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and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 Brands on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Type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개성과 SNS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영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
  • 양성병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빅데이터응용학과) ;
  • 윤상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23.03.21
  • Accepted : 2023.05.2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Generation MZ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consumer segment and trendsetter in the fashion market of South Korea. Fashion designer brands have become popular among this generation by offering a range of fashion content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based on fresh and trendy designs. Despite the growing market share of fashion designer brands in the industry,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brand personality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ashion bra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brand personality and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 brand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it examines how this influencing mechanism fluctuates based on the consumer type (i.e., innovative type vs. price-sensitive type).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256 Korean adults with experience in fashion designer brand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ing mechanisms on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mpirical investigations of consumer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 intention in fashion designer brands through the brand equity model. It also offers insight into developing a segmented brand strategy by considering the variations in the influence mechanism of behavioral intention across different consumer type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8103855).

References

  1. 강경영, 진현정, "소비자의 유행혁신성과 기술 혁신성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9권, 제1호, 2007, 35-40. 
  2. 고은주, 윤선영, "패션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마케팅, 제40권, 제5호, 2004, 78-83. 
  3. 고재윤, 음미라, 이유양, "웰빙 라이프스타일이 친환경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기업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6호, 2011, 273-292. 
  4. 곽길동, 권혁인, 김대진,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확장된 계획 행동이론 (ETPB) 기반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12호, 2022, 433-448  https://doi.org/10.5392/JKCA.2022.22.04.433
  5. 김나연, 이현수, "패션 브랜드 이미지와 매장 공간 이미지의 상관관계 사례 연구: 럭셔리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5권, 제4호, 2016, 135-146.  https://doi.org/10.14774/JKIID.2016.25.4.135
  6. 김보영, 강한솔, 김보경, "브랜드 신뢰도가 글로벌 브랜드 및 국내브랜드의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실용적, 쾌락적 제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제30권, 제4호, 2022, 1-26.  https://doi.org/10.22736/JMS.30.4.01
  7. 김아름,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16. 
  8. 김한나, 이은영,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25권, 제7호, 2001, 1225-1151. 
  9. 김형우, 서재열, "신규골프브랜드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제16권, 제3호, 2022, 197-205.  https://doi.org/10.34283/ksgs.2022.16.3.16
  10. 노정숙, 강투메리 헝거르졸, 장형유, "패션 SNS 특성과 개인적특성이 사용자만족과 SNS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5, 1333-1348. 
  11. 류팡팡, 설훈구, "부산국제영화제 참가자의 가치공동 창출행동이 축제만족,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32권, 제2호, 2023, 89-108.  https://doi.org/10.24992/KJHT.2023.4.32.02.89
  12. 민경진, 홍금희, "여성 캐주얼 상표 확장에 대한 상표 개성과 상표 자산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29권, 제6호, 2005, 753-763. 
  13. 박준기, 이혜정, 이정우, "IT 서비스 상황에서의 심리적 기제: 갈등, 만족, 신뢰 그리고 몰입", 한국IT 서비스학회지, 제13권, 제1호, 2014, 1-21.  https://doi.org/10.9716/KITS.2014.13.1.001
  14. 서민정, 전대근, "소비자 혁신성과 노스탤지어 성향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기준, 패션정보원 활용, 패스트 패션상품과 친환경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21권, 제2호, 2019, 1-13.  https://doi.org/10.30751/KFCDA.2019.21.2.1
  15.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2010, 99-132.  https://doi.org/10.22793/INDINN.2010.26.1.005
  16. 신택수, 조원상, "모바일 위치기반 SNS 의 특성과 지각된 프라이버시 위험이 SoLoMo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3권, 제4호, 2014, 205-230.  https://doi.org/10.9716/KITS.2014.13.4.205
  17. 심수인,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브랜드 신념이 신진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신진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와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 간 마케팅 협업의 맥락에서", 한국의류학회지, 제43권, 제6호, 2019, 779-794. 
  18. 심수인, "신진 패션 디자이너 제품의 소비자에 대한 고찰: 유행 혁신성과 가격 민감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41권, 제6호, 2017, 1124-1140. 
