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대면진료 관련 입법 현황과 법적 쟁점

Legislation Status and Legal Issues of Non-Face-to-Face Treatment

  • 김진숙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
  • 이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 Jinsuk, Kim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
  • Eol, Lee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 투고 : 2023.12.17
  • 심사 : 2023.12.27
  • 발행 : 2023.12.31

초록

상시적 대면진료를 허용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제21대 국회에서 5건이 발의되었으나 각 개정안마다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에 차이가 있고, 비대면진료에 대한 의료계의 반대 입장, 정치적 상황 등이 맞물려 현재 '계속 심사' 안건으로 계류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비대면진료의 안전성 확보의 첫 단계로서 의료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비대면진료에 대한 정부의 추진 의지가 강한 상황이므로 머지않아 의료법은 개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비대면진료 도입은 환자의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방향으로 제도화, 입법 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비대면진료의 대상 환자는 재진 환자 중심, 대상 질환은 만성질환 중심, 시행기관은 의원급 의료기관 중심, 비대면진료 수단은 최소한 화상시스템으로 제한, 의료인의 법적 책임은 의료인의 통제 범위 밖의 요인에 의한 사고에 대해서는 책임면제, 대면진료 요구권 마련 등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최소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우선 입법하고, 향후 연구와 평가 등을 통해 비대면진료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과 같이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mendment to Medical Law allowing permanent face-to-face treatment has been propo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with five different bills introduced. However, each proposed amendment focuses on different aspects, and the issue is currently in a state of 'ongoing review' due to factors such as opposition from the medical profession and political consideration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introduction of non-face-to-face treatmen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legislated prioritizing patient safety, certain directions are proposed. These include focusing on returning patients as the primary target, chronic diseases as the focal conditions, outpatient medical institutions as the implementing agencies, restricting non-face-to-face means primarily to video systems, and legally exemp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responsibility for incidents beyond their control. The proposed directions also emphasize establishing the right to demand face-to-face treatment. It is suggested to legislate initial standards that ensure a minimum level of safety and gradually expand the scope of non-face-to-face treatment through future research, evaluation, and similar step-by-step approache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2023.
  2. 권오탁, "비대면 진료 실행을 위한 법적 쟁점", 「의료법학」 제23권 3호, 대한의료법학회, 2022.
  3. 김승조, "입법절차에 있어서 입법부와 행정부의 협력관계", 「법제」 통권 514호, 법제처, 2010.
  4. 김유환, 「규제방식의 유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규제개혁위원회, 2008.
  5. 김진숙.오수현,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4권 1호,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8.
  6. 김진숙.임지연.강주현, 「비대면 진료 필수 조건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2022.
  7. 김진숙.임지연.강주현, 「원격의료 정책현황과 대응방안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2022.
  8. 백경희.박성진, "팬데믹(Pandemic) 기간 동안의 원격의료 허용 여부 및 그 범위에 관한 고찰", 「법학논총」 제43권,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9. 이 얼, "의료법상 직접진료 원칙과 그 예외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제22권 2호,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10. 이 얼, "의사의 진료거부의 정당한 사유에 관한 고찰-최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1권 3호, 대한의료법학회, 2020.
  11. 이삼열.정의룡.이은하, "시범사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사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7권 4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12. 이승준,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법제연구」 제47호, 한국법제연구원, 2014.
  13. 이원복, "원격진료 실시에 수반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의료법학」 제22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21.
  14. 장연화.백경희, "의사의 대면진료의무와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해석에 대한 소고", 「법학논집」 제17권 4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15. 정정길 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23.
  16. 현두륜, "원격의료의 허용 여부와 그 한계", 「의료법학」 제21권 3호, 대한의료법학회, 2020.
  17. 厚生労働省, 「オンライン診療の適切な実施に関する指針」, 2022.
  18. CMS, 「Digital Health Apps and Telemedicine in France」, 2023.
  19.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U.S.States and Territories Modifying Requirements for Telehealth in Response to COVID-19」, 2022.
  20. L'Assurance Maladie, 「La teleconsultation」, 2022.
  21. National Consortium of Telehealth Resource Center, 「Telehealth Policy in 2023」,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