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eferential Purchase Policy for Technologically Developed Products on Growth of SMEs

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 제도가 중소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영진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
  • 조용석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
  • 김우형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 Received : 2023.05.01
  • Accepted : 2023.06.2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Chapter 3 Support for Priority Purchase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of the 「Market Channel Support 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growth impact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subject to preferential purchase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data us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is for 371 companies that obtained certification for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subject to preferential purchase in 2016 and Data from SMEs were collected from 2017 to 2021,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was identified, and empirical verification. And conduc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factors of SMEs. In addition, data from 225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certification companies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testing was conducted through t-test analysis on the change in growth factors before and after acquiring certific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ssets, certified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which are the growth factors of a company, are all positively aff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certif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types, some authentication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sults.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at after acquiring cer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factors than before acquiring certification. Consistent with this conclusion, I think that it is effective for technology development-based SMEs to enter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and utilize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priority purchase policy for market exploitation and corporate growth. And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market support policy to create demand so that SMEs can enter the procurement market and actively utiliz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and come up with an improvement plan so that public institutions can actively utiliz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본 연구는 정부 「판로지원법」에 적용된 "제3장 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 지원" 즉,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이 공공 조달시장에 진출한 중소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대상은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을 취득한 기업으로 2019년 기술개발제품 취득 전·후 비교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공개데이터, 조달실적통계자료, 재무 현황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분석 도구는 STATA 15를 이용하여 225개 기업은 T 검정을 진행하고, 371개 기업은 패널회귀모형을 적용하여 합동 OLS, 고정효과모형(FEM), 랜덤효과모형(REM)을 통해 가설에 대한 실증 검정을 진행하였다. 실증 검정 분석을 위해 먼저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 인증을 취득한 225개 기업에 대해 2019년 인증취득 이전과 2019년 인증취득 이후의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전·후의 총자산,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t 검정을 통해 증감에 대한 비교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2016년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 인증을 취득한 371개 기업을 대상으로 취득한 인증의 종류와 인증의 개수, 인증 유효기간의 패널 자료를 수집하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해당 기업의 총자산, 인증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가설에 대해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 인증을 취득한 기업은 두 번째 가설 인증취득개수가 늘어나고 세 번째 가설 인증 유효기간이 증가하면, 총자산, 인증 매출, 매출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증가하는 유의한 결과로 채택되었다. 또한, 첫 번째 가설인 인증의 종류 중 성능인증+녹색인증을 취득하였을 때 총자산, 인증 매출,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혁신제품인증을 취득한 경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하고, 성능인증+우수 조달을 취득하였을 때 총자산,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녹색인증 취득 시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유의한 결과로 채택하였다. 이처럼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은 중소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ICT융합품질인증(ictcon.tta.or.kr/main.do), 2022.
  2. 국가산업융합센터(2022), 산업융합 신제품 인증(www.knicc.re.kr), 2022.
  3. 기획재정부(2020), 계약정책과, 전략적 조달정책 추진 및 혁신제품 345개 지정 계약정책과.
  4. 기획재정부(2022), 공공기관 개발선정품목(www.moef.go.kr).
  5. 김광희(2004), 공공조달시장의 경쟁성 제고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2004.
  6. 김대식(2011),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지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지방계약연구, 제2권, 제2호, pp.89-1121.
  7. 김선화.서정대(2009), 중소기업 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2호, pp. 237-254.
  8. 김수환(2009),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 운영 효율화 방안, 중소기업 연구원.
  9. 김영산, 김유정(2018), 중소기업의 공공조달 매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기 간 경쟁 조달과 일반경쟁 조달의 비교, 중소기업연구, 제40권 제3호, 25-43. https://doi.org/10.36491/APJSB.40.3.2
  10. 김유정, 김영산(2017), 공공조달 참여가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조직연구, 제25권 4호, 1-42. https://doi.org/10.36354/KJIO.25.4.1
  11. 김종호(2001), 벤처기업 성장 단계별 성과 영향요인, 산업경제연구, 제14권 제1호, pp.313-324.
  12. 김종훈, 장명균(2023), 공공조달 지원제도의 실효성 향상 방안과 조달제품의 품질이 만족과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 제46권 제1호, 193-209. https://doi.org/10.33932/rir.46.1.9
  13. 박충렬(2021),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치처, 이슈와논점, 1911호.
  14. 성소미, [시론]벤처발전과 정부 역할, 한국경제신문, 2000.
  15. 시사상식사전, Death Valley,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2013.
  16. 염정수, 김병건, 조근태(2020), 공공구매시장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에 대한 만족과 재구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부합성의 조절효과, 기술혁신연구, 제28권 제2호, 37-61. https://doi.org/10.14386/SIME.2020.28.2.37
  17. 유세아(2013),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위한 공공구매 개선방안 연구, 지속가능연구, 제4권, 제1호, 109-28.
  18. 이민화.최선(2015), 1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101호, 147-179.
  19. 이민철.정태현(2023), 공공조달 성과가 중소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40권 4호, 33-50.
