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r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Trunk Muscular Endura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Normal-weight Obese Women

코어운동이 마른 비만 여성의 신체조성과 복부 근육두께, 몸통 근지구력,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Sang Ho Ki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Kwangju Women's University) ;
  • Tae Hwa Se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 Nam Gi Le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김상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 서태화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남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23.04.20
  • Accepted : 2023.06.07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Background: Normal-weight obese women have a normal weight with relatively low muscle mass resulting from high body fat.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trunk muscular endura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normal-weight obese women. Design: One group pre-, mid-, and post-test design. Methods: A total of 20 normal-weight obese women were recruited voluntarily. Core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InBody measurements, ultrasound imaging, and clinical tests were used to assess body compositi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trunk and core muscular endurance, and psychological condition(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nd self-esteem).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pre-test),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mid-test), and 4 weeks after intervention (post-test). 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Friedman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l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the body composition (p>0.05), thickness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and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endurance of the trunk flexors and extensors and core muscles, and psychological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e intervention (p<0.05). Conclusion: Our findings will help develop exercise programs for normal-weight obese individuals that utilize the beneficial effect of core exercises.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영. 플랭크시 척추세움근과 허리 네모근에 부착된 키네시오 테이프가 복부근육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3;30(2):82-89.
  2. 곽현, 김상범. 저열량 식사와 동반한 코어 프로그램(Core Program)의 체중 감량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2002;11(3):308.
  3. 권정현. 12주간의 걷기운동 생활습관이 마른비만 여대생의 혈압,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21;23(5):1121-1131.
  4. 김동은, 서강덕, 이명호. 비타민C Megadose 복용이 정적 및 동적 운동에서 근지구력과 근 피로에 미치는 영향. 운동재활.복지. 2022;3(1):19-28.
  5. 김석희. 12주간 코어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관절가동범위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012;26(1):145-156.
  6. 김진영, 김예영, 이만균. 12주간의 저항성 운동이 20대 마른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심혈관기능 및 hs-CRP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6;25(2):907-919.
  7. 김홍수. Core stability training이 대학생의 신체구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012;14(4):102-110.
  8. 남덕현. 웨어러블 신체구성 측정기기(InBody BAND)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16;18(3):59-69. https://doi.org/10.21797/KSME.2016.18.3.006
  9. 두영택, 정연우. 일부 여고생과 여대생에서의 월경곤란증 및 허리통증과 체간 근지구력 및 가동범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17;42(3):269-275.
  10. 박성환. 능동진동 몸통안정화운동이 부정렬증후군 여대생의 근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2020.
  11. 박수진. 필라테스(Pilates) 코어강화운동이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자기지각과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2013.
  12. 신철호, 윤성민, 박후성, 박기덕. 요부안정화 운동이 복부비만 중년 남성의 요부 근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14;22(1):15-21.
  13. 안근옥, 옥정석, 홍지영. 남자대학생의 비만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2011;13(3):23-30.
  14. 오석종. 동일 강도 걷기와 달리기 운동이 20대 마른비만 여성의 신체조성, 유산소성 능력 및 무릎관절 근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2013.
  15. 오석종, 한정규. 동일 강도 걷기와 달리기 운동이 20대 마른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유산소성 능력 및 하지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021;23(2):255-263.
  16. 유재희, 조현숙. 복합운동과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체구성, 건강상태 지각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비교: 마른 비만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4):91-103.
  17. 윤삼원, 구봉오. 교각자세 또는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복부 드로우-인 운동의 배가로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두께 변화. PNF and Movement. 2021;19(3):321-329. https://doi.org/10.21598/JKPNFA.2021.19.3.321
  18. 윤원희. 자기 및 대인관계 관리가 대학생활만족과 이타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동양대학교;2017.
  19. 이원영, 김미량. 국내 밸런스 트레이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7;68:539-550.
  20. 이한웅. 코어운동이 복부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체간 근 횡단면적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2015
  21. 임영란. 코어운동이 비만 여자 청소년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18;23(2):115-126.
  22. 정경현, 이병희. 코어 운동이 성인 남성의 동적 균형과 몸통의 수평 회전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4):96-111.
