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Inclus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gree of Disability

장애 정도에 따른 공간적 포용성과 사회참여의 관계

  • 김시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3.07.21
  • Accepted : 2023.09.21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define "spatial inclusivity" and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disability severity and spatial inclusivity on social participation among individuals experiencing physical discomfort. The social and spatial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area is crucial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o face limited activity range and complex barriers due to physical constraints. In this study, spatial inclus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defined as establishment of equal relationships with non-disabled individual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basic facilities and services in a safe urban space that allows for access and utilization. This concept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individual networks, social environ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encompasses safety levels,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public transportation conditions, medical services in residential areas. We used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severity, spatial inclus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using a two level regress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local level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articipation. Secondly, when identifying divi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nto five sub-factor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individual factors is found. Thirdly, trustworthy and friendly social environment at the local level has a negative impact on social participation. Thes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spatial inclusivity has an effect o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urban planning to create and enhance condition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신체의 불편함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참여를 제고시키기 위해 '공간적 포용성'여 장애와 공간적 포용성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거주하는 지역의 사회·공간적 환경은 신체적 제약으로 인해 활동반경이 좁고 복합적인 장벽에 직면하는 장애인에게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에서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관계를 형성하고 안전한 도시공간에서 기본적인 시설과 서비스로의 이용과 접근이 가능한 환경을 갖춘 것으로 장애인 관점의 공간적 포용성을 정의한다. 공간적 포용성은 개인의 관계망,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며, 물리적 환경은 거주 지역의 안전수준/자연환경/생활환경/대중교통 여건/의료서비스 여건 등을 포괄한다.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장애 여부와 공간적 포용성에 따른 사회참여와의 관계를 2수준 다층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수준의 개인적 관계망과 지역 수준의 물리적 환경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물리적 환경을 5개 하위요인으로 파악하였을 때 개별요소의 유의한 영향 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지역 수준에서 신뢰할 수 있고 친근한 사회적 환경은 사회참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간적 포용성이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고, 장애인의 사회참여 여건 마련 및 제고를 위한 도시계획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 2016, 「다층모형」, 서울: 학지사.
  2. 강승원.이해경, 2016, 고령장애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과 도시지역 비교, 「지역과세계」, 40(2), pp.31-56. https://doi.org/10.33071/ssricb.40.2.201608.31
  3. 김동기.이웅, 2012,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17, pp.129-147.
  4. 김명수.정재황, 2007, 장애인 이동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성균관법학」, 19(3), pp.105-130. https://doi.org/10.17008/skklr.2007.19.3.005
  5. 김미옥.정은혜.박지혜, 2020,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과 사회참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47(2), pp.5-29.
  6. 김상구.조홍중, 2012,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운영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5(3), pp.185-211.
  7. 김승호.박재국.김은라, 2016,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삶의 질, 「장애와고용」, 26(4), pp.173-195. https://doi.org/10.15707/disem.2016.26.4.007
  8. 김신원.강태순, 2003, 지체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 31(3), pp.1-16.
  9. 김한양, 2001, 장애인을 위한 도시계획제도의 한.영 비교 고찰, 「복지행정논총」, 11(2), pp.1-13.
  10. 두오균, 2010, 장애인의 이동권에 관한 연구, 「장애아동인권연구」, 1(1), pp.7-19.
  11. 박능후.구만서, 2016,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사회연구」, 19, pp.79-115.
  12. 박미숙, 2010, 간질장애인의 사회참여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국장애인복지학」, 13, pp.67-89.
  13.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pp.95-139.
  14.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공간과 사회」, 26(4), pp.109-158.
  15. 성은영.임하나.최수남.이훈.최창규, 2016,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장소 애착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1(3), pp.241-259.
  16. 신유리.김은경, 2011,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에 대한 여성장애인의 주관적 인식연구: Q 방법론의 활용, 「여성학연구」, 21(3), pp.101-140.
  17. 신은경.곽지영, 2008, 지체장애여성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24(1), pp.259-281.
  18. 신은경.이한나, 2013, . ICF 관련 범주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장애인의 사회참여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5(1), pp.5-31. https://doi.org/10.20970/kasw.2013.65.1.001
  19. 신주화.김성훈.김병우, 2009,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 과정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과학연구」, 25(3), pp.155-185.
  20. 엄기복, 2007, 광역지자체 재가 장애인의 생활욕구 분석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학연구」, 2(1), pp.17-39. https://doi.org/10.5103/KJSB.2007.17.4.001
  21. 유동철, 2011,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장애인차별 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3(1), pp.217-239.
  22. 윤수영.홍승봉.곽준규, 2001, 간질환자의 스티그마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질학회지」, 5(2), pp.172-176.
  23. 윤지영.강은지.강현경, 2012,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3), pp.454-462.
  24. 이계승, 2014,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 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5(2), pp.375-402.
  25. 이성규.정은영, 2006, 장애인 생활환경실태 조사연구, 「의료복지건축」, 12(3), pp.43-51.
