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vidence Use and Decision-making Difficulties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in SSI Discussions

SSI 수업에서 초등 과학 영재의 추론 유형별 근거 활용의 특징과 의사결정의 어려움 분석

  • Received : 2023.02.02
  • Accepted : 2023.07.25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ing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in a socioscientific issues (SSI) classroom discussion on COVID-19-related trash disposal challeng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vidence use and decision-making difficulties in each type of SSI-related reasoning. To this end, the transcripts of 17 gifted students of elementary science discussing SSIs in a classroom we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informal reasoning. The analysis framework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rimary influence involved in reasoning: rational, emotional, and intuitive.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exhibited four categories of evidence use in SSI reasoning. First, in the rational reasoning category, students deemed and recorded scientific knowledge, numbers, and statistics as objective evidence. However, students who experienced difficulty in investigating such scientific data were less likely to have factored them in subsequent decisions. Second, in the emotional reasoning category, students' solutions vari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hey empathized with and reasoned from. Differences in their views led to conflicting perspectives on SSIs and consequent disagreement. Third, in the intuitive reasoning category, students disagreed with the opinions of their peers but did not explain their positions precisely. Intuitive reasoning also created challenges as students avoided problem-solving in the discussion and did not critically examine their opinions. Fourth, a mixed category of reasoning emerged: intuition combined with rationality or emotion. When combined with emotion, intuitive reasoning was characterized by deep empathy arising from personal experience, and when combined with rationality, the result was only an impulsive re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search on student understanding and faculty knowledge of SSIs discussed in classrooms should consider the difficulties in informal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이 연구는 초등 과학 영재가 보이는 추론 사례를 분석하여 SSI 추론 유형별 근거 활용의 특징과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코로나19 관련 쓰레기 문제에 대한 SSI 수업에 참여한 초등 과학 영재 학생 17명의 발화 내용과 학습지를 비형식적 추론의 유형 분석틀로 분석하였으며, 추론의 근거에 따라 이성적 유형, 감정적 유형, 직관적 유형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SSI 추론의 근거 활용별로 다음의 특징을 보였다. 첫째, 이성적 유형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지식과 수치·통계를 객관적 근거로 중요하게 여기고 기록하였다. 반면 객관적 근거를 기록하지 않은 학생들은 이후의 의사결정에 소극적이었다. 둘째, 감정적 유형에서 학생들이 어느 관점에 공감하여 추론하느냐에 따라 제시한 해결책도 달랐다. 이는 학생들이 공감한 대상 외의 SSI에 관한 다양한 입장을 고려하지 못하는 어려움으로도 이어졌다. 셋째, 직관적 유형에서 학생들은 다른 모둠원이 제시한 의견에 반대하면서도 그 이유를 정확한 용어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문제 해결을 하지 않거나 근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지 않는 어려움으로도 이어졌다. 넷째, 두 가지 유형이 결합된 사례도 나타났다. 직관적 유형은 이성적, 감정적 유형에 앞서 나타났다. 직관적 유형은 감정적 유형과 결합되었을 때 개인의 경험과 공감을 바탕으로 감정 이입을 심화시켰으며, 이성적 유형과 결합되었을 때에는 즉각적인 반응으로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SSI 수업에서의 교수 지식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비형식적 추론 유형별 근거 활용의 특징과 의사결정의 어려움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욱, 김찬종(2021).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교육맥락에서 초등학생의 위치짓기 양상: 실천 지향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501-517.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6.501
  2. 김현주, 임희준(2016).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에 대한 의사결정 활동이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6(2), 39-55. 
  3. 이수정, 이현주(2014). 원자력 발전 관련 사회쟁점에의 비형식적 추론에서 가치 상반된 자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응답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147-168. 
  4. 이윤정, 장신호(2023).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 기반 과학수업 연구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127-148. 
  5. 이은항, 이은파, 정영란(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219-237. 
  6.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4). 집단지성 원리를 적용한 과학관련 사회⋅윤리적 쟁점 수업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23-53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23
  7.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8. 이현주(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 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39-550.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539
  9.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사회참여와 실천을 위한 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10. 장해리, 정영란(2009).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시 수행하는 비형식적 추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53-266.  https://doi.org/10.14697/JKASE.2009.29.2.253
  11. 조용환(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https://doi.org/10.17318/JAE.2015.18.4.001
  12. 조헌국(2014).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 191-2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1.191
  13. 주은정, 이윤정, 장신호(2016).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환경 분야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해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7-36. 
  14.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 352-377.  https://doi.org/10.1002/sce.10063
  15. DeBoer, G. E. (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82::AID-TEA5>3.0.CO;2-L
  16. Kahn, S., & Zeidler, D. L. (2019). A conceptual analysis of perspective taking in support of socioscientific reasoning. Science & Education, 28(6), 605-638.  https://doi.org/10.1007/s11191-019-00044-2
  17.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18. Ozden, M. (20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ormal reasoning and its' quality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86), 61-84.  https://doi.org/10.14689/ejer.2020.86.4
  19. Pedretti, E. (1999). Decision making and STS education: Explor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schools and science centers through an issues based approa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4), 174-18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9.tb17471.x
  20. Ratcliffe, M. (1997). Pupil decision making about socio scientific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2), 167-182.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203
  21. Sadler, T. D. (2004).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https://doi.org/10.1002/tea.20009
  22. Sadler, T. D., & Fowler, S. R. (2006). A threshold model of content knowledge transfer for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0(6), 986-1004.  https://doi.org/10.1002/sce.20165
  23.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https://doi.org/10.1002/tea.20042
  24. Thompson, S. C. G., & Barton, M. A. (1994). Ecocentric and anthropocentric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4(2), 149-157.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68-9
  25. Toulmin, S., Rieke, R. D., & Janik, A. (1979). An introduction to reasoning. New York: Macmillan.
  26. Wu, Y. T., & Tsai, C. C. (2007). High school students' informal reasoning on a socio-scientific issu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9), 1163-1187.  https://doi.org/10.1080/09500690601083375
  27. Yang, F. Y., & Anderson, O. R. (2003).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reasoning modes about nuclear energy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221-244.  https://doi.org/10.1080/09500690210126739
  28. Zeidler, D. L., Herman, B. C., Ruzek, M., Linder, A., & Lin, S. S. (2013). Cross cultural epistemological orientations to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3), 251-283.  https://doi.org/10.1002/tea.21077
  29.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https://doi.org/10.1002/sce.10025
  30. Zohar, A., & Nem 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https://doi.org/10.1002/tea.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