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mpany Sales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기업의 매출액 간 상관관계 평가

  • Hanmin Gu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Uihyun Hwang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Kabsung Kim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구한민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 황의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 김갑성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3.03.13
  • Accepted : 2023.04.11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o bridge the research gap in the are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of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chnolo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company sales. The size of the correlation is highest for 3D printing (139%), followed by big data (129%), cloud computing (127%), artificial intelligence (78%), and the internet of things (70%). We also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ternet of things and 3D printing, cloud computing and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and 3D printing when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introducing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company sales. This paper represents an early attemp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conomic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may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에 존재하는 간극을 메우고자,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기업의 경제적 성과 간 상관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 각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도입 여부는 기업의 매출액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했다. 상관관계의 크기는 3D 프린팅(139%), 빅데이터(129%), 클라우드 컴퓨팅(127%), 인공지능(78%), 사물인터넷(70%)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도입이 기업의 매출액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물인터넷과 3D 프린팅,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과 3D 프린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기업의 경제적 성과 간 상관관계를 살피는 초기적 시도로 향후 이와 관련한 실증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으로 지원되었음. 이 논문은 2019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당시 유익한 논평을 해주신 홍익대학교 윤주선 교수님과 중앙대학교 김승남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림. 초고의 교열에 도움을 준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이상원 님께 사의를 표함.

References

  1. Schumpeter, J.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Business.
  3. 기획재정부 (n.d.), 혁신성장이란, 2022년 7월 16일, Retrieved from https://www.moef.go.kr/pa/archiveInvGrowthNdNcssty.do
  4. Bresnahan, T. F. and M. Trajtenberg (1995), "General Purpose Technologies 'Engines of Growth'?" Journal of Econometrics, 65(1), 83-108. https://doi.org/10.1016/0304-4076(94)01598-T
  5. Rosenberg, N. (1982), Inside the Black Box: Technology and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Carlaw, K. I. and C. T. Bekar (2005), Economic Transformations: General Purpose Technologies and Long-Term Economic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7. Crafts, N.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GeneralPurpose Technology: An Historical Perspective,"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37(3), 521-536. https://doi.org/10.1093/oxrep/grab012
  8. Prajogo, D. I. and P. K. Ahmed (2006),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on Stimulus, Innov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R&D Management, 36(5), 499-515.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6.00450.x
  9. World Economic Forum (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10. Diaconu, M. (2011), "Technological Innovation: Concept, Process, Typology and Implications in the Economy," Theoretical & Applied Economics, 18(10), 127-144.
  11. 신민식.김수은 (2009), "기업혁신과 기업가치간의 관계," 「경영연구」, 24(4), 89-120. https://doi.org/10.22903/JBR.2009.24.4.89
  12. 성태경.김진석 (2009),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결정요인: 전북소재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대한경영학회지」, 22(4), 2017-2036.
  13. 김찬용.최예술.임업 (2015), "기업의 공동연구개발활동이 제품혁신 및 공정혁신에 미치는 영향: 음이항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연구」, 31(4), 107-128. https://doi.org/10.22669/KRSA.2015.31.4.107
  14. 구한민.김갑성 (2021), "코로나19가 가속화한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에 대한 고찰: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논문집」, 2(1), 18-24.
  15. 박문수.이동희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주요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연계성 현황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16. 김문선.황순환 (2005),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평가 및 기업성과지표와의 관계 분석," 「경영학연구」, 34(2), 549-568.
  17. 유세준 (2007), "정보화 수준 평가 요인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8(3), 79-105. https://doi.org/10.15719/GEBA.8.3.200709.79
  18. 이승민.신기윤.이정동 (2022), "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 생산성 간 관계 연구: 절대적 수준과 상대적 위치," 「한국혁신학회지」, 17(3), 251-280.
  19. 윤선중.서종현 (2021),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43(1), 51-83.
  20. 윤선중.서종현 (2021), "기술 중소기업의 경영 특성에 대한 고성장 기업 결정 영향 요인 분석: 4차 산업혁명 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6(6), 157-175. https://doi.org/10.16972/APJBVE.16.6.202112.157
  21. Lee, M., Kim, H. and H. Yoe (2018), ICBM-Based Smart Farm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 R. Lee (Ed.) Software Engine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ing and Parallel/Distributed Computing (pp. 42-56). Springer Cham.
  22. Cho, J., DeStefano, T., Kim, H., Kim, I. and J. H. Paik (2022), "What's Driving the Diffusion of NextGeneration Digital Technologies?" Technovation, 102477.
  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018 정보화통계집」, 한국정보화진흥원.
  24. 양울민.장군.김성훈 (2017), "R&D 활동과 기술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교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0(7), 1139-1157.
  25. Fisher, F. M. and P. Temin (1973), "Returns to Scal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What Does the Schumpeterian Hypothesis Impl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1), 56-70. https://doi.org/10.1086/260006
  26. Hill, R. C., Griffiths, W. E. and G. C. Lim (2018), Principles of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27. Halvorsen, R. and R. Palmquist (1980), "The Interpretation of Dummy Variables in Semilogarithmic Equations," American Economic Review, 70(3), 474-475.
  28.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9. 김상훈.김승민.황원식 (2020), 「4차 산업혁명 연관 기술 도입 효과와 관계성 분석」, 산업연구원.
  30. 장석인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구조 변화방향과 정책과제," 「국토」, (424), 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