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숙, 박병기(2014). 창의성과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8(2), 371-404.
- 계보경, 김영수(2008).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4(4), 193-224.
-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안). 교육부.
- 교육부(2020). 기초를 다지고, 첨단을 누리며, 미래를 이끄는 과학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 권승혁, 이영지, 최수연, 권용주(2018). 생명과학 VR 콘텐츠 활용에서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85-605.
- 김건우, 이기영(2011).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 가상야외지질답사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2), 212-224.
- 김경현(2009).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AR 콘텐츠 활용이 학습 활동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5), 75-85.
- 김연정, 윤세희, 신병석(2021). 포물선 운동을 중심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물리 실험 교육 시뮬레이터 개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0(1), 1.
-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3(3), 271-283. https://doi.org/10.21796/JSE.2019.43.3.271
- 김종오, 정지성, 김도형, 권순옥, 유관희, 주성연, 박찬, 오원근(2013). 스마트 기기를 위한 3D 기반 동역학 가상실험과 2D 기반 전자문서의 하이브리드-앱 물리 전자교과서. 새물리, 63(6), 620-626.
- 김준우, 맹준희, 주지영, 임광혁(2010). 멀티 터치스크린과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과학 실험 학습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61-471. https://doi.org/10.5392/JKCA.2010.10.8.461
- 김한중(2019). 사회과 디베이트 수업이 중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기능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공공사회연구, 9(3), 35-66.
- 김혜나(2018). 증강현실기반 교육 연구 동향: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97-407.
- 김호정, 김가람(2017).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1), 75-110.
- 김호정, 류제하(2005). 역감 제시 장치를 이용한 가상 과학 체험 공간 개발.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30(11), 1044-1053.
- 김희수(2014). 적벽강 지역의 가상 야외지질답사 자료 개발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8(3), 205-215. https://doi.org/10.15737/SSJ.8.3.201410.205
- 나지연, 윤회정(2021). 증강현실을 활용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1), 22-35.
- 노정현, 조준동(2019). 안경 착용자가 HMD 착용시 VR 멀미에 미치는 원인 분석.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81-86.
- 박순희, 이성아, 남윤영, 최성운(2021). 중도장애학생의 시선을 활용한 과학 체험 활동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1), 61-77. https://doi.org/10.20971/KCPMD.2021.64.1.61
- 박용남, 윤기준(2020). 가상현실 스포츠실 활용 체육수업의 효과 및 한계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4), 81-96.
- 배영임, 신혜리(2020).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 & 진단, 416, 1-26.
- 변태진(2017).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문헌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17-42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17
- 사이언스레벨업(2022, May 14). 공지사항. https://sciencelevelup.kofac.re.kr/support/notice/detail?notice_idx=1&pageIndex=3
- 삼성전자. (2022a, July 30). 삼성 기어 VR (블랙) SM-R 320.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0NPWGKOO/
- 삼성전자. (2022b, July 30). 기어 VR Innovator Edition for S6.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1NZWAKOO/
- 삼성전자. (2022c, July 30). 기어 VR (2016).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3NBKAKOO/
- 삼성전자. (2022d, July 30). 기어 VR with Controller.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5NZVAKOO/
- 서희전(2008).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37-165.
- 설가영, 권승혁, 권용주(2019). 생명과학 학습에서 가상현실(VR) 콘텐츠의 사용에 의한 두뇌 연결성의 변화 연구. 생물교육, 47(2), 187-196. https://doi.org/10.15717/BIOEDU.2019.47.2.187
- 소요환(2016). 웹 3D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의 사용성 평가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719-729.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719
- 송은지(2020). 홀로렌즈를 활용한 혼합현실 교육 콘텐츠 제작 방법.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4(3), 391-397. https://doi.org/10.6109/JKIICE.2020.24.3.391
- 원용태, 김하동(2012).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70-8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070
- 유정민, 서수연, 허송이, 최규리(2021).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12), 1959-1967.
