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to Create Small-sized Cities as Local Contents: Focusing on the Case of 'Town-stay' in Korea and Japan

로컬콘텐츠로서의 소도시 만들기: 한국과 일본의 마을스테이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3.23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Due to the recent population decrease and urban decline,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induce qualitative changes in the city itself and create a differentiated development model. Local culture, based on its uniqueness and diversity, generates the expansion and ripple effect of various contents through creative utiliz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a new local content approach called "town-stay (village hotel)" that develops cultural content and creates a place-making in terms of creating a sustainable ecosystem with cultural vitality. While the uniqueness and creativity of individual content can make a region's attractiveness stand out, we have seen in the case of small-sized cities in Korea and Japan that content elements (place, story, people) can be materialized into area-level content called town-stay(village hotel). The local contents are densely presented in a specific area to increase visibility and expand into a variety of content that reveals regional connections. Local creators, who are the core actors, understand locality, induce active activities, and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promotes not only economic value but also community solidarity.

최근 인구감소와 도시 쇠퇴로 인해 도시 자체의 질적 변화를 유도하고 차별화 된 발전모델을 만드는 방안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문화는 고유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활용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확장과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활기가 넘치고,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조성하는 차원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장소만들기로서 '마을스테이(마을호텔)'라는 새로운 로컬콘텐츠의 접근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개별 콘텐츠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지역의 매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겠으나, 일부 소도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콘텐츠적 요소(장소, 이야기, 사람)를 마을스테이라는 면(area) 단위 콘텐츠로 구체화함으로써 밀도 있게 제시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 연결성을 드러낸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 주체인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성을 이해하고 능동적 활동을 유도하며,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연대를 도모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지은, 2021, 장소성을 구현하는 문화매개자로서 "로컬크리에이터" 연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혁주, 2020, 로컬크리에이터의 등장, 비로컬.
  3. 김홍기, 2020, "전통마을의 빈집 재생,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일본 담바사사야마시(丹波篠山市) 고민가 재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2(4), pp.1-8. https://doi.org/10.14577/kirua.2020.22.4.1
  4. 문화체육관광부, 2023, 문화로 여는 지방시대: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 전략(2023.03.).
  5.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2023,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 사업 안내자료.
  6. 이병민.남기범.정수희.정지은.김혜지, 2022, 문화기반 중소도시 발전전략: 로컬크리에이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7.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pp.365-386.
  8. 정수희, 2022a, "로컬과 청년의 관계맺음", 2022 지역문화 정책 포럼 - 전환기 시대, 향후의 지역문화정책의 방향 자료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한국지역문화학회.
  9. 정수희, 2022b, "문화유산과 지역의 새로운 관계맺음 -'일본유산(Japan Heritage)'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25, pp.73-104.
  10. 정수희.이병민, 2016,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8(4), pp.55-80.
  11. 정수희.이병민 역, 2023, 로컬콘텐츠와 지역재생, 씨아이알. (= 増淵 敏之(마스부치 토시유키), 2018, ロ一カルコンテンツと地域再生-観光創出から産業振興へ, 水曜社).
  12. 정수희.이병민, 2023, "'로컬'의 인문학적 의미와 실천을 통한 지역발전 - 한국과 일본 '로컬크리에이터'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아태연구 30(1), pp.5-42. https://doi.org/10.18107/JAPS.2023.30.1.001
  13. 통계청, 각 년도, 주민등록인구현황.
  14. 허동숙, 2022, "지역 유소년 인구 감소와 교육 서비스 환경의 변화," 한국교육논총 43(3), pp.245-277.
  15. Bell, D. and Jayne, M., 2009, "Small cities? Towards a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3(3), pp.683-699. https://doi.org/10.1111/j.1468-2427.2009.00886.x
  16. Boggs, J. S. and Rantisi, N. M., 2003, "The 'relational turn' in economic geography",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3(2), pp.109-116. https://doi.org/10.1093/jeg/3.2.109
  17. Florida, R., 2017, The New Urban Crisis: How Our Cities are Increasing Inequality, Deepening Segregation, and Failing the Middle Class-and what We Can Do about it, Basic Books.
  18. Jayne, M., Gibson, C., Waitt, G. and Bell, D., 2010, "The cultural economy of small cities", Geography Compass 4(9), pp.1408-1417. https://doi.org/10.1111/j.1749-8198.2010.00380.x
  19. Kourtit, K., Nijkamp, P. and Wahlstrom, M. H., 2021, "How to make cities the home of people - a'soul and body' analysis of urban attractiveness", Land Use Policy 111(1), pp.31-56.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20.104734
  20. Kresl, P. K. and Ietri, D., 2016, Smaller Cities in a World of Competitiveness, London: Routledge.
  21. Lorentzen, A. and van Heur, B. (eds.), 2012, Cultural Political Economy of Small Cities, London: Routledge.
  22. Richards, G. and Duif, L., 2019, Small cities with Big dream: Creative Placemaking and Branding Strategies, London: Routledge (= 이병민.남기범.양호민.정선화.정수희.최성웅.허동숙 공역, 2023, 큰 꿈을 키우는 작은 도시들, 푸른길).
  23. Torre, A., 2008, A "'Spatial Turn' in History? Landscapes, Visions, Resources", Annales. Histoire, Sciences Socials 63(5), pp.1127-1144. https://doi.org/10.1017/S0395264900025440
  24. 마을스테이, https://town-stay.com/intro (최종열람일: 2023년 3월 22일).
  25. NIPPONIA, https://nipponia.or.jp (최종열람일: 2023년 3월 21일).
  26. OECD, 2023, Urban population by city size (indicator), doi: 10.1787/b4332f92-en (최종열람일: 2023년 3월 21일).
  27. Small City Economic Dynamism Index, https://www.communitycommons.org/entities/0765c115-8688-4af3-8386-c0c9124dede3 (최종열람일: 2023년 3월 20일).
  28. UNCTAD, https://hbs.unctad.org/total-and-urban-population/ (최종열람일: 2023년 3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