  19. 안선정, "대학생들의 가정간편식 (HMR) 선택속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식산업학회지, 제13권, 제2호, 2017, 163-175. 
  20. 양수진, "SPA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자산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vs 토종 SPA 브랜드 차이를 탐색하며", 한국소비문화학회, 제19권, 제2호, 2016, 45-63. 
  21. 어경진, 하지수, "국내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개성 구성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22권, 제6호, 2020, 705-715.  https://doi.org/10.5805/SFTI.2020.22.6.705
  22. 오미현, 김일,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4권, 제1호, 2014, 101-120. 
  23. 우형진, "TV 홈쇼핑 소비자의 브랜드 자산 평가가 TV 홈쇼핑 채널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V 홈쇼핑 CSR 활동 인식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6권, 제5호, 2022, 192-221.  https://doi.org/10.22876/KAB.2022.36.5.006
  24. 원구현,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의 재정립", Asia Marketing Journal, 제5권, 제3호, 2003, 80-105.  https://doi.org/10.53728/2765-6500.1110
  25. 윤해룡, 김태하, 남승현, "인플루언서의 패션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8권, 제5호, 2019, 1-16.  https://doi.org/10.9716/KITS.2019.18.5.001
  26. 이상빈, 오세구, "브랜드 SNS 의 특성과 신뢰, 고객충 성도간의 관계", 경영경제연구, 제41권, 제1호, 2019, 91-109.  https://doi.org/10.22828/MERI.2019.41.1.004
  27. 이유정, 조남혜, "패션 브랜드 SNS의 특성, 관계의 질 및 구매의도의 관계-페이스북 (Facebook)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제22권, 제5호, 2014, 834-847.  https://doi.org/10.7741/rjcc.2014.22.5.834
  28. 이윤재, "브랜드의 SNS 활용에 있어서 사회적 실재감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영연구, 제33권, 제2호, 2018, 97-121.  https://doi.org/10.22903/JBR.2018.33.2.97
  29. 이윤재, "패션 브랜드로 성공하려면 무신사로 가라", 2020, 매일경제, Available at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10065 01/ (Accessed March 15. 2023). 
  30. 이정미, 안형준, "캐주얼 의류 브랜드들의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선호도 간의 관계: 국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8권, 제2호, 2016, 167-175.  https://doi.org/10.5805/SFTI.2016.18.2.167
  31. 이지은, "신조어 된 '무신사 냄새'가 기업가치 상승의 묘수?", 인베스트조선, Available at http://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3020980236 (Accessed May 8. 2023). 
  32. 이태민, "모바일 SNS 환경에서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구전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SNS 활용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1호, 2015, 121-144.  https://doi.org/10.15719/GEBA.16.1.201502.121
  33. 이희서, 곽나연, 이중정, "스마트폰 앱 사용 및 추천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Utilitarian vs. Hedonic 유형간 차이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2015, 481-49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481
  34. 전성찬, 김현주, 윤지영, "국내외 패션 플랫폼 비즈니스 성공 사례 및 성장 요인 분석", 기초조형학연 구, 제20권, 제4호, 2019, 455-474.  https://doi.org/10.47294/KSBDA.20.4.33
  35. 전형연, 이원, "한.중.일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13권, 제2호, 2015, 91-112.  https://doi.org/10.18852/bdak.2015.13.2.91
  36. 정경희, 이미숙, "소셜미디어 시대의 하이패션 브랜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SNS 활용 현황 및 디자인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4호, 2015, 593-608. 
  37. 정병국, 우아미, "기업브랜드의 속성차원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1호, 2009, 173-191. 
  38. 정재우, 박연주, 김홍교, 임동환, 송지연, 2017년 디자이너패션산업 실태조사, 2017, KOCCA(한국콘텐츠진흥원). 
  39. 조윤수, 박선희, "패션 디자이너브랜드 캠페인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8권, 제1호, 2017, 445-466. 
