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제 강세지 객망리 일대의 풍수지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지맥의 연결과정을 통한 형기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Gaekmang-ri, and Neighboring Areas from a Feng Shui Perspective: Focused on the Theory of Connecting Geomantic Veins

  • 투고 : 2023.07.23
  • 심사 : 2023.09.15
  • 발행 : 2023.09.30

초록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 성지(聖地)인 상제 강세지에 대해 현장 풍수 답사를 통해 형기론을 중심으로 강세지 일대와 그와 관련된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의 중심은 전통적인 풍수지리 이론 중에서 형기론적인 관점에서 시루산 일대까지 이어지는 지맥의 연결과정을 통해 상제 강세지의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방법으로 풍수 형기론을 기반으로 객망리 일대의 풍수적 국세와 시루산을 이루기까지 지맥의 과정을 답산하고 객망리 일대의 지세와 형국, 물의 흐름과 지맥 등을 살펴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밝히고자 하였다. 현장답사 과정에서 먼저 호남의 삼신산 중에서 영주산이라고도 불리는 두승산과 방장산을 살피고, 그다음으로 동죽산과 망제봉, 매봉산, 시루산으로 이어지는 지맥의 흐름이 연면부절하고 기복변화하는 과정에서 시루산을 이루기까지 전체적인 용맥의 변화와 산과 물의 흐름을 형기론의 관점에서 전래 된 전통 지리서 등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근 본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풍수적 관점에서 현지답사를 통해 살펴본 상제 강세지 객망리 일대의 지맥의 연결과정과 풍수적 특징과 요건들을 종합하여 볼 때 호남정맥으로부터 호남의 삼신산을 비롯해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뻗어내린 뭇산들과의 상호 결합 등으로 인해 대국의 풍수적 국세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인조화의 땅을 이룰 지리적 조건과 상제의 강세를 예시한 주변의 지명 등을 고려해 볼 때 풍수의 공간적 배합이 잘 이루어진 국세를 간직한 곳이며, 인간의 힘으로는 가늠할 수 없는 천혜의 큰 기운이 응집된 혈(穴)을 간직한 곳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n integral exploration of Feng Shui associated with the area around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a sacred site of Daesoon Jinrihoe which holds that the Supreme God descended in human form at that location (through Kang Jeungsan). Through an on-site Feng Shui survey,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plore the Feng Shui configurations around Kang Jeungsan's birthplace especially as it pertains to the connections among geomagnetic veins which lead to the Mount Shiru area. As a method of investig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Feng Shui of Gaekmang-ri Village and the geomantic veins leading up to Mount Shiru. This involved examining the landforms, topography, water flow, and geomantic veins of the area to reveal the overall Feng Shui configurations. Throughout the course of that on-site survey, this study first examined Mount Duseung and Mount Bangjang, also known as Mount Yeongju (sometimes collectively known as Mount Samshin), Mount Dongjuk, Mount Mangje-bong, Mount Maebong, and Mount Shiru. Then, this study stated some of the underlying issues through a scholarly approach based on various theories such as traditional geographical texts and theories on mountain-growth and water-flow from the perspective of Feng Shui.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oretical aspects of the uninterrupted and undulating flow of the terrain leading to Shiru Mountain. As a result, from a Feng Shui point of view, the connected network geomantic veins in the area of Kang Jeungsan's birthplace and the feng shui features and conditions were all examined through an on-site survey.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area forms a large Feng Shui site due to the vast interconnectivity among all the mountains that extend from the Honam vein and form organic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his even includes Mount Samshin in Honam.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s that formed a site that enabled harmony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kind, the surrounding place names also provide allus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irth of Kang Jeungsan as the descent of Supreme God into the human world through the historical figure, Kang Jeungsan. This area is an ideal spot with a propitious spatial arrangement in terms of its Feng Shui. Feng Shui analysis reveals the site to be a place that holds an earth energy-hub transmitting a great energy of nature that cannot be measured by human power alone.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청오경.금낭경」, 최창조 옮김, 서울: 민음사, 2001.
  3. 고남식, 「강증산의 강세지(降世地)인 정읍시(井邑市)에 나타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그 양상」, 「대순사상논총」 40,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0.0.187
  4. 신영대, 「풍수지리학원리」, 서울: 경덕출판사, 2004.
  5. 신영대, 「풍수지리로 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91
  6.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7.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8.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9.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문사철, 2013.
  10.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11. 차선근, 「대순진리회 고통론의 유형화와 특징」,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2.1
  12. 차선근,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257
  13. 하종필, 「전북 고창 방장산」, 「대순회보」 31, 1992.
  14. 徐善繼.徐善述, 「地理人子須知」,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2000.
  15. 《구글어스》 https://earth.google.com
  16. 《국토정보플랫폼》 https://map.ngii.go.kr
  17. 《네이버지도》 https://map.naver.com
  18.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홈페이지》 http://www.daesoon.org
  19. 《유튜브》 https://www.youtube.com
  20. 《디지털고창문화대전》 http://gochang.grandculture.net
  21. 《문화재청》 https://www.cha.go.kr
  22.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