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Rickshaw in the Daegu Modern History Museum Collection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보존처리

  • Seo Yeonju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Uicheon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Park Junghae (Jin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 Lee Yeongju (Daegu Modern History Museum, Exhibition Division) ;
  • Kim Soochul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anl University of Culture Heritage)
  • 서연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이의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박정혜 (진성문화재보존) ;
  • 이영주 (대구근대역사관 전시운영과) ;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3.03.24
  • Accepted : 2023.05.1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assets are defined as a collective term for tangibl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produc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round the opening of Joseon to the present) in Korea. Among them, rickshaws have been used as a major means of transportation for about 40 years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s in Joseon. The repair process for rickshaws divides the rickshaw into three parts, namely the body, the cover, and the wheels, applying a plaster treatment process by referring to the outcomes of the condition assessment and material analysis for the metal, wood, fiber, and paint used. Overall, the repair process is carried out through dry/wet cleaning, joining, stabilization, reinforcement of damaged parts, and other restoration treatments, which reveal metal decorations and patterns on the scaffolding (flowers, arabesque patterns, etc.) that were previously not observable with the naked eye, while also adding to the stability of the artifact. In addition, props were produced to ensure the artifact's safe exhibition.

근·현대문화재란 우리나라의 근·현대기(개항기 무렵~현대)에 생산된 유형의 역사·문화적 자산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 중 인력거는 개항기 이후 약 40년간 우리나라 주요 교통수단으로 사용된 만큼 우리나라 근대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인력거 보존처리는 '몸체부', '덮개부', '바퀴부'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상태조사 및 금속, 목재, 섬유, 도료에 대한 재질 분석값을 참고해 보존처리 과정을 수립하였다.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 접합, 안정화처리, 결손부 보강 및 복원 과정으로 진행하였고, 보존처리 결과,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던 금속 문양 및 발판의 문양(꽃, 당초무늬 모양 등)을 노출 및 대상 유물의 안정성을 부여하였으며, 또한, 안전한 전시를 위해 전시용 지지대를 제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청,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사례 연구, p7, 문화재청, 대전, (2006).
  2. 국립문화재연구소, 근.현대 동산문화재 보존 관리 매뉴얼,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3).
  3. 강대일, 행정박물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보존방향, 보존과학회지 26, p69-76, (2010).
  4. 유지아, 조하진, 한예빈, 이현주.이상진.정용재, 플라스틱 작품 보존을 위한 열화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 p87-94,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1
  5. 장은혜, 최하얀, 근현대 유물의 보존처리, 문화재 보존연구 11, p6-19, (2014).
  6. 정용재, 유지아, 강대일, 플라스틱 작품의 보존 가치 및 세척제와 접착제의 효능 평가, 보존과학회지 29, p127-138, (2013). https://doi.org/10.12654/JCS.2013.29.2.04
  7. 한예빈, 김정흠, 범대건, 플라스틱 유물 보존을 위한 기본 조사 및 재료 특성에 관한 연구: '앨리스 한 봉지 - 눈 없는 물고기', 보존과학회지 34, p379-385, (2018).
  8. 이의천, 이영주, 김수철,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38, p133-143, (2022).
  9. 이규태, 개화백경 3, 신태양사, 서울, (1969).
  10. 조풍연, 서울잡학사전, 정동출판사, 서울, (1989).
  11. 박진호, 박지혜,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박물관 보존과학 26, p47, (2021).
  12. 이의천, 강민지, 박정혜, 김수철, 동국대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 과학적 분석 미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27, p137, (2022).
  13. 김수철, 박정혜, 장한울, 최재완, 안주영, 근.현대문화재 인력거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32, p203-213,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09
  14. 황진영,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덕온공주 집안 서대(犀帶)의 보존처리 및 특징, 박물관 보존과학 25, p5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