  26. 이소영, 2013, 장애인 건강격차의 문제와 건강지표 활용추세: 발달장애인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1(1), pp.73-106.
  27. 이숙향, 2018,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1(2), pp.45-78.
  28. 이익섭.최정아, 2005,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의 의의와 한계: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13, pp.1-27.
  29. 임정재.강정한.김상돈, 2011, 청소년의 온라인 매체 이용이 신뢰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12(2), pp.37-67.
  30. 정태호.윤누리.박덕근, 2019, 장애인 재난안전 관계 법령개선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34(1), pp.98-107.
  31. Balandin, S., Llewellyn, G., Dew, A., Ballin, L., & Schneider, J., 2006, Older disabled workers' perceptions of volunteering, Disability & Society, 21(7), pp.677-692.
  32. Bigonnesse, C., and Mahmood, A., Chaudhury, H., Mortenson, W.B., William C. Miller & Kathleen A. Martin Ginis, 2018, The role of neighborhood physical environemnt on mobility and social participatin among people using mobility assistive technology, Disability & Society, 33(6), pp.866-893.
  33. Brachtesende, A., 2003, Ready to go? Helping older adults address community mobility. OT practice, 818, pp.14-25.
  34. Bromley, Rosemary D., David L. Matthews, and Colin J. Thomas, 2007, City Centre Accessibility for Wheelchair Users: The Consumer Perspective and the Planning Implications, Cities, 24(3), pp.229-241. https://doi.org/10.1016/j.cities.2007.01.009
  35. Dahl, E., Flotten, T., & Lorentzen, T., 2008, Poverty dynamics and social exclusion: An analysis of Norwegian panel data, Journal of Social Policy, 37(2), pp.231-249.
  36. Dijkers, M.P., 2010, Issu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participation: an overview,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9), pp.S5-S16. https://doi.org/10.1016/j.apmr.2009.10.036
  37. Gibson, Barbara E., Barbara Secker, Debbie Rolfe, Frank Wagner, Bob Parke, and Bhavnita Mistry, 2012, Disability and Dignity-Enabling Home Environments, Social Science & Medicine, 74(2), pp.211-219.
  38. Greg, T., and Bret, K., and Wright, A. 2009,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place: Expanding methods to conceptualize and measur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Health and Place. 15(2),
  39. Hoenig, Helen, Carl Pieper, Laurence G. Branch, and Harvey Jay Cohen. 2007, Effect of Motorized Scooters on Physical Performance and Mobil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3), pp.279-286.
  40. Kaufman, J., 1999, Three View of Associationalism in 19th-Century American: An Empirical Examin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4(5), pp.1296-1345. https://doi.org/10.1086/210176
  41. Krahn, G. L., Hammond, L., & Turner, A., 2006, A cascade of disparities: Health and health care acces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2(1), pp.70-82.
  42. Kylberg, Marianne, Charlotte Lofqvist, Judith Phillips, and Susanne Iwarsson, 2013, Three Very Old Men's Experiences of Mobility Device Use over Tim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5), pp.397-405. https://doi.org/10.3109/11038128.2013.779321
  43. Larson, R., 1978,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33, pp.109-125. https://doi.org/10.1093/geronj/33.1.109
  44. Levasseur, M., Gauvin, L., Richard, L., Kestens, Y., Daniel, M., Payette, H., & NuAge Study Group, 2011,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proximity to neighborhood resources, dis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VoisiNuAg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12), pp.1979-1986.
  45. Livneh, H., & Wilson, L.M, 2003, Coping strategies as predictors and mediators of disability-related variables and psychosocial adaptation: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6(4), pp.194-208.
  46. Noreau, L., Fougeyrollas, P., Post, M., and Asano, M., 2005, Particip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The Evolution of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Therapy, 29(3), pp.147-156. https://doi.org/10.1097/01.NPT.0000282247.15911.dc
  47. Putnam, R.D, 1995,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8(4), pp.664-683.
  48. Silva, F.C.M., Sampaio, R.F., Ferreira, F.R., Camargos, V.P., & Neves, J.A., 2013, Influence of context i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Brazil, Revista Panamericana de Salud Publica, 34(4), pp.250-256.
  49. Sin, E.K., & Lee, H.N, 2013, Factors influencing social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musculoskeletal conditions: Applying ICF relevan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1), pp.5-31.
  50. Stolle, D., 2001, Clubs and Congregations: The Benefits of joining an Association, Trust in Society, 2(374), pp.V392.
  51. Tomassen, P.C.D., Post, M.W.M., & Van Asbeck, F.W.A., 2000, Return to work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38(1), pp.51-55.
  52. Wee, Joy, and Rosemary Lysaght. 2009, Factors Affecting Measures of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Mobility Impairment, Disability & Rehabilitation, 31(20), pp.1633-1642.
  53. 국가인권위원회, 2007, 「장애인권리협약 해설집」
  54. 보건복지부, 20221, 「2020 장애인 실태조사」
  55. 보건복지부, 2023, 「22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56. 질병관리본부, 2019,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조사문항지침서」
  57. UN, 2006,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