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ANRU as a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in France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의 특성과 시사점

  • Wonseok Park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Land Administration, Daegu University)
  • 박원석 (대구대학교 부동산.지적학과 )
  • Received : 2023.08.20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NRU, France's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and to examin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for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RU is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national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in France, and ANRU is a central-led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but it aims to operate a governance method in which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articipate. Second, ANRU operates three urban regeneration programs nationwide: PNRU, NPNRU, and PNRQAD, and throug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t is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business district, diversification of urban functions,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diversity. Third, it proposed the need for a national-level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for effective promotion and visible resul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the need for solidar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us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at various levels.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인 ANRU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에 활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프랑스에서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ANRU는 중앙주도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이지만,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주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방식의 운영을 지향한다. 둘째로, ANRU는 PNRU, NPNRU, PNRQAD 등 3개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행정 및 재정지원을 통해, 사업지구 내 주거환경의 개선, 도시기능의 다양화, 경제 개발, 사회적 다양성 증대 등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로, 국내의 도시재생사업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인 추진과 가시적 성과를 위한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의 필요성, 자치단체 간 연대의 필요성, 다양한 차원의 민관 파트너십 활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천권 외, 2021, 도시재생의 이해. 파주: 보고사.
  2. 김혜천, 2013,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6(3), pp.1-22.
  3. 김홍주, 2018,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도시재생지원센터 거버넌스 특성 및 향후 운영방안," 공간과 사회 28(3), pp.140-165.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140
  4. 류동길.박원석, 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381-397.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381
  5. 박원석, 2013,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리츠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75-292. https://doi.org/10.23841/EGSK.2013.16.2.275
  6. 박원석, 2018,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자본시장 활용 방안-미국의 부담가능주택 리츠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31-253. https://doi.org/10.23841/EGSK.2018.21.3.231
  7. 박원석, 2019, "일본의 임대주택 리츠의 자산관리 특성과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36-51.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36
  8. 박원석, 2021a. "도시재생을 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로서 BID(Business Inprovement Districts)의 활용 방안," 부동산분석 7(2), pp.89-116. https://doi.org/10.30902/jrea.2021.7.2.89
  9. 박원석, 2021b.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관 파트너십을 활용한 재원조달 방안," 한국지적학회지 37(3), pp.159-177. https://doi.org/10.22988/KSC.2021.37.3.012
  10. 박원석, 2023,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 방안: 거너번스 관점에서 본 유형 및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6(2), pp.137-154. https://doi.org/10.23841/EGSK.2023.26.2.137
  11. 배준구, 2014, "프랑스의 도시간 협력," 사회과학연구 30(4), pp.499-521. https://doi.org/10.1177/0886260514535094
  12. 배준구, 2019, "프랑스의 도시재생사업과 시사점 - 마르세유와 낭트 사례로," 지중해지역연구 21(1), pp.103-132. https://doi.org/10.18218/JMAS.2019.21.1.103
  13. 서수정‧박성남.임강륜, 2014, 도시재생지원기구 운영사례 및 중장기 운영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4. 유해연.조훈희, 2013a. "프랑스 노후 주거지의 근린재생을 위한 지원제도 연구," 국토계획 48(2), pp.185-201
  15. 유해연.조훈희, 2013b, "프랑스 노후 주거지의 재생을 위한 근린재생 프로그램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6), pp.19-32. https://doi.org/10.6107/JKHA.2013.24.6.019
  16. 윤주선.이여경, 2017, 민관협력사업을 통한 자립형 도시 재생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7. 이상민.서수정.성은영, 2013,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8. 이성근.최민아, 2012, "보를로법에 의한 프랑스 국가도시재생프로그램(PNRU) 및 도시재생사업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4), pp.15-33.
  19. 최민아, 2011. "프랑스 도시연대 및 재생에 관한 법률(SRU법)의 연대(Solidarit) 개념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7), pp.5-20.
  20. 최민아.최지인.양동석, 2013,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구축 및 적용 방안 연구-해외 도시재생 모니터링 지표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3(3), pp.51-60. https://doi.org/10.12813/kieae.2013.13.3.051
  21. ANRU, 2020, Sur l'enquete de la Cour des comptes sur l'agence nationale pour la renovation urbaine et la mise en oeuvre des programmes de renouvellement urbain.
  22. Chen, C. Y. and Webster, C., 2006, "Privatising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existing urban neighbourhoods," Property Management 24(2), pp.98-115. https://doi.org/10.1108/02637470610657998
  23. Coatham, V. and Martinali L., 2010, "The role of community-based organisations in sustaining community regeneration: An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and contribution of Castle Vale Community Regeneration Services(CVCR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30(1/2), pp.84-101. https://doi.org/10.1108/01443331011017056
  24. Cour des comptes, 2020, L'agence nationale de renovation urbaine (ANRU) et la mise en oeuvre des programmes de renouvellement urbain (PNRU et NPNRU) - avril 2020.
  25. Dargan, L., 2007, "Conceptualising regeneration in the New Deal for Communities," Planning Theory & Practice 8(3), pp.345-362. https://doi.org/10.1080/14649350701514660
  26. Lowndes, V., Nanton, P., McCabe, A. and Skelcher, C., 1997, "Networks, partnerships and urban regeneration," Local Economy 11(4), pp.333-342. https://doi.org/10.1080/02690949708726349
  27. McGreal, S., Webb, J., Adair, A., and Berry, J., 2006, "Risk and Diversification for Regeneration/Urban Renewal Properties: Evidence from the U.K.," Journal of Real Estate Portfolio Management 12(1), pp.1-12. https://doi.org/10.1080/10835547.2006.12089736
  28. ANRU, www.anru.f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30일).
  29. Cour des comptes, www.ccomptes.f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