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governmental support system utilization, R&D servic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중소기업의 정부지원제도 활용, 연구개발서비스와 기술혁신역량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 Chi-Kook Kim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Hoseo University) ;
  • Byoung-Ki Park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Hoseo University)
  • 김치국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박병기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07.03
  • Accepted : 2023.07.14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Recently, the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 innovation system for SMEs as part of an innovative growth strate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MEs in Korea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los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powerful wa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ong with the pandemic of COVID-19 that started in 2020.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for SMEs to pursue open innovation for survival and growth, as well as to possess excellen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r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fluencing factors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SMEs to effectively utilize R&D services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resources possessed by SMEs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The results of this stu dy are considered to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SMEs to secu re a competitive edge and enhanc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government support systems and open innovation.

최근 정부에서는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혁신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혁신체계 구축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강력한 물결로 말미암아 산업경쟁력을 상실하여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환경변화와 관련하여 중소기업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 개방형 혁신을 추진함은 물론 우수한 기술혁신역량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한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경영성과나 기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영향요인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있어 정부지원제도 활용을 통한 연구개발서비스와 기술혁신역량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서비스와 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역량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정부지원제도와 개방형 혁신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산업경쟁력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심대석. (2010). 정부의 R&D 지원정책이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별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동현, 문혜선, 이상명. (2015). 기업의 혁신활동에 대한 정부지원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8(5), 1325-1344.
  3. 안성남. (2019). 충남대전지역 이노비즈 중소기업의 내부역량과 정부지원정책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개발 사업성과의 매개효과와 창업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홍은표, 김진회. (2021). 정부의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초록집, 33-42.
  5. 박태진. (2017). 정부지원이 중소서비스기업의 개방형 서비스 혁신활동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18(2), 225-247. https://doi.org/10.15706/JKSMS.2017.18.2.010
  6. 김민성. (2019). 창업초기기업의 개방혁신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기반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상오, 윤선희. (2014).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기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8(5), 279-298.
  8. 신진교, 최영애. (2008). 중소기업의 R&D와 혁신-정부정책지원의 조절효과. 기업경영연구, 15(1), 119-132.
  9. 손현철. (2013). 기술혁신성과요인, 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강석민. (2021). 정부의 기술개발 관련 지원이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 방법의 적용. 경영과 정보연구, 40(2), 171-186.
  11. 김인성, 김원배. (2015). R&D 역량 및 내부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노비즈기업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윤정, 서윤교, 홍정임. (2018). 벤처기업의 내부역량과 성장단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부지원 자금 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1(2), 636-662.
  13. 최순식. (2019).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재정지출의 효과성 제고-지원사업 현황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기술경영, 4(2), 69-98 https://doi.org/10.33443/TM.2019.4.2.69
  14. 이천희. (2021). 중소벤처기업의 흡수역량이 기술혁신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OECD(1993),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Standard Practice for Surveys of Research and Experimental Development- Frascati Manual 1993, OECD, Paris
  16. Souitaris, V. (2002). Firm-specific competencies determin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 survey in Greece. R&D Management, 32(1), 61-77. https://doi.org/10.1111/1467-9310.00239
  17. Grabowski, H. G., & Mueller, D. C. (1978).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tangible capital stocks, and firm profit rates.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328-343.
  18. Ravenscraft, D., & Scherer, F. M. (1982). The lag structure of return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Applied Economics, 14(6), 603-620. https://doi.org/10.1080/00036848200000036
  19. Day, G. S., & Wensley, R. (1988). Assessing advantage: a framework for diagnosing competitive superiority. Journal of Marketing, 52(2), 1-20.
  20. Grant, R. M. (1991). The resource-based theory of competitive advantage: Implications for strategy formul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3(3), 114-135. https://doi.org/10.2307/41166664
  21. Gatignon, H., and Xuereb, J. (1997),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Firm and New Product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2), 77-90. https://doi.org/10.1177/002224379703400107
  22. Clark, K. B., & Fujimoto, T. (1991).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trategy,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ld auto industry, Harvard Business Press
  23. Freeman C.,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Frances Printer, London, 1982.
  24. Leonard-Barton, D. (1995), Wellsprings of knowledge: Building and sustaining the sources of innovation
  25. 류길호, 이선규. (2019). 기술혁신역량과 사회적 자본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융합정보논문지, 9(11), 92-102.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092
  26. 강형종. (2020). 벤처기업의 지배구조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