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호경(2020).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2), 223-237. https://doi.org/10.30807/KSMS.2020.23.2.003
-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 8].
- 교육부(2020.5.). 수학교육 종합계획 (2020년-2024년).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 김성원(2020).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논문.
- 김성원, 이영준(2017a). 프로그래밍 기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 모델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5(1), 261-262.
- 김성원, 이영준(2017b). Development of TPACK-P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2(7). 141-152.
- 김성원, 이영준(2018).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6), 49-59.
- 김성원, 이영준(2020).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on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7), 213-224.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7.213
- 김영기, 한소영(2002). 소마큐브와 T자형 퍼즐 중심의 LOGO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학 영재 교육. 수학교육논문집, 14, 395-403.
- 김예미, 고호경, 허난(2020).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4(4), 563-585.
- 김은정, 김선회, 남동수, 이태욱(2013). 스크래치를 활용한 PBL기반 수학 학습 컨텐츠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1(1), 309-312.
-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437-478.
- 박기철, 강성주(2014).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교원교육, 30(4), 349-375.
- 박대륜, 유인환(2018).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57-366.
- 박희숙(2018). 예비유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역량 탐색. 육아지원연구, 13(4), 227-250.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10
- 변윤성, 김선희(2020).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공학 도구 활용 자기연구를 통한 TPACK 변화 분석. 학교수학, 22(2), 373-394.
- 송정범(2017). 스크래치 활용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2), 199-208.
- 이도영, 정종인(2019). 중학교 수학 통계 영역과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융합수업이 문제해결력과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36-344. https://doi.org/10.5762/KAIS.2019.20.4.336
- 이서빈, 고상숙(2018).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3)의 효과. 수학교육학연구, 28(4)
- 임해미(2009).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4), 545-564.
- 임해미, 최인선(2019). Van Hiele 기하 학습 수준 이론에 따른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3), 257-275. https://doi.org/10.30807/KSMS.2019.22.3.005
- 최인용, 김화경, 이화영, 임해미(2021). 프랑스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 분석. 학교수학, 23(4), 617-646.
- 황우형(1999). 로고(LOGO)언어의 중등수학교육 활용방안. 수학교육, 38(1), 15-35.
- Agyei, D. D., & Voogt, J. (2012). Develop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desig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4), 547-564. https://doi.org/10.14742/ajet.827
- Angeli, C. & Valanides N. (200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igners: A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based on an expanded view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1(4), 292-302.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5.00135.x
- Baran, E., & Uygun, E. (2016). Putt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in action: An integrated TPACK-design-based learning (DBL) approach.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2), 47-63. https://doi.org/10.14742/ajet.2551
- Bocconi, S., Chioccariello, A., Dettori, G., Ferrari, A., Engelhardt, K. (2016).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EUR 28295 EN; doi:10.2791/792158.
- Forsstrom, S. E., & Kaufmann, O. T. (2018). A literature review exploring the use of programm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17(12), 18-32. https://doi.org/10.26803/ijlter.17.12.2
- Grover, S., & Pea, R. (2018). Computational thinking: A competency whose time has come. Computer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19(1), 19-38. https://doi.org/10.5040/9781350057142.ch-003
- Jimoyiannis, A. (2010).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science knowledge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uters & Education, 55(3), 1259-1269. https://doi.org/10.1016/j.compedu.2010.05.022
- Koehler, M. J., Mishra, P. & Yahya, K. (2007). Trac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knowledge in a design seminar: Integrating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49(3), 740-762.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1.012
-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 Papert, S. A.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