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2학년도 수원여자대학교 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 Kavanagh S, Luxton-Reilly A, Wuensche B, Plimmer B. A systematic review of virtual reality in education. The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7;10(2):85-119.
- 강수정, 김춘미, 이홍자, 남재우, 박명숙. 간호교육에 적용한 가상현실 융합시뮬레이션 연구에 대한 통합적 고찰. 융합정보논문지. 2020;10(1):60-74.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060
- 김현경, 고은정.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체계적 고찰.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22;8(6):373-380. https://doi.org/10.17703/JCCT.2022.8.6.373
- 한달롱.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VR) 에 대한 인식과 정신 간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20;21(8):1481-1487. https://doi.org/10.9728/dcs.2020.21.8.1481
- 김선경, 엄미란, 박미현.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2):661-67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661
- Uruthiralingam U, Rea PM.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 anatomical education-A systematic review. Biomedical Visualisation; 2020. p. 89-101. https://doi.org/10.1007/978-3-030-37639-0_5
- Zhao J, Xu X, Jiang H, Ding Y.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based technology on anatomy teaching: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BMC Medical Education. 2020;20(1):1-10. https://doi.org/10.1186/s12909-020-1994-z
- 이문영. 가상현실(VR) 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의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9;13(7):531-537. https://doi.org/10.21184/jkeia.2019.10.13.7.531
- 이문영. 기초의학 수업에서 스마트기기와 스테이션 로테이션 모델 적용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14(7):651-658. https://doi.org/10.21184/jkeia.2020.10.14.7.651
- 오지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1;21(10):204-216. https://doi.org/10.5392/JKCA.2021.21.10.204
- 최문종, 최재성, 천승호, 하영미, 양승경.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역사회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5):347-356. https://doi.org/10.14400/JDC.2020.18.5.347
- 최원석, 강다영, 최세정.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디바이스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 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2017;18(3):173-208.
- Venkatesh V, Davis F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2000;46(2):186-204.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 김배성, 우형진. 인공지능(AI) 스피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9):1-1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001
- Yusoff RCM, Ahmad A, Zaman HB. Evaluation of user acceptance of mixed reality technolog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1;27(8):1369-1387. https://doi.org/10.14742/ajet.899
- 이지민, 홍성정.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교육 프로그램 사용의도 분석.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2021;14:168-175. https://doi.org/10.37152/kmhs.2021.14.2.168
- 배수진, 권오병. 실재감, 공간능력 및 심미감이 증강현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2018;33(4):355-386. https://doi.org/10.23839/kabe.2018.33.4.355
- 윤헌철, 기수현, 류지현. 진로교육에서 중고등학생의 진로 개발역량 개선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수용의도 탐색연구. 교육공학연구. 2021;37(2):403-428. https://doi.org/10.17232/KSET.37.2.403
- 안지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을 이용한 해부학 학습에 대한 기술 수용도와 영향요인: 기술수용모델에 기초한 사용성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9;10(12):487-494.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2.487
- 교용용, 한동승.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콘텐츠 재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19;19(5):115-132. https://doi.org/10.7583/JKGS.2019.19.5.115
- 박상현, 마윤성, 조운용. 스포츠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 의도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18;23(5):17-32. https://doi.org/10.31308/KSSM.23.5.2
- 박성제, 고경훈, 김완주, 최지훈, 박찬, 윤다연, 양준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을 활용한 이용자 혁신성이 스마트머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9;75:267-278. https://doi.org/10.51979/KSSLS.2019.02.7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