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Reasoning of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paring Unlike Fraction Magnitudes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에 나타나는 추론 분석

  • Received : 2023.06.22
  • Accepted : 2023.07.16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The importance of reasoning processes based on fractional concepts and number senses, rather than a formalized procedural method using common denominators, has been noted in a number of studies in relation to compare the magnitudes of unlike fractions. In this study, a unlike fraction magnitudes comparison test was conducted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id not learn equivalent fractions and common denominators to analyze the reasoning perspectives of the correct and wrong answers for each of the eight problem typ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students before learning equivalent fractions and reduction to common denominators were able to compare the unlike fractions through reasoning based on fractional sense. The perspective chosen by the most students for the comparison of the magnitudes of unlike fractions is the 'part-whole perspective', which shows that reasoning when comparing the magnitudes of fractions depends heavily on the concept of fractions itself.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lack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ractions led to difficulties in having quantitative sense of fraction, making it difficult to compare and infer the magnitudes of unlike f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reasoning guidance based on the concept of fractions and the sense of numbers without reduction to common denominators when comparing the magnitudes of unlike fraction.

이분모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통분을 이용한 형식화된 절차적 방법이 아니라 분수 개념 및 수 감각을 바탕으로 하는 추론 과정을 따르는 것의 중요성이 다수의 연구에서 주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통분을 학습하지 않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8가지 문제 유형별 정답자 및 오답자의 추론 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동치분수 및 통분을 학습하기 이전의 학생들도 분수 감각을 바탕으로 한 추론을 통해 이분모 분수 크기를 비교할 수 있었다. 이분모 분수의 크기 비교를 위해 가장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 관점은 '부분-전체 관점'이며, 이는 분수의 크기 비교 시 추론이 학생 자신이 학습한 분수의 개념에 크게 의존함으로 보여준다. 또한 분수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분수의 크기에 대한 양감의 부족으로 이어져 이분모 분수의 크기 비교 추론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 시 통분 없이 분수 개념 및 수 감각에 기초한 추론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강태석(2003). 분수의 크기 비교 지도 방법의 교수학적 변환 분석. 한국초등교육, 14(1), 35-64.
  2. 강태석(200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분수의 크기 비교 지도 방법에 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6. 권성룡(1997). 측정 활동을 통한 분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옥경(199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개념 이해 및 분수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유경, 황현미(2016). 초등학생들의 분수의 크기 비교 전략 분석. 수학교육학 연구, 26(4), 663-682.
  9. 서민정(2020).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전략과 오류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신준식(1996). 실제적 접근 방법에 의한 분수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이대현(2018).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지도 내용의 비교.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1(2), 111-130.
  12. 정은실(2006). 분수 개념의 의미 분석과 교육적 시사점 탐구. 학교수학, 8(2), 123-138.
  13. 홍은숙, 강완(2008). 분수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1), 59-78.
  14. Behr, M. J., Wachsmuth, I., Post, T. R., & Lesh, R. (1984). Order and equivalence of rational numbers: A clinical teaching experi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5), 323-341. https://doi.org/10.2307/748423
  15. Clark, D. M., & Winkelman, N. W. (2018). The benefits of inferential reasoning in learning fractions. J 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9(1), 66-103.
  16. Cramer, K. & Wyberg, T. (2007). When getting the right answer is not always enough: Connecting how students order fractions and estimate sums and differences. In W. G. Martin & M. E. Strutchens (Eds.), The learning of mathematics, 69th Yearbook of the NCTM (pp. 205-220). NCTM.
  17. DeWolf, M., Grounds, M. A., Bassok, M., & Holyoak, K. J. (2014). Magnitude comparison with different types of rational number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40(1), 71-82. https://doi.org/10.1037/a0032916
  18.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pp. 1-27).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Kieren, T. E. (1976). On the mathematical cognitive and instructional foundations of rational numbers. In R. A. Lesh & D. A. Bradbard(Eds.), Numbers and measurement: Papers from a research workshop (pp. 101-150). ERIC/SMEAC.
  20. Moss, J., & Case, T. (1999). Developi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rational numbers: A new model and an experimental curriculum.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2), 122-148. https://doi.org/10.2307/749607
  21. Smith, J. P. (1995). Competent reasoning with rational numbers. Cognition and Instruction, 13(1), 3-50.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301_1
  22. Wenrick, M. R. (2003). Elementary students' use of relationships and physical models to understand order and equivalence of rational numb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