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SG Management Strategies of Port Enterprises for Sustainable Ports: Focusing on Port Authority

지속가능 항만을 위한 항만기업의 ESG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항만공사를 중심으로

  • Seo, Mun-Sung
  • 서문성 (금강대학교)
  • Received : 2023.12.14
  • Accepted : 2023.12.2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Recently, not only has ESG (Environment, Society, Governance) been discus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tensively, both within companies and at the level of national competitiveness, but also ESG management is seen as a concept that practically implements a new value syste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our humankind. As the mandatory disclosur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is scheduled for 2025, it is a reality that companies are experiencing considerable burdens and difficulties. In recent years, among ESG activities, which are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ies,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are acting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shipping companies. In particular, the National Assembly has enacted laws related to air quality, including ports, and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s making various support measures and plans to create eco-friendly por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SG reports and suggest related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ESG activation.

최근 국내 외적으로 ESG(Environment, Society, Governance: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해 기업 내부적으로나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집중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ESG 경영이 우리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체계를 실질적으로 실천하는 개념으로 보고 있다. 2025년으로 예정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어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상당한 부담감과 어려움이 가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해운과 항만 산업에 있어서 비재무적 경영 성과인 ESG 활동 중 친환경적인 활동이 고객인 선사에게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국회에서는 항만 등 대기질 관련법을 제정하고, 행정부인 해양수산부에서는 친환경 항만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지원책과 방안을 만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ESG 활성화를 위해서 ESG 보고서와 관련한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곤.박창호(2015), 인천내항의 재개발정책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9집 제4호, 319-327.
  2. 건설교통부(1995), 아산항 종합계획 기본계획 보고서.
  3. 견진현(2011), 북항재개발 워터프론트 활성화 방안:니스와 마르세이유의 예를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369-371.
  4. 권소현(2013), 항만재개발사업의 효율적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영상.조상규(2011),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공간 조성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6. 금동호.전성훈.전찬규(2019),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례 소개,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53-55.
  7.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2019),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 경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2집 제3호, 258-273.
  8. 김성규.문성혁(1996), 항만의 재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제20집 제1호, 59-72.
  9. 김윤희.서종국(2019),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제2019집 제9호, 162-163.
  10. 김정수.최문찬(1991), 부산항 재개발과 항만기능 효율화,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7집, 273-299.
  11. 김철환(2008). 현장중계: 항만발전과 친수공간 세미나 ; 북항재개발, 도심재생 빠진 기형적 형태, 제2008집 제12호, 88-93.
  12. 류동길(2010),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맹준호.조광우.김호석.박하늘.홍재상.유재원.이창근(2007), 갯벌 매립사업 환경평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4. 서문성(2020). 2020 음섬포구(舊 현내각 투기장)일원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 보고서, 당진시 내부자료.
  15. 송대호(2010),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공공디자인 선진사례 고찰: 미나토미라이 21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제25호, 403-417.
  16. 심기섭(2009), 우리나라 항만재개발사업의 정책 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4집, 128-144.
  17. 유병환.김경배(2014), 항만 재개발을 둘러싼 갈등과 쟁점사항 분석, 한국지역개발지역학회 세미나 논문집, 제2014집 제1호, 1-24.
  18. 이선주(2010),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통한 부산북항 재개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 석사학위 논문.
  19. 이선주.김성길(2007), 부산시 북항의 항만 재개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습지학회지, 제9집 제3호, 63-74.
  20. 이승일(2010),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대한도시계획학회 편, 세계의 도시디자인, 86-93.
  21. 이형하(2013), 항만재개발지구의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북항 재개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형하.이중우.강석진(2012), 항만재개발지구의 복합형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공동학술), 27-29.
  23. 이흥권(2009), 「협력적 계획」의 관점에서 본 부산 북항 재개발 갈등 사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전찬영, 2010항만재개발의 활성화를 위하여, 해양물류연구, 제6집, 5-10.
  25. 정봉현(2013), 항만과 배후도시 관계를 고려한 항만중심도시의 발전방향-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집 제1호, 77-97.
  26. 정상혁(201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설계 가이드라인의 통합화에 관한 연구 :뉴욕시 및 배터리파크시티 도시설계 가이드라인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정성문(2017),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공공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미국 볼티모어 이너하버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 건축학회논문집, 제57호, 100-110.
  28. 정성문(2019), 재개발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계획특성 분석-이탈리아 제노바와 프랑스 마르세유의 수변공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65호, 173-184.
  29. 정진성.조현천(2011), 21세기 유럽 해항도시의 롤 모델로서의 하펜시티 함부르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춘계), 375-377.
  30. 정유훈.안태훈(2011), 항만공사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처
  31. 조승연(2010), 미국 볼티모어시 수변지구 재생마스터플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진영환(2015),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지역연구, 제31집 제1호, 83-101.
  33. 진영환.한종구(2014), 항만도시재생, 국토연구원.
  34. 최강림(2019),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집 제11호, 309-320
  35. 최근희(2008), 서울시의 청계천복원정책과 영국 런던 도크랜드 재개발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1집 제3호, 291-313
  36. 해양수산부(2001a), 평택(아산)항 수리현상 조사 보고서.
  37. 해양수산부(2001b), 평택(아산)항 종합개발 기본계획 정비용역 보고서.
  38. 해양수산부(2019), 2019년 제2차 항만재개발사업, 이렇게 추진합니다, 2019년 5월 16일자 보도자료.
  39. 홍성도(2003), 항만재개발사업의 방향제시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물류학회, 제6집, 63-83.
  40. 항만법
  41. 항만법 시행령
  42.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
  43.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 시행령
  44. 항만재개발 및 주변지역발전에 관련 법
  45. 김용섭, ESG2.0 자본주의가 선택한 미래생존전략, p7.퍼블리온, 202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