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학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의 해결 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3rd Graders' Solving Processes of the Word Problems by Nominalization

  • 투고 : 2023.03.09
  • 심사 : 2023.04.12
  • 발행 : 2023.04.30

초록

명사화는 문법적 은유 중 하나로, 수식으로 변환해야 하는 대상의 수학화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과 함께 복잡하고 압축된 문장 구성으로 인해 문장 이해를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명사화가 실제 학생들의 문장제 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명사화 여부에 따른 사칙연산 문장제 8개를 제공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는 문제 이해 및 수식화 가능 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검사에 참여한 학생에게 명사화에 대한 사전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이해 단계에서 명사화 또는 탈명사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명사화의 유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성공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수식화 단계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사화가 문장제의 문제 이해 및 수식화 단계에서 교수학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문장제의 학습에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Nominalization is one of the grammatical metaphors that makes it easier to mathematize the target that needs to be converted into a formula,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problem understanding difficult due to complex and compressed sentence structures. To investigate how this nominalization affects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e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233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of eight arithmetic word problems with or without nominaliz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minaliz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oblem understanding and their ability to convert sentences to formulas. Although the students did not have any prior experience in nominalization, they restructured the sentences by using nominalization or agnation in the problem understanding stage. When the types of nominalization change, the rate of setting the formula correctly appeared high. Through this, the use of nominalization can be a pedagogical strategy for solving word problems and can be expected to help facilitate deeper understand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지, 백석윤(2020).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4(2), 231-257.
  2. 강화나, 백석윤(2009). 수학 문장제의 문장 구조에 따른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반응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63-80.
  3. 교육부(2020). 수학 1-2. (주)비상교육.
  4. 김선희(2004). 수학 문장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언어적.인지적 요인: 혼합물 문제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4(3), 267-281.
  5. 소지영, 주세형(2017). 과학 교과서의 '문법적 은유'를 중심으로 본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본질 탐색. 국어교육연구, 39, 119-158.
  6. 이관희, 장혜원(2021). '명사화'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계열성 분석:'비와 비율'단원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31(1), 17-34.
  7. 이관희, 장혜원, 맹승호(2021). 수학 및 과학의 사례에 근거한 국어 문법 기반 초등 교과 통합 교육의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 32, 101-111.
  8. 장혜원, 강윤지(2022). 명사화의 관점에서 수와 연산영역의 교과서 문장제 분석. 초등수학교육, 25(4), 395-410.
  9. 정려란(2018). 국어 문법적 은유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접근. 한국어문교육, 26, 97-126. https://doi.org/10.24008/klle.2018..26.004
  10. 조진수(2018). 문법적 은유를 활용한 수학 문장제 텍스트의 이해 과정 연구. 텍스트언어학, 45, 279-306. https://doi.org/10.22832/TXTLNG.2018.45..012
  11. Barwell, R. (2014). Mathematics and language. In P. Andrews, T. Rowland, & S. Brindley (Eds.), Masterclass in mathematics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pp. 75-86). Bloomsbury Publishing.
  12. Borromeo Ferri, R.(2018). Learning how to teach mathematical modeling in school and teacher education. Springer. 장혜원. 김은혜. 최혜령. 강윤지 역(2020). 수학적 모델링 어떻게 가르칠까? 경문사.
  13. Daroczy, G., Meurers, D., Heller, J., Wolska, M., & Nurk, H. C. (2020a). The interaction of linguistic and arithmetic factors affects adult performance on arithmetic word problems. Cognitive Processing, 21, 105-125. https://doi.org/10.1007/s10339-019-00948-5
  14. Daroczy, G., Artemenko, C., Meurers, D., Wolska, M., & Nuerk, H. C. (2020b). Influence of task characteristics on eye-movement patterns related to numerical and textual information in arithmetic word problems. Retrieved from https://doi.org/10.31234/osf.io/6mpcx
  15. Halliday, M. A. (1993). Towards a language-based theory of learning. Linguistics and Education, 5(2), 93-116. https://doi.org/10.1016/0898-5898(93)90026-7
  16. Holtz, M. (2009). Nominalisation in scientific discourse: A corpus-based study of abstract and research articles. In M. Mahlbert, V. Gonzalez-Diaz, & C. Smith (Eds.), Proceedings of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pp. 341-359). Liverpool: University of Liverpool.
  17. Kazemian, B., Behnam, B., & Ghafoori, N. (2013). Ideational grammatical metaphor in scientific texts: A Hallidayan perspective. International J ournal of Linguistics, 5(4), 146-168.
  18. Martin, J. R. (2008). Incongruent and proud: de-vilifying 'nominalization'. Discourse & Society, 19(6), 801-810.
  19. Mueller, B. M. (2015). Analysis of nominaliz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chool of Education and Leadership Student Capstone Theses and Dissertations. 247. https://digitalcommons.hamline.edu/hse_all/247
  20. Neri, N. C., & Retelsdorf, J. (2022). The role of linguistic features in science and math comprehension and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and desiderata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Review, 36, 100460.
  21. O'Halloran, K. L. (2005). Mathematical discourse: Language, symbolism and visual images. Continuum.
  22. Polya, G. (1973).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Schlager, S., Kaulvers, J., & Buchter, A. (2017). Effects of linguistic variations of word problems on the achievement in high stakes tests. CERME 10. 1364-1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