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Welfare System and the Welfare Model of Yoon Seok-yeol government, focusing on social security policies

한국 복지체제 발전과 윤석열정부 복지정책의 방향, 사회보장정책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2.08
  • Accepted : 2023.02.13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al policy of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policy and theory. Theoretically,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Yoon government attempts to build and implement a welfare system model that wa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oon government. The newly elected government adopted a welfare model known as 'welfare for the vulnerable.' This model inherits the welfare ideology of the conservative parties in Korea, which is the self-reliance welfare. The Yoon government continues to expand welfare and family support, which were promoted by the Moon government. However, in most other areas, the Yoon government pursues different policies than the previous government. In terms of polic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ocial security policies of the Yoon government is insufficient to solve the welfare blind spot problem that is widespread in the Korean welfare system. Among the Yoon government's policies, there are only a few policies that can eliminate welfare blind spots, such as improving social assistance systems, introducing parental allowance, and promoting sickness allowances.

이 연구는 윤석열정부의 복지정책을 정책적 및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론적 측면에서 이 연구는 윤석열정부가 이전 정부와는 확연히 다른 복지제도 모델을 구축하고 실행하고자 했음을 보여준다. 새 정부는 한국 보수 정당의 복지이념인 자생복지에 바탕을 둔 약자복지모델을 제시하였다. 윤석렬정부가 직전 문재인정부의 정책을 계승한 것은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 확대와 가족지원의 확대 분야에 국한되었고, 나머지 정책에서 이전 정부와 뚜렷이 다른 방향을 추구하였다. 정책적으로 이 연구는 윤석열정부의 복지정책이 한국 복지체제에 광범위하게 걸쳐있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윤석렬정부의 정책에서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은 기초보장 개선, 부모수당 도입, 상병수당 도입 추진과 같이 소수의 분야에 제한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faculty research grant from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t Korea University in 2022.

References

  1. 강혜규, 최현수 외. (2022). 새 정부 보건.복지 분야 정책과제 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구인회, 김진현, 우해봉&홍민기. (2021). 소득기반 사회보험 구축방안 연구. 서울대산학협력단.
  3. 국회예산정책처. (2022a). 2023년도 예산안 총괄 분석 I. 국회예산정책처.
  4. 국회예산정책처. (2022b). 2023년도 예산안 총괄 분석 II. 국회예산정책처.
  5. 국회예산정책처. (2022c). 2023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6. 기획재정부. (2022). 따뜻한 나라, 역동적 경제, 건전한 재정: 2023년 예산안(2022.08). 기획재정부.
  7. 김원섭. (2022). 한국에서 복지국가적 국가형태의 형성에 관한 연구, 국가목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12(1).
  8. 김원섭. (2013). 국민연금 사각지대와 해소방안 연구. 한국재정학회.한국조세연구원 공동 정책세미나(2013. 05. 03.). 「복지 사각지대 현황과 해결방안」 자료집.
  9. 김원섭&유진숙. (2018). 한국 복지국가의 성과와 한계. 노동연구 37.
  10. 김원섭, 강성호, 김형수&이용하. (2016).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보편적 중층보장체계로의 재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4호.
  11. 김원섭&남윤철. (2011). 이명박 정부 사회정책의 발전: 한국 복지국가 확대의 끝?. 아세아연구 54(1).
  12. 김성욱. (2022).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진단과 평가: 소득보장. 월간복지동향 284.
  13. 김태완, 이주미, 강예은, 김기태&강성호. (202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문화체육관광부국민소통실. (2023). 윤석열 제 20대 대통령취임사, 2023. 05.10. 대한민국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1469
  15. 이성우.(2022년9월19일). "취약계층 지원강화" 尹정부 약자복지 윤곽...순항하나. 복지타임즈.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08
  16. 윤석열대통령. (2022년10월25일). 윤석열대통령 2023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시정연설문. https://www.icouncil.kr/news/articleView.html?idxno=51357
  17. 이상민. (2022). 23년 예산안 지출 구조조정의 모든 것: 현황, 의의, 문제점. 나라살림리포트 257호.
  18. 이윤경. (2021). OECD 주요국의 공공사회복지지출 현황. NABO Focus 제30호.
  19. 이혜경. (1993). 한국의 소득보장제도: 압축성장의 한계와 탈도구화의 과제. 연세사회복지연구 1.
  20. 제20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22).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의회신문. http://www.icouncil.kr.
  21. 최병호. (2014).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변천과 과제. 예산정책연구 제3권 제1호.
  22. 최장집. (2010).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2). 후마니타스.
  23. 행정안전부. (2022). 지방분권법.균형발전법 통합 추진...지방시대위원회 설치, 자치분권 종합계획 및 국가균형발전계획, '지방시대 종합계획'으로 통합.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5836
  24. Jou, Willy. (2010). The Heuristic Value of the Left-Right Schema in East Asia.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31(3).
  25. Kim, Won-Sub, Yu, Jin-Sook, & Nam, Yuncheol. (2022). The Impact of Government Partisanship on Social Policy in a Young Democracy: The Case of South Korea, Asian Politics & Policy 14(4).
  26. Lee, Cheol-Sung. (2016). When Solidarity Works: Labor-Civic Networks and Welfare States in the Market Reform Era (Vol.4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OECD., D. S. E. (2019). Society at a Glance 2019. Organization for Economic.
  28. Yang, Jae-Jin. (2017).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