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Economy as Viewed in Confucianist and Daesoon Thought: Focusing on Similarities

유학과 대순사상의 경제관 시론적 고찰 - 유사점을 중심으로 -

  • An Yoo-kyoung (Youngnam Culture Institu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Received : 2023.07.25
  • Accepted : 2023.09.15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oret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the economic views of Neo-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Through this, there can be an examination of what implications traditional thought regarding economic views can have in today's social climate, which considers economic value to be the greatest value. This can also to help establish a desirable economic view of our society. In conclusion, it can be observed that economic issues are viewed in Daesoon Thought similarly to how they were perceived by Zhu Xi. Which is to say that both place greater relative importance on morality than material wealth. These systems of thought appear to place more emphasis on the spiritual world and moral conduct than on the material world and its economy.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interpretation of loyalty and profit, nature and humanity, the heart and humanity, conscience and selfishness, and other such pairings,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more on the spiritual world and moral excellence than on the material world and the pursuit of wealth. These systems of thought acknowledge that material needs exist; however, both move to instill values such that human society pursues moral and spiritual ventures over material gain. Therefore, the position arrived upon by both is that people's morality is the highest good, and when people's morality is fully realized, all social problems, including economic problems, will be solved automatically. This is the theoretical structure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constitutes the economic viewpoints posited in both Zhu Xi's Neo-Confucianist thought and Daesoon Thought.

본 논문은 유학과 대순사상의 경제관을 비교·고찰함으로써 그 이론적 동이점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오늘날 사회풍토에서 전통사상의 경제관이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또한 우리사회의 바람직한 경제관을 정립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대순사상의 경제관은 주자와 마찬가지로 물질보다는 상대적으로 도덕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그대로 경제와 같은 물질세계보다 도덕과 같은 정신세계의 중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의리와 이익, 천리와 인욕, 도심과 인심, 양심과 사심 등의 해석에서 볼 때, '부'와 같은 물질세계보다는 도덕과 같은 정신세계를 더 지향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에게도 물질은 필요한 것이지만, 인간사회가 추구해야 할 가치는 물질보다 도덕적 정신세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도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람들의 도덕성이 실현되면 경제를 비롯한 모든 사회문제는 저절로 해결된다는 입장이다. 이것이 바로 주자와 대순사상의 경제관을 이루는 이론적 구조이며 사상적 특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2. 「대순진리회요람」
  3. 「朱熹集」
  4. 「朱子語類」
  5. 「論語」
  6. 「論語集註」
  7. 「孟子」
  8. 「孟子集註」
  9. 「國語」
  10. 「左傳」
  11. 「中庸」
  12. 「中庸或問」
  13. 「中庸章句」
  14. 「大學」
  15. 「大學或問」
  16. 「大學章句」
  17. 「尙書」
  18. 「雜阿含經」
  19. 「初發心自警文」
  20. 김승혜, 「주자의 경제관: 민을 위한 의와 이의 긴장」, 「동아연구」 34, 1997.
  21. 김조영, 「사서에 나타난 유학사상의 경제관연구」, 「한문고전연구「 32, 2016. https://doi.org/10.18213/jkccl.2016.32.1.011
  22. 백도근, 「주자의 경제사상」, 「철학연구」 71, 1999.
  23. 안유경,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새문사, 2021.
  24. 이상익, 「유가의 경제사상과 유교자본주의론의 타당성 문제」, 「철학」 66, 2001.
  25.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26. 이철승, 「선진 유가사상에 나타난 경제와 윤리의 관계 문제」, 「사회사상과문화」 9, 2004. http://uci.or.kr/G704-000831.2004..9.007
  27. 정인재, 「유학과 기업윤리」, 「유교사상문화연구」 7, 1994.
  28. 최원혁, 「대순사상의 순환적 경제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9. 최희남, 「현대 사회문제와 유학의 경제윤리」, 「동양철학연구𰃜 3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