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흑돼지를 이용한 발효생햄 제품개발 방안

Development of Fermented Raw Ham Products using Jeju Black Pork

  • Je-Bin Ryu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Topline) ;
  • Deuk-Hun Ko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Topline)
  • 발행 : 2023.10.27

초록

키워드

과제정보

이 기고는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한 농업실용화기술 R&D지원사업(과제번호: RS-2023-00216169)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천지연 교수님과 식품가공학연구실 학생연구원들의 협업에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성필남. 2009.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 경상국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성필남. 2013. 발효육제품 최신 기술개발 전망.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2(1), 19-26.
  3. 심환희, 안병일. 2020. 식품 소비성향이 돼지고기 비선호부위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78-391.
  4. 정수정. 2023. 돼지고기 비선호부위 재고가 삼겹살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류정열. 2023. 샤퀴테리 이야기. (주)백산출판사, 11-12.
  6. 농촌진흥청. 2011. 발효생햄 제조기술을 활용한 지역특산품 개발 보고서.
  7. Andres AI, Ventanas S, Ventanas J, Cava R. 2005. Physicochemical changes throughout the ripening of dry cured hams with different salt content and processing conditions. Eur. Food Res. Technol. 221: 30-35. https://doi.org/10.1007/s00217-004-1115-y
  8. Careri M, Mangia A, Barbieri G, Bolzoni L, Virgili R, Parolari G. 1993. Sensory property relationship to chemical data of Italian type dry-cured ham. J. Food Sci. 58: 968-972.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3.tb06090.x
  9. Toldra F, Aristoy MC, Part C, Crervero C, Rico E, Motilva MJ, Flores J. 1992. Muscle and adipose tissue aminopeptidase activities in raw and dry-cured ham. J. Food Sci. 57: 816-818.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2.tb14301.x
  10. Ventanas J, Cordoba JJ, Antequera T, Garcia C, Lopez-Bote C, Asensio A. 1992. Hydrolysis and Millard reactions during ripening of Iberian ham. J. Food Sci. 57: 813-815.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2.tb1430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