  23. 정승교. 20대 여성의 비만 검진 방법으로서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기본간호학회지. 2009;16(1):14-20.
  24. 정헌. 여성들의 필라테스 활동에 따른 외모 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2018.
  25. 정혜진, 하수진, 정예지, 조우현, 김준기, 원종임. 플랭크 운동이 경한 만성 요통 대상자의 복부 근육 두께와 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9;26(1):51-59.
  26. 조지숙. 청소년의 신체상.신체적 매력, 신체상의 왜곡과 자아존중과의 관계[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1992.
  27. 주미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마른비만 여자대학생들의 신체조성, 혈중 지질, 체력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2;19(5):595-604.
  28. 최정희.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2000.
  29. 홍서연, 이원영, 김미량. 12주간의 필라테스 코어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골밀도와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8;57(2):585-597.
  3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2009.
  3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Progression models in resistance training for healthy adults. Med Sci Sports Exerc. 2000;41(3):687-708.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1915670
  32. Brown AB, McCarney N, Sale DG. Positive adaptations to weight-lifting training in the elderly. J Appl Physiol. 1990;69(5):1725-1733. https://doi.org/10.1152/jappl.1990.69.5.1725
  33. Fappa E, Yannakoulia M, Pitsavos C, et al. Lifestyle inter-vention i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could we improve adherence issues?. Nutrition. 2008;24(3):286-291. https://doi.org/10.1016/j.nut.2007.11.008
  34. Kang KW, Son SM, Ko YM.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ability on plank exercises with various surfaces. J Korean Soc Phys Ther. 2016;28(5):264-268. https://doi.org/10.18857/jkpt.2016.28.5.264
  35. Kiesel KB, Underwood FB, Mattacola CG, et al. A comparison of select trunk muscle thickness change betwee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classified in the treatment-based classification system and asymptomatic control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10):596-607. https://doi.org/10.2519/jospt.2007.2574
  36. Kim B, Yim J. Core stability and hip exercises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activity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low back pain. J Exp Med. 2020;251(3):193-206.
  37. Kim JY, Han SH, Yang BM. Implication of high-body-fat percentage on cardiometabolic risk in middle-aged, healthy, normal-weight adults. Obesity. 2013;21(8):1571-1577. https://doi.org/10.1002/oby.20020
  38. Mable HM, Blance WD, Galgan RJ. Body image distortion and dis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 Mot Skills. 1991;63:907-911. https://doi.org/10.2466/pms.1986.63.2.907
  39. Marques-Vidal P, Pecoud A, Hayoz D, et al. Prevalence of normal weight obesity in Switzerland: effect of various definitions. Eur J Nutr. 2008;47(5):251-257. https://doi.org/10.1007/s00394-008-0719-6
  40. Marques-Vidal P, Pecoud A, Hayoz D, et al. Normal weight obesity: relationship with lipids, glycemic status, liver enzymes and inflammation. Eur J Nutr. 2019;20(9):669-675.
  41. Romero-Corral A, Somers VK, J. Sierra-Johnson Y, et al. Normal weight obesity: a risk factor for cardiometabolic dysregulation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Eur Heart J. 2010;31(6):737-746. https://doi.org/10.1093/eurheartj/ehp487
  42. Ruderman N, Chisholm D, Pi-Sunyer X, et al. The metabolically obese, normal-weight individual revisited. Diabetes. 1998;47(5):699-713. https://doi.org/10.2337/diabetes.47.5.699
  43. Staff F. The impact of coronavirus on global activity. Fitbit News USA 2020;Mar(23).
  44. Wilson JD, Dougherty CP, Ireland ML. Core sta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2005;13(5):316-25. https://doi.org/10.5435/00124635-200509000-00005
  45. Wong PC, Chia MY, Tsou IY, et al. Effects of a 12-week exercise training programme on aerobic fitness,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C-reactive protein in adolescents with obesity. Ann Acad Med Singap. 2008;37(4):286-293. https://doi.org/10.47102/annals-acadmedsg.V37N4p286
  46.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eva: WHO.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