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Garden Culture and Ideology based on the Confucianism and Taoism of the Song Dynasty - Focused on Zhū Xī(朱熹) and Báiyùchán(白玉蟾) -

송대(宋代) 유가와 도교에 근거한 원림 문화와 사상 고찰 - 주희(朱熹)와 백옥섬(白玉蟾)을 중심으로 -

  • Park So-Hyun (Program of East Asian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소현 (전남대학교 동아시학협동과정)
  • Received : 2023.02.20
  • Accepted : 2023.03.22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Zhū Xī, the representative of Confucianism, and Báiyùchán, the representative of Taoism in the South Song Dynasty, showed different sense of appreciation and enjoyment on the same space that was Mountain Wǔyí in their ideologically cultural ways. Based on the temples Wŭyíjīngshè(武夷精舍) where Zhū Xī stayed and Zhĭzhĭān(止止庵) where Báiyùchán resided, this study revealed their lives in such temples to look into their appreciation on ideology and space. Then, based on the words 'YiBoEumYeong [移步吟詠]' shown on the poetry they chanted in relation with Wǔyíjiǔqū from its 1st valley to its 9th valley, this study examines their understanding of scenery and system of appreciation that appeared in dynamic ways to conclude: First, even same scenery shows different understanding of scenery and appreciation of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viewers' thinking ways of culture. Second, as the Confucianism and Taoism influenced in ideologically cultural ways to develop each other in the Song dynasty, they absorbed their merits each other to supplement shortcomings in their own. In this process, they made it clear that their own propositions were different between them in their essential meanings although they used common terms for such propositions. Third, as the Confucian master who compiled the Neo-Confucianism of the South Song dynasty, Zhū Xī regarded Wŭyíjīngshè and Wǔyíjiǔqū as a place of learning and a place of seeking the truth to go for 'being unified with nature' so that everyday life can be united with Tao of Li [理] everywhere beyond the limited appreciation of the scenery. That is, this thought works for 'recovery of nature of our own [復其性]', the learning goal of Confucianism, and is aimed to 'cultivate the essential nature of our own(性情涵養)' through such beautiful nature. Fourth, as the master of Keumdan family of the South Song Taoism, Báiyùchán regarded Zhĭzhĭān and Wǔyíjiǔqū as a Taoist temple that has a long history rooting from Taesangwon temple, a clean place of discipline to become a Taoist hermit through hard training. He, therefore, directly referred to Zhĭzhĭān and Wǔyíjiǔqū in relation with the Taoist legends remaining in Wǔyíjiǔqū such as hermits' dinners, female hermits, leaving the human world as a hermit and so on as ways for becoming a hermit so that he went for the level of perfectly going out of human world and becoming a hermit. He, therefore, defined Mountain Wǔyí as a world and universe of hermits where he himself too hovered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poetry literature as a hermit through the mood and attitude of keeping himself enjoying the scenery as a hermit.

남송 유가와 도교 사상문화의 대표인 주희와 백옥섬은 그 사상문화의 기조에 따라 무이산이라는 동일한 공간을 달리 인식하고 향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주희와 백옥섬이 무이산에서 기거했던 무이정사와 지지암을 통해 그들의 복거 양태를 통해 사상과 경관(공간) 인식을 규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곡 관련 경물 음영시문을 근거로 무이구곡 제1곡에서 제9곡에 이르는 '이보음영[移步吟詠]'의 동적인 과정에서 나타난 양자의 경물 인식과 완상 체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경물이어도 조망자의 문화 사유 양식에 따라 해석되는 경물의 함의와 공간인식이 달리 나타난다. 둘째, 송대 유가와 도가 사상문화가 융화 발전하는 과정에서 상대 사상의 장점을 섭수원용(攝受援用)하여 각자의 사상의 단점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비록 유가와 도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각 그들의 구경(究竟)의 종지(宗旨)에 따라 각 명제의 함의가 다름을 규명하였다. 셋째, 남송 성리학을 집대성한 유학의 대표, 주희에게 있어 무이정사와 무이구곡은 외물의 경계에 완상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모든 곳이 일상생활에서 도[理]와 합일되는 '자연합일'을 추구하는 강학처요, 구도처이다. 이는 유가의 학문 목적인 '복기성[復其性]'의 일환이며, 수려한 산수를 통해 '성정함양(性情涵養)'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남송 도교 금단파의 대표, 백옥섬에게 있어 지지암과 무이구곡은 태상원로부터 비롯한 유구한 연원을 가진 도교 도량으로 연단을 통해 성선(成仙)을 추구하는 청정 수행처이다. 이에 무이구곡에 남았는 도교 신화 전설과 관련해 이를 직접 인용하여 신선들의 향연과 신녀, 선태(仙蜕) 등을 등선(登仙)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인간세계를 완전히 초탈하여 우화(羽化)를 염원한다. 이에 무이산을 신선화, 선계화(仙界化)하여 그 안에서 자신 역시 신선이 되어 향유하는 의경과 주지로 시문을 관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호(2009). 「구곡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과 문화」. 제50호. pp.7-42.
  2. 이종호(2011).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안동학연구」. 제10집. pp.9-65.
  3. 전병철(2015). 「명대 楊亘의 「무이지」가 조선에 끼친 영향」. 한문학논집. 제42집. pp.265~288. https://doi.org/10.17260/JKLC.2015.42.42.265
  4. 王夫之. 「古詩評選」. 長沙: 岳麓書社. 1992.
  5. (明) 徐表然. 「武夷志略」. 明萬曆47年[1619]
  6. (清) 王懋竑撰. 「朱子年譜」. 清文淵閣四庫全書本
  7.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8.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9. (宋) 程顥, 程頤. 「二程文集」. 清文淵閣四庫全書本
  10.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11.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2.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3. (清) 鄭傑輯. 「閩詩録」. 清宣統三年刻本
  14.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5.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6.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7.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18. (清) 陳元龍輯. 「歷代賦彙」. 清文淵閣四庫全書本
  19. (春秋戰國) 莊周撰, (晋) 郭象注. 「莊子」. 四部叢刊景明世德堂刊本
  20.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21.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22.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23.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24.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25. (淸) 董天工. 「武夷山志」. 清乾隆刻本
  26. (朝鮮) 李玄逸. 「葛庵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