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한 디지털인문학적 강의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Digital humanities lecture on Marcel Proust's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 민진영 (전남대학교 불어불문학과)
  • Jinyoung MIN (Dept. of French linguistics and litera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05.15
  • 심사 : 2023.07.05
  • 발행 : 2023.07.31

초록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의 탄생 150주년을 맞는 2021년과 서거 100주년을 맞는 2022년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되었다. 필자는 난해하다고 알려진 이 7권의 대하소설을 국내의 프랑스문학전공 학생들에게 잘 접근하게 하기 위해 디지털인문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필자는 학생들을 빅데이터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시각화자료를 통해 작품이해의 실마리를 찾도록 이끌었다. 워드클라우드로 작품에 나타나는 주요 등장인물과 장소를 꼽아보고, 빅카인즈와 텍스톰이라는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의 프루스트에 대한 인지도를 검색하였다. 학생들은 디지털인문학의 방법론을 통해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해 난해하다고 하여 포기하기보다는 조금씩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고 진술했다.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프랑스문학의 이해를 넓혀가는 방법을 찾아가는데 있어 빅데이터 분석과 디지털인문학의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한 교수법임을 확인하였다.

In 2021, the 150th anniversary of Proust's birth, and in 2022,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death, the interest in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increased. We took advantage of a digital humanities approach to make these seven novels known as difficult easily accessible to French literature major korean students. We let the students analyze using the analyzing tools for the big data and find some clues to understand the works through the visualized data. We picked out the main characters and places that appear in his works with Wordcloud, and checked the awareness of Proust in domestic and foreign through the various sites to analyze the big data, such as Big Kinds and Textom. Through the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the students commented that they have gradually enlarged their understanding breadth for Proust's 『In Search of Lost Time』 rather than giving up it as diffic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applying the big data analysis and digital humanities is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n finding ways for the student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French litera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Proust, Marcel,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edition publiee sous la direction de Jean-Yves Tadie, 4 tomes, Paris, Gallimard, 1987-1989.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김희영 옮김, 전13권, 서울, 민음사, 2012-2023.
  2. Brunet, Etienne, Le vocabulaire de Proust, Slatkine, 1983.
  3. Deleuze, Gilles, Proust et les signes, 1971, 「프루스트와 기호들」, 서동욱 역, 민음사, 2004.
  4. Drouin, Jeffrey, Iconoclastic Textuality: The Ecclesiastical Proust Archive, Textual Cultures, Vol.9, No.1,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pp. 22-39 URL: https://www.jstor.org/stable/10.2307/26500710
  5. Ragonneau, Nicolas, Le Proustographe: Proust et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en infographie, Denoel, 2021
  6. Van de Ven, Inge, The Monumental Knausgard: Big Data, Quantified Self, and Proust for the Facebook Generation, Narrative,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Volume 26, Number 3, 2018.10, pp. 320-338 10.1353/nar.2018.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