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Semiotic Analysis of Body Expression Image Shown in the Body Profile of Female Influencer's SNS

여성 인플루언서의 SNS 바디프로필에 나타난 신체표현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연구

  • 채정화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 조경숙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22.11.30
  • Accepted : 2023.01.04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emantic actions of body image symbolized in body expression images shown by micro-influencers body profiles to understand the body profile phenomenon of the MZ generation. As a result of collecting body profile data from micro-influencers, the body profile image types of female influencers on SN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thletic, Slim body, Natural, and, Glamorous. Images representing each type were analyzed using the Roland Barthes' Myth model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the semantic analysis, influencers were found to be very active and bold, emphasizing certain body parts according to the type of body image they pursue. Fashion is strategically used to emphasize these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ideology of a 'subjective modern woman' was commonly expressed through emphasis on visual sig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indirectly lead to the understanding the fashion culture expressed by the MZ generation and provide consumer information and essential data that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fashion market.

Keywords

References

  1. 강평미, 박길순. (2017). 사회성이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3(5), 1042-1050.
  2.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이수진, 서유현. (2018). 트렌드 코리아 2018. 서울:미래의 창.
  3. 김민경. (2010). 폭소노미를 활용한 이미지 검색의 효율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송, 김정열. (2021). 패션 온라인 쇼핑몰의 AI 추천 서비스 만족도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3), 15-26.
  5. 김민희. (2022). 바디프로필 경험자의 자기 효능감과 이미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소영, 양숙희. (2002).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이상적 신체미 (제1보). 복식, 52(7), 139-154.
  7. 김선영. (2017).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델의 다양성과 가치.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2), 51-65.
  8. 김윤배, 최길열. (2005). 시각 이미지 읽고 쓰기. 서울:미담북스.
  9. 김은진. (2022). 미디어 속 여성 스포츠의 서사와 재현 SBS 예능 <골 때리는 그녀들>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32(1), 7-49.
  10. 김형겸. (2016).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스트레스와 경쟁불안, 스포츠 자신감과의 관계 : 홈 & 어웨이 경기에 따른 다집단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길. (2018. 10. 29). '[IT 트렌드 바로 읽기] 2018트렌드, 인플루언서 마케팅 대세가 되다. 모비인사이드. 자료검색일 2021. 10. 10, 자료출처 https://www.mobiinside.co.kr/2018/10/29/ittrend-celebrity-2/
  12. 나무위키. (2022. 10. 08). 바디 프로필. 자료검색일 2022. 11. 30, 자료출처 https://namu.wiki/w/%EB%B0%94%EB%94%94%20%ED%94%84%EB%A1%9C%ED%95%84
  13. 박명근. (2018. 5. 12).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메가 인플루언서의 차이. Digital Marketing Curation. 자료검색일 2021. 10. 6, 자료출처 http://www.thedigitalmkt.com/understanding-the-difference-between-micro-influencers-and-mega-influenc/
  14. 박영원. (2003). 광고디자인 기호학. 서울:범우사.
  15. 박유진. (2008). 자기표현 도구로서 미니홈피 꾸미기 아이템의 이용 동기와 행태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5(3), 5-39.
  16. 박주석. (2017).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로 본 현대 건축의 특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진욱. (2021. 7. 14). 2030 사이 불어닥친 '바디프로필' 열풍...몸 가꾸고 뽐내고 MZ세대 '취향 저격'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22. 7. 23, 자료출처 https://www.mk.co.kr/economy/view/2021/671466
  18. 배연지. (2021).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상향 사회비교와 비합리적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MZ세대'의 나르시시즘 성향 및 물질주의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33-234.
  19. 서동미. (2009). 자기효능감 수준과 성격 6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손정희, 김찬석, 이현선. (2021).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77, 202-215.
  21. 신용재, 임명성. (2019). SNS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행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1), 3-22.
  22. 신홍섭, 김철중. (2021). SNS 마케팅 특성 및 인플루언서 특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호도의 매개효과 및 인게이지먼트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21(3), 181-192.
  23. 윤민향. (2020). 학이시습(學而時習), '사랑하기'를 통한 치유와 성장의 날갯짓 - 자기애(自己愛)와 방탄소년단(BTS) 열풍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35-264. https://doi.org/10.35504/KPH.2020..67.009
