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규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공경수(2019),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의 주요사업비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서울: 날리지웍스.
- 고용수 (2015), 「R&D의 혁신지향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 모색 : 발전적 평가(Development Evaluation)를 중심으로」,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김갑수 (2002), 「연구기획시스템의 Best Practice 모형에 관한 연구」,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다래.염시창 (2017),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교육 연구」, 39권, 제2호, pp.63-84.
- 김동엽.이삼열. (2011). "프로그램논리모형의 개념과 유형화에 관한 소고" 「한국정책학회보」, 제20권, 제1호, pp.269-301.
- 김일권.이병철.김소연.손동희 (2020). 「국가R&D사업의 과제기획 선정평가 체계 분석」,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 김용.한희정.이균형.이윤석.안승권 (2012). "연구개발(R&D)과제 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 방안". 정보관리연구, 제43권, 제4호, pp.69-96.
- 류동현 (2011), "국가 IT R&D 전략과제 선정을 위한 스마일 포트폴리오 모형", 국내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박노언.정미진 (2018), 「중소규모 정부R&D 신규 사업의 사전 검토 분석방법 고도화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박상욱(2020), 「과기정통부 기관평가 제도 개편에 따른 평가 적용 방안 연구」, 서울:서울대학교.
- 박영순.천경희.송영명 (2017), "CIPP 평가 모형에 기반 한 대학의 생애단계별 교수개발 프로그램 평가 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제55권, 제3호, pp.203-229.
- 박윤희. (2015). "논리모델에 근거한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의 성과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권, 제4호, pp.99-126.
- 배준희.박정규 (2019),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관한 주체별 비교연구", 「자원환경지질」, 제52권, 제3호, pp.243-250. https://doi.org/10.9719/EEG.2019.52.3.243
- 서지영.이민영.안형준.김지선 (2018),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정책 기능 강화 방안」,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오철호 (2020). "프로그램논리모형(이론기반 평가) 제대로 읽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30권, 제3호, pp.1-15. https://doi.org/10.23036/KAPAE.2020.30.3.001
- 오하나.오세형.박양수.한상배 (2019). "정부 신약개발지원사업 선정 평가지표 적절성 분석연구", 「정책개발연구」, 제19권, 제2호, pp.41-73. https://doi.org/10.35224/KAPD.2019.19.2.002
- 이도형 (2010),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이병민 (2011), "연구기획 및 연구우선순위 평가기법."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30-245.
- 이석민. (2011), "프로그램논리모형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8호, 제1호, pp.211-242. https://doi.org/10.17089/KGR.2011.18.1.009
- 이윤빈.윤지웅 (2014). "대형 R&D사업 사전평가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89-308.
- 이종성 (2001), 「연구방법 21 : 델파이 방법」, 서울 : 교육과학사
- 이종원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445-453.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445
- 이창희.박경순 (2011), "논리모형을 통한 현장중심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재활복지」, 제15권, 제2호, pp.75-98.
- 임현.한민규 (2014), 「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기반 강화를 위한 미국 R&D 프로그램 기획 사례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장안서. (2022). "CIPP 모형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사업 평가지표 개발 연구 -델파이 조사-", 「평생교육.HRD연구」, 제18권, 제4호, pp.23-45.
- 정근하 (2010), 「국가 과학기술적 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기획에 관한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정선정.이문수 (2019), "직업훈련 심사평가 변천과 사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8권, 제6호, pp.137-187.
- 최광학.조근태 (2007), "기업의 연구개발과제 선정평가 모델에 관한 사례 연구", 「산업공학」 제20호, 제3권, pp.376-386.
- 최정민.이동명 (2017). "중소기업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선정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해양중소벤 처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제32권, 제2호, pp.169-189. https://doi.org/10.35372/KMIOPR.2017.32.2.007
- 홍사균 (199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체계 및 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No. 4, pp.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 Renger, R. and C. Hurley (2006), "From theory to practice: Lessons learned in the application of the ATM approach to developing logic models".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Vol. 29, No. 2, pp. 106-119. https://doi.org/10.1016/j.evalprogplan.2006.01.004
- Stufflebeam, D. L. (1997), Educational evaluation and decision making. Ithaca, Illinois: Peacock.
- Stufflebeam, D. L. and A. J. Shinkfield (2007). Evaluation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 WKKF(W. 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