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IoT-based carbon-neutral modular smart greenhouse

IoT 기반 탄소중립 모듈형 스마트 온실 구현

  • 박석근 (순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전공) ;
  • 한길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 이민순 (순천대학교 인공지능공학부) ;
  • 신창선 (순천대학교 인공지능공학부)
  • Received : 2023.05.17
  • Accepted : 2023.06.13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Recently, in digital agriculture,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greenhouses based on IoT are spreading, and greenhouses are being modernized, enlarged, and even factoryized using smart technology. However, a specific standardization plan has not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equipment for data collection in the smart greenhouse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greenhouse.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standard data for facility equipment, such as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and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eenhouse, the type of greenhouse construction film and materials suitable for crops and carbon neutr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implementation, installation and quantity of IoT equipment for data collection was tested, and some standard technologi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impact strength, tensile, tear, elongation, light transmittance, and lifespan issues for PE, PVC, and EVA, which account for about 90% of existing greenhouses, were presented, and the shape, size,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greenhouses made of films were presented. presented in the text. In this research paper, a standardized carbon-neutral modular smart greenhouse using nano-material film was implemented as a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reenhouse size, farm crop type, greenhouse lifespan, and film, and its performance with existing greenhouses was analyz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we propose a modularized greenhouse that can be expanded or reduced freely without distinction in the size of the greenhouse or the shape of farmhouse crops, and the lifespan is extended and standardized. Finally, the averag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using existing PE, PVC, and EVA fil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using new carbon-neutral nanomaterials are compared and reviewed, and a plan to implement an expandable IoT greenhouse that supports carbon neutrality is proposed.

최근 디지털 농업에 있어서 IoT를 기반으로 한 온실의 종류 및 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온실의 현대화, 대형화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공장화까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온실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장비와 온실의 크기나 모양과 같은 형태에 따른 구체적 규격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온실의 규모에 따른 센서와 장비의 종류 및 개수, 작물 및 탄소 중립에 부합하는 온실 시공 필름 종류와 자재 등 시설 설비를 위한 표준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장비의 구현, 설치 및 수량의 적합성에대하여 시험하였으며, 데이터 수집과 통신 방식의 구현을 통해 일부 표준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온실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PE, PVC, EVA에 대한 충격강도, 인장, 인열, 신장율, 광투과성 및 수명 문제를 제시하였고,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온실의 형태나 규모, 환경적 문제점을 본문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온실 규모나 농가작물의 형태, 온실 수명 및 필름의 환경적 문제의 해결책으로 나노 소재 필름을 활용한 규격화된 탄소중립 모듈형 스마트 온실을 구현하고 기존 온실과의 성능을 분석·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온실의 규모나 농가작물의 형태에 구분이 없고, 수명이 연장되고 규격화되어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로운 묘듈화된 온실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기존PE, PVC, EVA 필름을 사용한 온실의 평균적 특성과 새로운 탄소중립형 나노 소재를 사용한 온실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탄소중립을 지원하는 확장 가능형 IoT 온실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촌진흥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스마트팜연구개발사업단의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으며(421028-3), 2021년 학술연구비(과제번호: 2021-0322) 공모과제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승희, 한길수 외 2인, "시설하우스용 연질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제5권, 제1호, 23-33쪽, 1995년 1월
  2. 변재연 외 5인, "스마트농업 육성사업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22년 06월
  3. 김대영 외 9명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 국제표준 적용," 한국통신학회지, 제34권 제1호, 58-69쪽, 2016년 12월
  4. 농업 폐기물 비닐.농약병은 어떻게 처리될까(2019) http://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4152 (accessed Oct., 11, 2012).
  5. 박주영 외 4인,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스마트팜," ETRI Insight, 2019년 12월
  6. 이정규 외 3명, "플라스틱온실 내부 환경 인자 다중센서 설치 위치 최적화 전략," 생물환경조절학회지, 제9권, 제2호, 161-170쪽, 2020년 4월
  7. 최문환 외 2인, "IoT 기반 스마트온실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 소개,"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73-774쪽, 2020년
  8. 강태경 외 4인, "연동형 온실의 온도 정밀제어에 필요한 센싱 구역 분석," (사)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2호, 199-199쪽, 2021년
  9. 강태경 외 2인, "단동형 온실의 온도 정밀제어에 필요한 센싱 구역 분석," (사)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7권, 제1호, 240-240쪽, 2022년
  10. 주원정 외 2인, "농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필름의 Cd, Pb 흡착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제43권, 제1호, 2021년 1월
  11. 유인호 외 6인, "순환팬이 온풍난방 온실의 기상분포 균일화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 16, no. 4, pp. 291-296, 2007년
  12. 주은진 외 1인, "IoT센서로 수집한 수전 설비의 온도 데이터를 이용한 오류 빅데이터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제1호, 2017년 4월
  13. 김창길 외 1인, "탄소중립 농업으로 가기위한 전략," DBpia 시선집중 GSnj, 제292호, 2021년 10월
  14. 이현조 외 2인, "A study on Digital Agriculture Data Curation Service Plan for Digital Agriculture,"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7, No. 2, pp. 171-177, Feb. 2022 https://doi.org/10.9708/JKSCI.2022.27.02.171
  15. 이대희, "ITU와 향후 네트워킹 기술에서 사물인터넷 표준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6. 선인경 외 7인, "STI for SDGs 역량분석 및 글로벌 협력전략 -국가연구개발사업 분석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저널, 2021년 3월
  17. 황유철 외 2인, "ICT 표준화 전략 Ver.2023 이동통신분야 표준화 전략 연구," 2023년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2023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