  40. 최진, 이성호, "라이브커머스 인플루언서와의 자아이 미지일치성이 소비자의 팬쉽과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40권, 제4호, 2022, 9-20. 
  41. 홍윤정, 김영인,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유형과 특성", 복식, 제63권, 제8호, 2013, 43-57.  https://doi.org/10.7233/jksc.2013.63.8.043
  42. 황인호, 김태하, 김진수, "콘텐츠와 패러디 특성이 UCC 사용자 태도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1권, 제3호, 2012, 1-22.  https://doi.org/10.5859/KAIS.2012.21.3.1
  43. 후장셩, 이진호, "소비자의 관점에서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일조녹차(日照綠茶)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2권, 제10호, 615-626.  https://doi.org/10.5392/JKCA.2022.22.10.615
  44. Aaker, D.,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8, No.3, 1996, 102-119.  https://doi.org/10.2307/41165845
  45. Alin, A., "Multicollinearity",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mputational Statistics, Vol.2, No.3, 2010, 370-374.  https://doi.org/10.1002/wics.84
  46. Bagozzi, R.P., Y. Yi, and L.W. Phillip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6, No.3, 1991, 421-458.  https://doi.org/10.2307/2393203
  47. Bao, Y., K.Z. Zhou, and C. Su, "Face consciousness and risk aversion: Do they affect consumer decision-making?", Psychology & Marketing, Vol.20, No.8, 2003, 733-755.  https://doi.org/10.1002/mar.10094
  48. Boulding, W., A. Kalra, R. Staelin, and V.A. Zeithaml,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No.1, 1993, 7-27.  https://doi.org/10.1177/002224379303000102
  49. Chang, H.H. and Y.M. Liu, "The impact of brand equ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in the service industries",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Vol.29, No.12, 2009, 1687-1706.  https://doi.org/10.1080/02642060902793557
  50. Cobb-Walgren, C.J., C.A. Ruble, and N. Donthu,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3, 1995, 25-4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5.10673481
  51. Cronin Jr, J.J. and S.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3, 1992, 55-68.  https://doi.org/10.1177/002224299205600304
  52. Engel, J.F., R.D. Blackwell, and P.W. Miniard, Consumer Behavior (8th Ed.), 1995, Dryden Press, New York. 
  53.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975, Addison-Wesley, Reading, MA. 
  54. Fornell, C. and D.F. Larcker,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1-24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1
  55. Goldsmith, R.E. and S.J. Newell, "Innovativeness and price sensitivity: Manageri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Vol.6, No.3, 1997, 163-174.  https://doi.org/10.1108/10610429710175682
  56. Goldsmith, R.E., D. Kim, L.R. Flynn, and W.M. Kim, "Price sensitivity and innovativeness for fashion among korean consume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5, No.5, 2005, 501-508.  https://doi.org/10.3200/SOCP.145.5.501-508
  57. Javed, T., J. Yang, W.G. Gilal, and N.G. Gilal, "The sustainability claims' impact on the consumer's green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 case study of H&M", Advances in Management and Applied Economics, Vol.10, No.2, 2020, 1-22. 
  58. Lee, T.S., C.S. Leung, and Z.M. Zhang, "Fashion brand image marketing: Brand image and brand personality", Research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Vol.4, No.2, 2000, 60-67.  https://doi.org/10.1108/RJTA-04-02-2000-B008
  59. Nunnally, J.C., An overview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In: Wolman, B. B. (Ed.), Clinical Diagnosis of Mental Disorders, 1978, Springer, Boston, 97-146. 
  60. Tsiotsou, R., "The role of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0, No.2, 2006, 207-217.  https://doi.org/10.1111/j.1470-6431.2005.00477.x
  61. Workman, J.E. and K.K. Johnson, "Fashion opinion leadership, fashion innovativeness, and need for varie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11, No.3, 1993, 60-64.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100309
  62. Zhou, G., X. Chen, and L. He, Research on customer purchase inten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nline live shopping platform. In: Zhou, G. (Ed.), Design Engineering, 2020, Butterworth Heinemann, Boston, 266-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