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and Use Characteristics Using GIS DB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

GIS DB를 이용한 토지이용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 건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

  • Min-Kyoung CHUN (Graduate School, Dept. of Geoinformatics, Dong-Eui University) ;
  • Tae-Kyung BAEK (Dept. of Geoinformatics, Dong-Eui University)
  • 천민경 (동의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
  • 백태경 (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 Received : 2023.05.25
  • Accepted : 2023.09.05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As cities continue to develop rapidly, overcrowding, pollution, and urban sanitation problems arise, and the need to separate conflicting uses is emerging. From this perspective,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urban land use should be planned. Therefore, all activities in land space must be predicted in advance and planned so that land use can be rationally established. This study used the constructed data to compare and analyze the u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identify the building area status, total floor area, and floor area ratio by use zone in districts and coun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idential a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area by use zone at 51%, and that the residential a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t 63% of the total floor area by use zon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pecialization coefficient that can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land use composition ratio.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rend of the entire region just by coun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area, the area composition ratio was calculated and compared. Looking at the residential facilities among the specialization coefficients by use area, it is above 1.0 except for Gijang-gun, Sasang-gu, Saha-gu, and Jung-gu. Commercial facilities are over 1.0 except for Gijang-gun, Gangseo-gu, Nam-gu, Sasang-gu, and Saha-gu. Looking at industrial facilities, you can see that the industrial complex distribution area is Gangseo-gu (2.5), Gijang-gun (1.22), Sasang-gu (2.06), and Saha-gu (1.64).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usiness facilities and educational welfare facilities were evenly distributed. Land u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imul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 heights according to each elevation in each use area and the height of buildings in each use area. In general, areas over 80m account for more than 43% of Busan City, showing that the distribution of use areas is designated in areas with high altitude due to the influence of topographical conditions.

급격한 도시의 발전을 거듭해 갈수록 인구과밀, 공해오염, 도시 위생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상충하는 용도 간의 분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토지이용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토지공간의 제반 활동을 미리 예측하고 계획적으로 세워 토지이용을 합리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용도분포특성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광역시 구·군의 용도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 연면적, 용적률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용도지역별 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51%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용도지역별 연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6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토지이용구성비만으로 지역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특화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적의 절댓값을 집계하는 것만으로는 지역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적 구성비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용도지역별 특화계수 중 주거시설을 보면 기장군, 사상구, 사하구, 중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업시설은 기장군, 강서구, 남구, 사상구, 사하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공업시설을 보면 강서구(2.5), 기장군(1.22), 사상구(2.06), 사하구(1.64)로 공단분포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외 업무시설과 문교후생시설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도지역별 각 표고에 따른 건축물 높이 현황과 용도지역별 건축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통한 토지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부산시는 80m 이상의 지역이 4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용도지역의 분포가 지형적인 조건의 영향으로 표고가 높은 지역에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정부(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20-10-01).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동의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Baek. T.K. 2002. Assignment of Zoning and Analysis of Land U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45-55
  2. Baek. T.K., Kim Y.H. and J.M. Choi. 2004. Constructing Land-use Database Based on the Cadastral Map and Registerd Build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4):133-142
  3. Choi. J.M. 2006.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Zon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Master's Thesis. Dong-Eui Univ. 75pp
  4. Kahng. B.K., Yuh H.K. and H.J. Kim. 1997. Mixed Use Zoning : The Concept and Change of Control in Urban Planning Law.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2(1)
  5. Koo. J.H. 200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 The Case of the City of Poh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3(3):77-89
  6. Lee. D.H,, Baek. T.K. 2007.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Height of Buildings using Urban Landscape Simulation. 10(4):132-141,
  7. STATISTICAL YEARBOOK. 2019. Busan Metropolitan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