  20. 이병기, 벤처기업 성장요인 실증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JSBI)(구 벤처경영연구), 제5권 제2호, 93-109, 2002.
  21. 조달청(2021), 2021년 12월말 기준 조달사업통계.
  22. 조달청(2021), 우수조달공동상표물품지정관리규정1.
  23. 조달청(2022), 조달정보개방포털, 중소기업 우선구매대상 기술개발제품 조달내역, 기관구분별 중소기업기술개발제품 실적, 공공기관별 중소기업기술개발제품 실적(www.data.g2b.go.kr).
  24. 조달청(2022), 혁신조달종합포털, 혁신제품(ppi.g2b.go.kr).
  25. 중소기업청(2000), (신기술개발제품등에 대한)공공기관의 우선구매 지원제도, 대전중소기업청.
  26. 중소벤처기업부(2009), 판로지원법.
  27. 중소벤처기업부(2016), 판로지원법 시행령.
  28. 중소벤처기업부(2017), 판로지원법.
  29. 중소벤처기업부(2012), 2021년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 보고서.
  30.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 판로지원법).
  31. 중소벤처기업부(2022),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약칭: 판로지원법 시행령).
  32. 중소벤처기업부(2022), 중소기업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제도 운영 등에 관한 시행 세칙, 고시 제2022-1호.
  33. 중소벤처기업부(2022), 공공구매종합정보, 기술개발제품(smpp.go.kr).
  34. 중소벤처기업부(2022),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중소기업 기업정보(sminfo.mss.go.kr).
  35. 한경경제용어사전(2005), Chasm, 한국경제신문, 한경닷컴.
  36. 한국노동연구원(2015), 중소기업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제도 고용영향평가 연구.
  37.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22), 녹색제품정보시스템, 녹색기술제품(www.greenproduct.go.kr).
  38. 홍지승(2015), 중소기업 공공기술구매정책의 성과와 과제, 산업연구원, 105-117.
  39. 행정안전부(2022), 재난안전제품 인증제도(www.mois.go.kr).
  40. 환경부(2022), 물기술종합정보시스템, 물산업 우수제품(www.watis.or.kr).
  41. Aschhoff, B., and Sofka, W(2009), Innovation on demand Can public procurement drive market success of innovations?. Research policy, Vol. 38, No. 8, pp.1235-1247. https://doi.org/10.1016/j.respol.2009.06.011
  42. Asheim, B., Coenen, L., and Vang, J(2007), Face-to-face, buzz, and knowledge bases: sociospatial implications for learning, innovation, and innovation policy.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Vol. 25, No. 5, pp.655-670. https://doi.org/10.1068/c0648
  43. Braguinsky, Serguey(2016), History and Nanoeconomics in Strategy and Industry Evolution Research: Lessons from the Meiji-era Japanese Cotton Spinning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John Wiley & Sons, Inc.), Vol. 37, No. 1, pp.45-66. https://doi.org/10.1002/smj.2452
  44. Colombo, Massimo G., and Luca Grilli(2005), Founders' Human Capital and the Growth of New Technology-based Firms: A Competence -based View, Research Policy, Vol. 34, No. 6, pp.795-816.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3.010
  45. Dalpe, Robert, Chris DeBresson, and Hu Xiaoping(1992), The Public Sector as First User of Innovations, Research Policy Vol. 21. No. 3, pp.251-63. https://doi.org/10.1016/0048-7333(92)90019-Z
  46. Dalpe, R(1994), Effects of government procurement on industrial innovation, Technology in society, Vol. 16, No. 1, pp.65-83. https://doi.org/10.1016/0160-791X(94)90021-3
  47. Edler, Jakob, and Luke Georghiou(2007), Public Procurement and Innovation-Resurrecting the Demand Side, Research Policy, Vol. 36. No. 7, pp.949-63. https://doi.org/10.1016/j.respol.2007.03.003
  48. Ferraz, C., Finan, F., and Szerman, D(2015), Procuring firm growth: the effects of government purchases on firm dynamic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o. w21219, pp.17-28.
  49. Gilbert, Brett Anitra, Patricia P. McDougall, and David B. Audretsch(2008), Clusters, Knowledge Spillovers and New Venture Perform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3, No. 4, pp.405-22. https://doi.org/10.1016/j.jbusvent.2007.04.003
  50. Hebous, S., and Zimmermann, T(2016), Can government demand stimulate private investment? Evidence from US federal procurement, International Monetary Fund.
  51. OECD(2016), Government at a Glance, OECD Publishing, Paris, pp.161-170.
  52. Pozzi, A., and Schivardi, F(2016), Demand or productivity: What determines firm growth?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 47, No. 3, pp.608-630. https://doi.org/10.1111/1756-2171.12142
  53. Rothwell, R(1984), Technology-based small firms and regional innovation potential: the role of public procurement, Journal of Public Policy, Vol. 4, No. 4, 102-153, 1984. https://doi.org/10.1017/S0143814X00002774
  54. Syverson, Chad(2016), What Determines Productivit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49. No. 2, pp.326-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