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iversity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ism and Disability: Science Textbooks in Third Grade

다문화 및 장애의 측면에서 초등 과학 교과서 인물 삽화의 다양성 분석 -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 김정연 (조치원신봉초등학교) ;
  •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23.11.06
  • Accepted : 2023.11.21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Although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diverse, on a few studies analyz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race or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 illustration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multiculturalism and disability. It identified 14 approv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are us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in the third grade. First, analysis of the race of character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dicated that 8.2% of them are multicultural, which is higher than the actual proportion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white illustrations, whereas Asian foreign illustrations made up the least, which suggests a different distribution in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ccording to publishers. Second, the gender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character illustrations differed by 59.0% and 41.0%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and the gender variation between publishers was relatively large in which a few publishers accounted for 80% of male multicultural figures. The third pertained to the function of illustrations, that is, the distribution of illustrations of Koreans and multicultural figures was similar in terms of the order of illustrations with explanatory functions followed by exemplary, decorative, and supplementary function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in disability,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with disability was 2.0%, which was less than the actual proportion in Korea.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to consider the situation and diversity of Korea in terms of race and d isability.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으나 초등 과학 교과서를 인종이나 장애의 측면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다양성을 다문화와 장애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 초등 과학 교과서 중 3학년 1, 2학기 교과서 7종 총 14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인종을 분석한 결과, 3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 중 다문화 인물 삽화는 8.2%로 실제 국내 거주 외국인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종별로는 백인 삽화가 가장 많고 아시아계 외국인 삽화가 가장 적어, 아시아계 외국인이 많은 우리나라 상황과는 다른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출판사별로는 이 분포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인물 삽화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59.0%, 여성이 41.0%로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출판사는 남성 다문화 인물이 80%에 이르는 등 출판사에 따라 성별 편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삽화의 기능 측면에서 한국인과 다문화 인물 삽화의 분포는 설명적 기능의 삽화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예시적 삽화, 장식적 삽화, 보충적 기능의 삽화 순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인물 삽화를 장애 다양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장애인의 비율은 2.0%로, 국내 장애인 비율보다 적은 비율이었다. 인종과 장애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상황과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영(2022). 비판인종이론(Critical Race Theory)이 한국의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40(2), 23-49.
  2. 고민지, 강경희(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에 나타난 성별 및 직업 유형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5), 127-134.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5.012
  3. 고주희(2022). 다양성 관점에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성, 장애, 인종 관련 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4. 공영주, 장현숙, 최경희(2006).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의 분석: 삽화등장인물의 직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73-390.
  5. 교육부(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교육부(2022).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2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7. 교육부(2023).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8. 권정아(2019). 평등교육에서 본 3, 4학년 체육교과서 삽화자료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9. 김연권, 박영준(2010). 초등학교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석: 3,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 1(2), 21-62.
  10.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92-300.
  11. 김은지, 이경화(2020).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1211-1230.
  12. 류주연, 박경희(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교과의 다문화적 내용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9), 787-810.
  13. 박창건, 김경식(2017). 2009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 삽화분석: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교육사회학연구, 27(1), 115-140. https://doi.org/10.32465/KSOCIO.2017.27.1.005
  14. 박현민, 전자영, 이상기(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 분석: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2, 957-977.
  15. 송나윤, 홍주연, 노태희(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39(1), 1-14.
  16. 양찬호, 박재성, 김유진, 노태희(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58(2), 210-220. https://doi.org/10.5012/JKCS.2014.58.2.210
  17. 윤문정, 승윤희(2013).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구성 체계 및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 관점에서의 인물삽화 비교 분석. 예술교육연구, 11(3), 43-63.
  18.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19. 이영덕, 박문태, 곽병선, 권치순, 김홍원, 이혜영, 김회목, 남미영(1985). 교과서 체재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3-30, 99-129, 157-161.
  20. 이을(2010).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장현아(2014). 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정일영(2021). 미연방헌법과 비판인종이론(Critical Race Theory) 논쟁. 법사학연구, 64, 359-385.
  23. 조문주(2011).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2007개정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 2(1), 57-78.
  24. 통계청(2021). 장애인현황. Retrieved from https://kostat.go.kr
  25. 통계청(2022). 인구총조사. Retrieved from https://kostat.go.kr
  26. Adukia, A., Eble, A., Harrison, E., Runesha, H. B., & Szasz, T. (2023). What we teach about race and gender: Representation in images and text of children's book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8(4), 2225-2285. https://doi.org/10.1093/qje/qjad028
  27. Alan, S., Baysan, C., Gumren, M., & Kubilay, E. (2021). Building social cohesion in ethnically mixed schools: An intervention on perspective taking.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6(4), 2147-2194. https://doi.org/10.1093/qje/qjab009
  28. Apple, M., & Christian-Smith, L. (2017). The politics of the textbook. In M. W. Apple & L. K. Christian-Smith (Eds.). The politics of the textbook. 1-21.
  29. Banks, J. A. (2006). Cultural diversity and education: Foundations, curriculum, and teaching. Boston: Pearson.
  30. Bowen, N., & Hopper, D. (2022). The representation of race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textbooks: Inclusivity and equality in images. TESOL Quarterly, 57(4), 1013-1040. https://doi.org/10.1002/tesq.3169
  31. Cappelen, A., List, J., Samek, A., & Tungodden, B. (2002). The effect of early-childhood education on social preferenc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28(7), 2739-2758.
  32. Gollnick, D. M., & Chinn, P. (2009).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8th ed.). Pearson.
  33. Grant, C. A., & Sleeter, C. E. (2007).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5th ed.). Hoboken: Wiley.
  34. Koss, M. D., Johnson, N. J., & Martinez, M. (2018). Mapping the diversity in caldecott books from 1938 to 2017: The changing topography.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44(1), 4-20.
  35. Pozzer, L. L., & Roth, W. (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 1089-1114. https://doi.org/10.1002/tea.10122
  36.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2), 147-157. https://doi.org/10.1080/10288457.2005.10740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