jsci.20.245
  42. 조계연, 2016, 「강화화승총의 연구」, 「2016년 강화전쟁박물관 특별전시」, 강화전쟁박물관, pp.82~109.
  43. 최은영, 2006, 「조선후기 江華 鎭撫營 개편과 首都防禦策」, 홍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뮤지엄 https://www.emuseum.go.kr(2023.8.13~15.)
  45.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https://kyudb.snu.ac.kr(2023.8.15.)
  46. 국립고궁박물관 https://www.gogung.go.kr(2023.8.15.)
  47.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go.kr(2023.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