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lanted Trees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Naturalness of Seoul Forest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식재수종의 현황분석

  • Park, Ji-Young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지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Received : 2023.04.28
  • Accepted : 2023.06.12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lanted trees in Seoul Forest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e naturalness in the park.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trees in the park was conducted, and the data gathered was used to build a list of planting trees suitable for an urban park.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s in Seoul Forest by type was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ave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deciduous trees, evergreen trees, deciduous shrubs, and evergreen shrubs, and herbaceous plants such as groundcover plants separately classified. The study found that Seoul Forest had 57 species of native and naturalized trees, with 27 deciduous trees, 35 deciduous shrubs, 15 evergreen trees, and 98 evergreen shrubs. The park also had 472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totaling 320,000. The majority of planted trees in Seoul Forest were native species, comprising 59% of the total planted trees, while naturalized species made up 41%. Furthermore, the ratio of deciduous trees to evergreen trees was 81% to 19%, with deciduous trees being the dominant species. The evergreen trees showed a similar trend, with a total of 23 species, including 15 native and 8 foreign species, accounting for 65% of native species.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six common deciduous shrubs, including Forsythia koreana, 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Deutzia parviflora, Rhododendron lateritium, and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which are frequently planted in areas with abundant water.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among the 10 evergreen shrub species, 9 were native and 1 was foreign. The study aimed to classify the species planted in Seoul Forest into native and foreign species and to provide a data-driven plan to encourage the planting of native specie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planting planning and design for urban parks, which is essential for enhancing naturalness, as most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in urban parks. By promoting the planting of native species, the naturalness of Seoul Forest can be improved.

본 연구는 서울숲을 대상으로 식재된 수종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도시공원의 식재종 목록을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숲 내 조경수목의 유형별 특성 분석은 낙엽 유무에 관한 것으로, 낙엽교목, 상록교목, 낙엽관목, 상록관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지피식물 등 초본류는 따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숲에 식재된 조경수목의 자생종과 외래종의 수는 낙엽교목 57종과 27종, 낙엽관목 35종과 24종, 상록교목 15종과 8종, 상록관목 98종과 1종으로 나타났다. 초본류는 472종이었으며 총 분수는 32만 여 본이었다. 자생종과 귀화종의 비율은 59% : 41%로 자생종이 많았고, 낙엽수와 상록수의 비율은 81% : 19%로 낙엽수가 훨씬 많았다. 서울숲에 식재된 낙엽교목의 경우, 총 종수는 84종이고 그 중 자생종은 57종, 외래종은 27종으로 자생종이 외래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상록교목의 경우, 총 종수는 23종이며 자생종이 15종, 외래종이 8종으로 자생종이 65%를 차지하여 낙엽교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낙엽관목의 경우, 총 종수는 59종이고 주수가 다량으로 식재된 관목에는 개나리, 개쉬땅나무, 말발도리, 영산홍, 영춘화, 조팝나무 등이 있었다. 상록관목에는 총 종수가 10종이었으며, 자생종 9종, 외래종 1종으로 남천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생종이 식재되어 있었다. 서울숲을 대상으로 식재수종의 현황분석을 진행한 본 연구는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하여 서울숲 내 식재된 조경수목을 자생종과 외래종으로 분류하고, 더 효과적으로 자생종 식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도시공원의 연구가 이용행태, 만족도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자연성 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식재계획과 설계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호겸, 김동찬(2016).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민간공원 조성을 위한 사업성 연구 -광주광역시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4(5): 91-91.
  2. 유주한, 곽수빈(2020). 도시근린공원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특성 분석 -함지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1): 9-17. https://doi.org/10.22849/JKIGD.2020.6.1.002
  3. 안소영, 원두환(2016). 편익이전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여성경제연구. 13(1): 155-174.
  4. Roger S Ulrich, Robert F Simons, Barbara D Losito, Evelyn Fiorito, Mark A Miles, Michael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3): 201-230.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84-7
  5. Roger S Ulrich (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es to natural environment,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85-125.
  6. Grey, G. W, and F. J. Deneke(1978). Urban Forestry. New York, John Wiley & Sons. 43-102.
  7. 이재호, 김순기(2018). 도시공원의 필수 설계요소 추출 -2017년 서울시 공원이용 만족도 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6(6): 41-48.
  8. 장철규, 정성관, 이우성(2016).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44(5): 68-80. https://doi.org/10.9715/KILA.2016.44.5.068
  9. 박기환(2013). 우리나라 조경수목의 수형과 수피 형태 특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영수, 심경구(1993). 학교 조경수목 식재현황 조사를 통한 향토수종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1): 31-50.
  11. 박준석(2013). Golf장의 자연성 증진을 위한 식재수목의 현황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기의, 이우철, 조현길(1988). 강원도내 조경식물의 배식과 이용. 한국조경학회지. 15(3): 33-50.
  13. 이재윤(2010). 강원도 지역의 조경식물의 식재현황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진형, 노희선, 이기의(2004). 춘천시의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현황. 한국조경학회지. 32(4): 7-20.
  15. 이기의, 이우철, 한교필, 송융남(1980). 관광지 조경을 위한 야생초화류와 관목류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21(1): 78-86.
  16. 황중락, 이기의, 한교필(1984). Pergola용 소재를 위한 다래속 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2(1): 49-56.
  17. 정진형, 이기의(2005). 강원도내 가로수와 가로녹지대 초화류의 식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5):57-68.
  18. 조우(1995). 도시녹지의 생태적 특성 분석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관리모형-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원학 박사학위논문.
  19. 동부공원여가센터(2023) 서울숲 공원현황.
  20. 오구균, 김도균, 김용식, 안영희, 이경재, 이유미, 정승준(2008) 조경식물소재도감. 서울: 광일문화사.
  21. 박용진, 강현경, 박인환, 백지성, 유주한, 이종석, 주명칠(2013) 삼고조경수목학. 서울: 향문사.
  22. 한국조경학회(2010). 조경수목학. 서울: 문운당
  23. 윤주복(2015). 우리나라 나무도감. 서울: 진선출판사(주)
  24. 홍혜옥, 이기의, 류근창(1984). 한국산 자생 만병초에 관한 연구(III). 한국원예학회지. 25(1): 55-55.
  25. 이병룡, 이기의(1990). 꼬리진달래의 조경수목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137-141.
  26. 길지현, 김창기(2014)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현황. 한국잔디학회지. 3(3): 206-214.
  27. 오현경, 김은옥, 유주한(2019). 조선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광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41-55.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