- 이영희, 윤지현, 홍섭근, 임재일, 백병부(2018).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문화연구, 24(5), 127-153. https://doi.org/10.24159/JOEC.2018.24.5.127
- 이용수(2015). 혼합현실 정의의 문제점과 대안, 그리고 가상/증강현실의 작용관계. 디자인지식저널, 34, 193-202.
- 이원곤(1996). 영상기계와 예술. 현대미학사.
- 이재인, 최종수(2011).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514-52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14
- 이현지, 김원섭(2020). 가상현실 기술 융합 기반의 국내 교육 사례 분석 및 콘텐츠 유형 분류: 중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3), 237-252.
- 이형주, 고호경(2015).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5(1), 113-137.
- 이혜선, 정윤희, 김상연 (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311-338.
- 임재원, 김석환, 조용주, 박경신(2008). 과학적 탐구학습을 지원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5(2), 95-102.
- 임희주(2019). 교양영어수업에서 가상현실 (VR) 앱 활용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3(5).
- 장은희, 서대일, 김현택, 유병현(2018). 사이버멀미 통합 모델: 가상현실 사용자의 불편감 현상 연구. 정보과학회논문지, 45(3), 251-279.
- 장진아, 박준형, 송진웅(2019).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특징 -가상실험, 가상현실, 증강현실 활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8(2), 275-286.
- 정광조, 신현기(2015). 국내 통합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7(3), 203-231. https://doi.org/10.21075/KACSN.2015.17.3.203
- 채창훈, 고광희(2009). 증강현실에서 몰입감 증대를 위한 물리시뮬레이션의 적용.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3(3), 21-33.
- 최섭, 김희백(2020).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03-216.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203
- 한송이, 임철일(2020). 국내 증강현실 (AR) 기반 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2019년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6(3), 505-528.
- 한형종, 이가영(2020).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5), 61-70.
- 한호성, 이제민(2020). 가상현실 게임에 의한 요추 골절: 증례 보고.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7(4), 147-151.
- 허준혁, 이기영(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45-355.
- 홍옥수, 김경미, 이재영, 김율(2022).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177-184.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2.177
- 홍춘표, 김용연(2010). 가상현실 실험이 학업성취도와 과학 관련 태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10학년 과학 교과-물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지, 4(2), 80-90.
- Arici, F., Yildirim, P., Caliklar, S., & Yilmaz, R. M. (2019). Research trends in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in science education: Content and bibliometric mapping analysis. Computers & Education, 142, 103647.
- Durukan, A., Artun, H., & Temur, A. (2020). Virtual Reality in Science Education: A Descriptive Review. Journal of Science Learning, 3(3), 132-142. https://doi.org/10.17509/jsl.v3i3.21906
- Google Developers. (2022, July 30). Google I/O 2014 - Cardboard: VR for Android. https://www.youtube.com/watch?v=DFog2gMnm44
- Grand View Research. (2021). Share & Trends Analysis Report By Solution, By Technology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Vision), By End Use, By Region, And Segment Forecasts, 2021-2028. Grand View Research.
- GSMArena team. (2022, July 30). IFA 2014: Samsung Galaxy Note 4, Note Edge, Gear VR and Gear S hands-on. https://www.gsmarena.com/samsung_ifa_2014-review-1126p4.php
- Hussein, M., & Natterdal, C. (2015). The benefits of virtual reality in education-A comparision Study. Bachelor of Science Thesis in Software Engineering and Management, University of Gothenburg.
- Krueger, M. W. (1991). Artificial reality (2nd ed.). Reading, Addison-Wesley.
- Lanier, J. (2017). Dawn of the new everything: A journey through virtual reality. Random House.
- Maas, M. J., & Hughes, J. M. (2020).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in K-12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29(2), 231-249. https://doi.org/10.1080/1475939X.2020.1737210
- Milgram, P., & Kishino, F. (1994).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77(12), 1321-1329.
- Saidin, N. F., Halim, N. D. A., & Yah aya, N. (2015). A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dvantages and application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8(13), 1-8. https://doi.org/10.5539/ies.v8n13p1
- Southwick, S. (2022, July 27). EdTech Industry Analysis & Trends. https://www.toptal.com/finance/market-research-analysts/edtech-trends-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