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챗봇 활용 수학 프로젝트 학습이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 투고 : 2023.02.02
  • 심사 : 2010.02.23
  • 발행 : 2023.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ject learning using chatbo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1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gi-do. Classes were held after school for a total of 6 hour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es consiste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knowledge, OBT application for Kakao i open builder, guidance on how to create chatbots, and chatbot production practice.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antitative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ncreased in all three grades. In the case of second-year students who set up a comparison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I literacy result, and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male students.

키워드

과제정보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20S1A5A2A01042564)

참고문헌

  1. 경승현(2019). 챗봇 주문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유용성, 유희성 관계에서 지 각된 의인화의 조절효과-티커머스(TV홈쇼핑)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자상거래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9). 인공지능(AI)국가전략. 세종:저자. 
  3. 고권태, 이효영(2020). 인공지능 챗봇의 중국어 교육 활용 방안 탐색. 중국학(구중국 어문론집) 72, 215-233. 
  4. 교육부(2020).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 종합계획(2020-2024). 
  5.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6. 구종서(2015). 독자적 연구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수학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원, 이영주(2020). 한국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8. 김윤정, 김민정(2015).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 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7(2), 229-252.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2.229
  9. 김혜정, 유성애, 김은영 (2020).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 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Brain, Digital, & Learning, 10(4), 535-545.  https://doi.org/10.31216/BDL.2020.10.3.535
  10. 도윤미(2022).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 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민경모, 유준희(2022). Doc2Vec을 이용한 중학교 과학 질문-답변 챗봇 개발 및 학 생 질의 분석,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1(3), 115-145.  https://doi.org/10.54346/sjer.2022.31.3.115
  12. 민윤정, 안재경, 김소영 (2020).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학습용 챗봇 사용의도와 영 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169-190. 
  13. 박우용(2020). 고등학교 기후변화 동아리 프로젝트 활동이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 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호(2021). 국내 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에듀테인먼트연구, 3(2), 51-62. 
  15. 박효선(2016).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 절,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손원성(2020). 인공지능(AI)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SW교육 수업안 개발: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4(5), 93, 453-462. 
  17. 서소담 김정렬(2022). Dialogflow를 이용한 영어 교과서 연계 과제형 챗봇 개발: TBLT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 801-816. 
  18. 신동광(2019). 인공지능 챗봇의 영어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Brain, Digital, & Learning9(2), 29-40. 
  19. 신혜진(2014).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창의적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 석사학위논문 
  20. 양환근, 이태욱(2020). 메이커 교육 기반 인공지능 챗봇 수업 개발. 한국컴퓨터정보 학회, 2020(7), 619-621. 
  21. 양혜경(2014).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방과후학교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한나(2022).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의 설계 효과 : 빅데이터 활용 역량과 학습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3. 이다겸, 김성원, 이영준(2021).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 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2(A)), 25-27. 
  24. 이동한(2018).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학습용 챗봇 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중등 영어교육, 11(1), 45-68. 
  25. 이영호(2021).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정보교육학회논 문지, 25(1), 71-79. 
  26. 이윤희(2017). 외국어로서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위한 상황인지 기반의 챗봇 설계 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 445-449. 
  27. 이재용, 이시훈, 권정현, 최준섭(2022).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상담 활용 사례 분석 및 학교 상담용 챗봇 개발. 초등상담연구, 21(3), 243-267  https://doi.org/10.28972/kjec.2022.21.3.243
  28. 이철현(2020). AI 시대 역량 함양을 위한 실과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향. 실과교육 연구 26(2), 41-64. 
  29. 임미가(2022). 챗봇 튜터를 활용한 AI 융합 발명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공업교 육학47(2), 198-222. 
  30. 장주연, 배진호(2021).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 학교 저학년 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3), 239-250.  https://doi.org/10.22368/KSECCE.2021.11.3.239
  31. 장진아, 박준형, 박지선 (2021) 인공지능 챗봇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챗봇 활용 현황 분석: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21(13), 729-743. 
  32. 전민기(2016). STEAM 프로젝트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정상윤, 윤석영, 박충식(2017). 챗봇 제작을 통한 SW교육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8), 143-145. 
  34. 정승열(2022). 피지컬 컴퓨팅 활용 인공지능 기초 교과 수업이 학습동기와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정종호(2022).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고등학교 기계학습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 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진세언(2018). 블록코딩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컴퓨팅사고력 변화 분석. 공주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최서원, 남재현(2019). SW 교육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활용. 한국정보통신학회 23(12), 1693-1699.  https://doi.org/10.6109/JKIICE.2019.23.12.1693
  38. 최승권, 권오욱, 이기영, 노윤형 황금하, 김영길(2017). 챗봇과 대화시스템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 한국정보처리학회 24(1), 958. 
  39. 한민영(2021). 챗봇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한선관(2020). 인공지능 소양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12), 93-10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12.093
  41. 한시내(2022). 통계 프로젝트 학습이 고등학생의 통계적 사고와 통계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선주, 조보경, 최인선, 박경진(2020).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의 개념 및 활용. KICE포지션페이퍼, 12(3), 1-38. 
  43. 홍선호, 윤택남, 이삭, 오은진(2021). 초등영어교육에서 음성대화형 챗봇 활용 방 법론 탐색 및 효과. 한국초등교육, 31(5), 31-55.  https://doi.org/10.20972/KJEE.31..202101.31
  44. Duri Long, Brian Magerko(2020). What is AI Literacy? 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Proceedings 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6. 
  45. Fried-Booth, Diana (1987). Project work.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6. Fryer, L., & Carpenter, R. (2006). Bots as language learning tools.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0(3), 8-14. 
  47. Holmes, W., Bialik, M., & Fade, C.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romises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Boston, MA: The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48. Luckin, R., Holmes, W., Griffiths, M., & Forcier, L. B. (2016). Intelligence Unleashed: An argument for AI in Education. London: Person Education. 
  49. Katz Lillian G., Chard Sylvia C.(1998)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 New Youk, Ny: Ablex. 
  50. Smutny, P., & Schreiberova, P. (2020). Chatbots for learning: A review of educational chatbots for the Facebook Messenger. Computers & Education, 151, 103862. Retreieved from https://doi.org/10.1016/j.compedu.2020.103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