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운룡주(雲龍柱) 보물 앙부일구의 특성과 제작 기술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Angbuilgu Treasure with Plate Pillars Decorated with a Dragon in Clouds

  •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 ;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 김상혁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 YUN Yonghyun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Science Museum) ;
  • MIHN Byeonghee (Center for Historical Astronom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Dept.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Sanghyuk (Center for Historical Astronom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 투고 : 2023.09.07
  • 심사 : 2023.10.27
  • 발행 : 2023.12.30

초록

본 연구는 2022년에 새롭게 보물로 지정된 앙부일구의 재질과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과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의 세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 앙부일구는 그 재질, 규격, 형태(외형), 은상감 등 제작기법이 쌍둥이처럼 비슷하다. 이 세 점의 앙부일구은 구리: 아연: 납이 90.6: 6.0: 1.8의 비율인 황동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 성분비는 82.2: 3.7: 11.8의 조성비를 가지고 있는 보물 제845호 앙부일구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새 보물 앙부일구에서 반구의 받침부분은 용의 문양이 수직기둥에 그려지고 구름의 문양이 기둥의 날개를 형성하여, 반구 지평환에 각각 리벳과 은땜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운룡주(雲龍柱)의 문양은 조선 후기 제작된 다양한 앙부일구 받침대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앙부일구에 새겨진 북극고도는 1713년 이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실제 제작은 19세기 진주 강씨 앙부일구 전문제작자의 활동 시기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가 2022년 지정 보물 앙부일구의 재질과 외형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근대 과학기기의 과학기술사적 고찰을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terial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Angbu-ilgu, a kind of scaphe sundial, which was newly designated as a Korean Treasure in 2022. The Angbu-ilgu Treasure is owned by three institutions -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Sungshin Women's University Museum - and is similar as a twin in its material, size, outward appearance, as well as production techniques that include casting, silver inlays, and metal joints. The Three-Treasure Angbu-ilgu is made of brass in the ratio of 90.6: 6.0: 1.8 with Cu: Zn: Pb. This composition clearly differs from Treasure No. 845, an Angbuilgu which has a composition ratio of 82.2: 3.7: 11.8 with Cu: Zn: Pb. In this new Angbu-ilgu Treasure, the hemisphere's stand has four vertical pillars sculpted in a dragon pattern and bilateral wings carved in a cloud pattern on the pillars, which are joined to the hemisphere's horizontal ring with rivets and silver solders, respectively. The dragon-in-clouds pillar (雲龍柱) shows the most outstanding formative beauty of the various Angbu-ilgu pillar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altitude of the north pole engraved on the Angbu-ilgu was made after 1713. Production is, however, actually estimated to have occurred close to the 19th century, the era of the Jinju Kang family, who were professional Angbuilgu makers. Hopefully, this study will lead to a historical science and technology review with modern scientific instruments analyzing the material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ngbu-ilgus designated as a Korean Treasure in 2022.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문화재청 2021년 "국가지정 앙부일구 지정조사(윤용현, 서준)"와 2021년 국립중앙과학관 기본연구과제 "조선후기 기계시계 장치 전시품 개발 연구(연구책임자 윤용현)", 그리고 2023년 국립중앙과학관 기본연구과제 "조선시대 원구형 해시계 체험 전시품 개발 연구(연구책임자 윤용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2023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의 '천문우주정보 및 지식확산(2023187000)'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참고문헌

  1. 김상혁, 2007, 「송이영 혼천시계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26~133.
  2. 김상혁.민병희.김재영, 2022, 「조선 후기 석제 앙부일구 분석」, 「천문학논총」 37(3), pp.35~47. https://doi.org/10.5303/PKAS.2022.37.3.035
  3. 남문현, 1995,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pp.73~75.
  4. 문화재관리국, 1985, 「과학기술문화재실즉조사서(앙부일귀, 측우기및측우대)」, 문화재관리소보고서(No.11112), pp.3~47.
  5. 윤용현, 2013, 「청동유물의 주조와 복원제작기술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40.
  6. 윤용현.서준, 2021, 「국가지정 앙부일구 지정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7. 윤용현.조남철.정영상.임인호, 2014, 「상평통보 주조와 복원기술연구」, 「문화재」 47(4), pp.224~243.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4.224
  8. 윤용현.조남철.이승철.윤대식.정영상.조현경, 2015, 「금속(청동, 금동, 오동, 황동, 백동) 전통주조, 가공기술 및 응용기술연구: 2차 년도(오동, 백동)」, 국립중앙과학관, pp.30~54.
  9. 윤용현, 2017, 「고려.조선의 청동 주조 기술 연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1」,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성남), pp.91~146.
  10. 윤용현.도정만.정영상, 2020,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와 불미기술 연구」, 「문화재」 53(3), pp.4~23.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3.4
  11. 이용삼.김상혁.남문현, 2001, 「남병철의 혼천의 연구 I」, 「한국천문학회지」 34(1), pp.47~57.
  12. 이용삼, 2007, 「괴담 배상열의 천문과 선기옥형」, 봉화군 청량산박물관, pp.121~124.
  13. 이용삼, 2023, 「농절(農節)을 가득담은 그릇, 명품해시계 앙부일구」, 「농업박물관 소식(여름호」, 국립농업박물관, pp.2~5.
  14. 이은성, 1982, 「해시계의 歷史와 그 原理」, 「동방학지」 33, pp.81~156.
  15. 전상운.김성삼.김정흠.나일성.남천우.박성래.박익수.박흥수.유경로.이은성.이태녕.손상용, 1984,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1980-1985」, 「한국과학사학회지」 6(1), pp.58~118.
  16. 전용훈, 2004, 「조선후기 서양천문학과 전통천문학의 갈등과 융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5~19.
  17. 정동찬.윤용현, 1999.「겨레과학기술조사연구(VII) -금속, 나무, 가죽 상감기술-」, 국립중앙과학관.
  18. 陳萬鼐, 1983, 「清天文學家梅瑴成傳稿逸文的補正」, 「中國圖書館學會會報」 35, pp.189~199.
  19. Choi, G.-E., Mihn, B.-H, Lee, K.-W. 2023, Investigating Calendrical Methods of Calculating Sunrise and Sunset Times in the Shixian Calendar,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54(3), pp.251~272. DOI: 10.1177/00218286231171855.
  20. Kim, S. H., Lee, K.-W., Lee, Y. S., 2010, A Study on the Sundials of the Kang Family of Jinju, Journal of Astronnmy and Space Science 27(2), pp.161~172. https://doi.org/10.5140/JASS.2010.27.2.161
  21. Lee, Y. S., Kim, S. H., 2011, A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the Sundials in King Sejong Era, Journal of Astronmy and Space Science 28(2), pp.143~153. https://doi.org/10.5140/JASS.2011.28.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