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won Area and Official Documents during the Modern Reform Period

근대개혁기 창원지역과 공문서

  • Received : 2023.09.30
  • Accepted : 2023.10.19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ystem of official documents enacted during the modern reform period and th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scrutinizing the reality of management of the official documents that were conducted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and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I progressed this study targeting Changwon superintendent office that functioned as the modern government office among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that existed during the modern reform period, and whos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in the government office remained relatively intact. At first, I summarized the history of Changwon area where Changwon superintendent office was installed. I investigat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Masanpo port of Changwon was opened in the past history and the superintendent office was installed. Following this, I categorized the function of Changwon superintendent office from the legal perspective, and reviewed the major contents of th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in the business activ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Finally, I compared and analyzed the system of the official documents enacted at that time and their formats, organizing the official documents produced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modern reform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the official documents about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이 연구는 근대개혁기에 제정된 공문서 제도와 지방관청에서 생산한 공문서를 분석하여 당시 지방관청에서 이루어진 공문서 관리 실상을 들여다보고, 그 특징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대개혁기에 존재했던 지방관청 중에서 근대관청으로서 기능을 하고, 그 관청에서 생산된 공문서가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는 창원감리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창원감리서가 설치된 창원지역의 역사를 개괄하였다. 지난한 역사에서 창원의 마산포가 개항되고 감리서가 설치된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창원감리서의 기능을 법적 관점에서 분류하고 그 업무활동에서 생산된 공문서의 주요 내용과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제정된 공문서 제도와 생산된 공문서의 형식을 비교 분석하여 근대개혁기 지방관청에서 생산한 공문서와 지방관청에 관한 공문서 제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억(1994). 갑오개혁 이후 공문서 체계의 변화. 규장각, 17, 77-98.
  2. 김건우(2006). 갑오개혁기 「공문식」과 공문서의 변화. 고문서연구, 29, 137-162.
  3. 김도환(2010), 갑오개혁 이후 내장원 경리원의 공문서 분류 관리: 접수스탬프의 분석을 중심으로. 규장각, 37, 321-369.
  4. 김상민(2003). 마산포 개항의 배경과 경위. 경남지역문제연구원연구총서, 8, 201-222.
  5. 김정대(2014). 통합 창원시 권역 행정구역 이름의 역사. 가라문화, 제26집.
  6. 김현미(2005). 탁순국의 성립과 대외관계의 추이. 역사와 경계 제57집, 1-55.
  7. 김동수(1998). 갑오개혁기의 지방제도 개혁. 전남사학, 15, 1-62.
  8. 김재순(1992). 한국근대 공문서관리제도의 변천. 기록보존. 5, 35-49.
  9. 김현영(2006). 조선시대 지방 관아에서의 기록의 생산과 보존. 고문서연구, 28, 25-37.
  10. 김태웅(2002). 갑오개혁 전후 지방공문서관리의 변화. 규장각, 23, 141-155.
  11. 남재우(2005). 골포국의 형성과 발전. 역사와 경계 제54집, 131-158
  12. 남재우(2008). 칠포국의 성립과 변첩. 한국상고사학보, 61, 59-84.
  13. 민회수(2013). 한국근대 개항장 개시장의 감리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14. 박성준(2008). 대한제국기 公文書의 편철과 분류. 서지학연구, 41, 317-354.
  15. 박성준(2009). 갑오개혁 대한제국기 공문서의 보존기간 起算과 책정 기준. 한국사학보, 35, 261-294.
  16. 손계영(2014). 19세기 말 지방관의 업무와 기록물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74, 31-52.
  17. 손정목(1976). 마산의 개항-노일 양국의 추악한 각축장. 도시문화, 30.
  18. 송정숙(2013). 조선 개항장의 감리서와 기록-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 255-2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255
  19. 안홍좌(2016). 변진주조마국의 형성과 변천. 지역과 역사, 38권, 133-166.
  20. 유장근, 허정도, 조호연(2003). 대한제국 시기 마산포 지역의 러시아 조차지 성립 과정과 각국공동조계 지역의 도시화. 인문논총, 16, 59-104.
  21. 이경용(2002). 한말 기록관리제도: 공문서관리 규정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161-223.
  22. 이승휘(2008). 갑오개혁기 기록관리제도와 등기실체제. 기록학연구, 17, 85-114.
  23. 이영학(2007). 갑오개혁 시기 기록관리제도의 변화. 역사문화연구, 27, 89-126.
  24. 이영학(2009). 대한제국시기의 기록관리. 기록학연구, 19, 153-192.
  25. 이윤상(2004). 개항 전후 마산지역의 경제적 변화. 역사문화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91-105.
  26. 이지영(2022). 한말 국가의개혁사업과 농민항쟁의 성격변화,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27. 임형태(2020). 갑오개혁시기 기록관리제도 변화양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8. 정일균(2014). 갑오개혁기 정부의 공문서제도. 사회와 역사, 101, 267-310.
  29. 조호연(2013).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의 마산포와 러시아. 가라문화.
  30. 한석태(1996). 갑오개혁기의 지방통치제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남법학, 12, 273-289.
  31. 각관찰부조회존안
  32. 공문편안
  33. 공문접수
  34. 덕원보첩
  35. 동래보첩
  36. 무안보첩
  37. 역토소관문첩내안
  38. 인천항안
  39. 조선.대한제국관보
  40. 조선왕조실록
  41. 창원보첩
  42. 김상현, 구경아, 민혜영, 이미진, 오세현, 신한솔(2022). 경상남도 지리지 해제집. 경상국립대학교 고문헌도서관.
  43. 김정섭, 김형만 역자, 오횡묵 저자(2008). 지도군총쇄록. 신안문화원.
  44. 고경석, 남재우, 서유석, 송성안(2011). 청소년을 위한 창원의 역사. 창원문화원.
  45. 국역법규유편 1권(2021).
  46. 국역법규유편 2권(2022). 법원도서관. 
  47. 마산개항백년사 편찬위원회(1999). 마산개항백년사. 마산시.
  48. 마산시사편집위원회(2011). 마산시사. 마산시사편찬위원회.
  49. 민긍기(2005). 역주 창원부읍지. 창원문화원.
  50. 진해시사편찬위원회(2006). 진해시사. 진해시.
  51. 창원시사편찬위원회(1997). 창원시사. 창원시.
  52. 하동길 번역, 한석태 해제, 스와시로 원저(2021). 마산항지. 창원: 불휘미디어.
  53. 하동길 번역, 한석태 해제, 스와 부고츠(2021). 마산번창기. 창원: 불휘미디어.
  54. 현광호(2007). 대한제국과 러시아 그리고 일본. 서울: 선경그리픽스.
  55. 허정도(2005). 전통도시의 식민지적 근대화. 서울: 신서원
  5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
  57.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o.kr/
  58. 디지털창원문화대전. http://changwon.grandculture.net/changwon/
  5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