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in Multiple Casualties

다수의 사상자 발생 재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yong-Jin Park (Dept, of Social Welfare & Counsel, Kaya University, Dept. of Disaster & Management, Inje University)
  • 박경진 (가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인제대학교 재난관리학과)
  • Received : 2023.01.20
  • Accepted : 2023.02.13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for improvement about disaster in multiple casualties. Results, It was checked out many problems that Triage is inconvenience in using and damaging. And it was turned out that firefighting resources are not being put efficiently in the right place. Therefore, We are proposed that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Location system of emergency activity resource in using App, Cope with a multiple casualties in using QR Code.

Keywords

References

  1. 강수, 윤성현, 정형민, 김지혜, 한승백, 김준식, 백진휘. 인천대교 버스추락 사고로 평가한 지역 재난의료체계, 대한응급의학회, Vol. 24, No. 2, pp 1-6, 2013.
  2. 김영석, 김형민, 소병학, 정원중, 차경만, 오미현, 정창욱. 훈련 전후 설문조사를 통한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병원 재난대응 훈련 프로그램의 경험, 대한응급의학회, Vol. 27, No. 6, pp 618-632, 2016.
  3. 박종찬, 이경열 재난의료지원팀 내 1급 응급구조사의 재난대비.대응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Vol. 23, No. 3, pp 19-31 2019.
  4. 박주옥. 재난 및 다중손상사고 발생 현황 및 관련 손상환자의 역학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5. 문형기, 김수현, 오상훈, 박규남, 김영민, 윤준성. 우면산 재난에 대한 일개 응급의료센터의 대응 및 교훈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 Vol. 24, No. 1, pp 7-13, 2013.
  6. 119구급대원 현장응급처치 표준지침, 특수상황 응급처치 표준지침 다수환자 발생 및 재난사고, 소방청, pp 331, 2022.
  7. 왕순주. 국가재난의료매뉴얼의 개발. 한국방재안전학회, Vol. 9, No. 1, pp 39-45, 2016. https://doi.org/10.21729/KSDS.2016.9.1.39
  8.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제20조, 행정안전부령 제361호, 2020.
  9. 이지은. 스마트폰 기반 재난 사상자 중증도 분류 교육기능성 게임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10. Heide A.. Disaster response : Principles of preparation and coordination. Toronto; Canada. C.V. Mosby Company, 363, 1989.
  11. 재난현장 표준작전 절차 402, 다수 사상자 대응절차, 소방청 pp 141-142, 2022.
  12. 윤지한. 재난현장에서의 다수사상자 중증도 분류에 대한 인식과 전문교육훈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4.
  13.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별표 7, 행정안전부령 제361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