  24. 윤예원. (2022. 6. 13). MZ세대 새 스펙된 '바디프로필'... 탈모.현기증 등 부작용도 적지 않아.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22. 7. 19, 자료출처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2/06/13/MG6L6V6JSVESHEZZQWWMPFAPYE/
  25. 이경숙, 양통일. (2015). 댄스스포츠에 표현된 신체이미지의 상징성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3(2), 287-304.
  26. 이민선, 이현화. (2017). SNS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여성의 사회.심리적 외모 관련 태도, 신체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41(5), 858-871.
  27. 이상구. (2020). 라이프스타일로 마케팅하다. 서울: 라온북.
  28. 임민정. (2016). 패션광고에서의 고령여성모델이미지 기호학적 분석 -해외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7(4), 383-400.
  29. 정경희, 이미숙, 제레미 스콧 비셋. (2018).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나타난 하이패션의 일상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533-554.
  30. 정수진. (2020).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액티비즘 - 이상미 해체 현상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 55-72.
  31. 정철용. (2004. 3. 9). 현대의 신화, 뒤집어 읽기. 오마이뉴스. 자료검색일 2022. 5. 4, 자료출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73440
  32. 최윤아, 고일선. (2017). Walker와 Avant 방법에 근거한 여성의 성 주체성 개념분석. 성건강간호학회지, 23(4), 243-255.
  33. 한수경, 신승연, 이민구. (2019). MZ세대의 불필요한 지출 억제를 위한 정보제공 방식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663-1665.
  34. 한정민, 강혜승. (2014).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우유 패키지 디자인의 신화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44, 91-100.
  35. Barthes, R. (1995). 신화론(정현 역). 서울: 현대미학사.
  36. Bonson, E., & Ratkai, M. (2013). A set of metrics to assess stakeholder engagement and social legitimacy on a corporate Facebook page. Online information review. 37(5), 787-803. https://doi.org/10.1108/OIR-03-2012-0054
  37. Botsman. R. (2019). 신뢰이동 (문희경 역). 서울: 흐름출판.
  38. Cash, T. F., & Hrabosky, J. I. (2003). The effects of psychoeducation and self-monitoring in a cognitive-behavioral program for body-image improvement. Eating Disorders, 11(4), 255-270. https://doi.org/10.1080/10640260390218657
  39. Christofides, E., Muise, A., & Desmarais, S. (2009). Information control and disclosure on Facebook: Are they two sides of the same coin or two different process.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34, 1303-1314. https://doi.org/10.1089/cpb.2008.0226
  40. De Perthuis, K., & Findlay, R. (2019). How fashion travels: the fashionable ideal in the age of Instagram. Fashion theory, 23(2), 219-242. https://doi.org/10.1080/1362704X.2019.1567062
  41. Gaines, J., & Herzog, C. (1990). Fabrications Costume and the Female Body. New York : Routledge.
  42. Gillett, J., & White, P. G. (1992). Male bodybuilding and the reasser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A critical feminist perspective. Play & Culture, 5(4), 358-369.
  43. ITWorld 편집부. (2017. 7. 10). "국내 인터넷 이용자 68.7%, 인스타그램 이용"...DMC미디어. ITWorld. 자료검색일 2022. 12. 10, 자료출처 https://www.itworld.co.kr/news/105506
  44. Liberska, H., & Boniecka, K. (2016). Health behaviours and body image of girls in the second phase of adolescence. Health Psychology Report, 4(4), 287-293. https://doi.org/10.5114/hpr.2016.62302
  45. Lyons, K. (2018. 3. 22). What are micro-influencers and how are they different?. business2community. 자료검색일 2021. 10. 6, 자료출처 https://www.business2community.com/marketing/micro-influencers-different-02035661
  46. Richard, J. E., & Guppy, S. (2014). "Facebook: Intention." Asia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2), 1-5.
  47. Schilder, P. (1950). The image and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8. Sheldon, P., & Bryant, K. (2016). Instagram: Motives for its use and relationship to narcissism and contextual 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8, 89-97. https://doi.org/10.1016/j.chb.2015.12.059
  49. Sheldon, P., & Newman, M. (2019). Instagram and american teens: understanding motives for its use and relationship to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and interpersonal rejection. The Journal of Social Media in Society, 8(1), 1-16.
  50. Wallace, P. (1999). The Psychology of the Intern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Utz, S., Tanis, M., & Vermeulen, I. (2012). It is all about being popular: The effects of need for popularity on social network site use.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1), 37-42. https://doi.org/10.1089/cyber.2010.0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