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dispute over the Northern Limit Line in the West Sea has been sharply opposed since the U.N. commander set it in August 1953 with the aim of preventing accidental armed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In 2022,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division, North Korea made a missile provocation beyond the N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research on the NLL, which is under way by North Korea's actual provocation, has been conducted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proceed.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research using a total of five academic information DBs, including RISS and Scholar, focusing on academic papers studied on NLL from 1998 to 2023.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year, field, and research metho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earch volume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nd the research field had the most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NLL and historical background, confirming the need to expand to more diverse fields to have international legal justification and justification for the NLL, considering the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ogic of power. In terms of final research methods, most of them were literature studies, so the need for quantitative research using interviews, surveys, and big data was also found.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etting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international response of the NLL in the future amid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that is still ongoing.
서해 북방한계선에 관한 논쟁은 1953년 8월 유엔군사령관이 한반도 해역에서 남북간의 우발적 무력충돌을 예방한다는 목적으로 설정한 이후부터 지금까지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문제이다. 2022년에는 분단이후 최초로 NLL이남으로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한 바 있다. 이처럼 북한의 실질적 도발이 진행중인 NLL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NLL에 관해 연구된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는 정부별 대북관계 기조에 따라 연구량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 분야는 NLL에 대한 개념소개와 역사적 배경 등이 가장 많아 힘의 논리에 따라 변화하는 국제 환경을 고려할 때 NLL의 국제법적 당위성과 명분을 구비하기 위해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면접, 설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현재도 여전히 진행중인 국제정치환경의 이해관계 속에 향후 NLL의 국제적인 대응을 위한 연구방향설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