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ing Private Investigation Work Efficiency to Missing Cases

탐정의 실종사건 조사업무 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3.09.27
  • Accepted : 2023.10.18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In investigating missing persons cases, the focus is on strengthening the efficiency of detectives' work in investigating missing persons cases. Disappearance cases are seen as a problem that directly affects social safety and individual well-being. The research has the following structure.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necess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Next, we analyze the definition, causes, types and actual conditions of disappearance cases. In terms of problems in the process of handling missing persons cases, the initial response process, problems in the response of related agencies after reporting, problems due to the prolongation of the case, and problems due to legal restrictions are analyzed. In the plan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detectives for disappearance cases,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interest investigation networks, strengthening of capacity related to disappearance case investigation, professional public interest detective certification system, and establishment of exception provisions for detective activitie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we present what is necessary for the activities of public interest detectives specializing in missing persons cases.

가출, 미아, 이유 없는 실종사건 수사에 있어 탐정의 실종사건 조사업무 효율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실종사건은 사회적 안전과 개인의 안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고 본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범위, 방법론이 제시된다. 다음은 실종사건의 정의, 원인, 유형과 실태에 대하여 분석한다. 실종사건 처리과정의 문제점에서는 초기 대응과정, 신고 이후의 관련기관 대응의 문제점, 사건장기화에 따른 문제점, 법률적 제한으로 인한 문제점 등에 대하여 분석한다. 실종사건에 대한 탐정의 업무효율성 제고 방안에서는 공익적 조사 네트워크 활성화, 실종사건 조사관련 역량강화, 전문공익탐정 인증제도, 탐정활동 예외조항 마련에 대하여 논의한다. 결론에서는 실종사건을 전문으로 하는 공익탐정에 대하여 활동에 대하여 필요한 부분이 무엇일지에 대하여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Pauline Boss(2006). Loss, Trauma, and Resilience; Therapeutic Work with Ambiguous Loss, W. W. Norton & Company.
  2. 정익중.김성천.송재석(2009). "아동실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지, 제61권 제2호, 한국사회복지학회.
  3. 국립국어원(2022).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4. 경찰청(2023). "실종사건 관련 발표자료"
  5. 보건복지부(2023). "실종자 실태관련 언론보도자료".
  6. 경찰청(2022). 경찰통계연보, 서울 : 경찰청.
  7. 남재성(2015). "한국형 '코드 아담' 실종예방지침의 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17권 제3호, 한국경찰학회.
  8. 김상호.이웅혁(2008). "엠버 경보 운영에 대한 주요 쟁점과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1권, 한국공안행정학회.
  9. 이하섭(2013). "민간조사원을 활용한 실종자 조사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제27권 제1호, 한국치안정책학회.
  10. 이건수.곽대경(2015). "실종추적팀을 활용한 실종자 수사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7권 제3호, 한국경찰학회.
  11. 박종철.장일식(2018). "경찰의 실종사건 대응 효과 성 제고 방안", 한국경찰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경찰연구학회.
  12. 최원태(2007). "실종아동정책의 효과적 확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6권 제3호, 한국경찰연구학회.
  13. 정명숙(2012). "RFID/USN을 활용한 치매노인 실종 자 찾기 시스템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한국노인복지학회.
  14. 정익중.유정아.안은미.이민주.남성희(2018). "실종 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실종담당경찰관의 초점집단면접", 비판사회정책, 제59권,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15. 이강문(2018).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 경찰의 역할과 과제",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5권 제2호, 한국치안행정학회.
  16. 이건수(2019). "경찰운영 빅데이터를 통한 실종자 찾기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한국법학회.
  17. 권자영.박향경(2015).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 의 삶", 한국가족복지학, 제48권,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김종우.김정우(2013). "장기실종아동을 둔 부모들의 상실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9권,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9. Bonny, E., Almond, L., & Woolnough, P.(2016). "Adult missing persons; Can an investigative framework be generated using behavioural themes?",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fender Profiling, 13(3).
  20. Butorac, K., Miksaj-Todorovic, L., & Zebec, M. S.(2016). "Missing Persons in Croatia; Incidence, Characteristics and Police Performance Effectiveness", Handbook of Missing Pers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21. Fyfe, N., Parr, H., Stevenson, O., & Woolnough, P.(2015). "To the End of the World; Space, Place, and Missing Persons Investigations",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9(3).
  22. Greene, K., & Pakes, F.(2013). "The cost of missing person investigations; Implications for current debates",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