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as Seen through the Articl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전경(典經)』의 기사(記事)를 통해 살펴본 대순사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경』 속 인물을 중심으로 -

  • Park Geon-woo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Received : 2023.10.31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igur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ir contents.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is a record of the beliefs and deeds of Kang Jeungsan, composed through the memories of the followers of Kang Jeungsan who followed the words of The Canonical Scripture. In other words, The Canonical Scripture is understood as the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that contains the religious deeds and teachings of Kang Jeungsan. It is divided into seven parts and 17 chapters. Those seven parts, some of which contain more than one chapter, are as follows: Acts, Reordering Works, Progress of the Order, Dharma, Authority and Foreknowledge, Saving Lives,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particular, The Canonical Scripture records the deeds of historical figures from both China and Korea, and this prominently includes the life history of Kang Jeungsan, and this is an especially pronounced feature of the sections Acts, Progress of the Order, and Prophetic Elucidations. In addition, each chapter describes the teachings and faith-inspiring acts of Kang Jeungsan and presents the gist of the Daesoon Thought while referring to the lives and actions of various historical figures. In this paper, introductions to the figures that appear in each section are provided to help readers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major figures introduc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value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is, a contribution is mad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Daesoon Thought by specifically explor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figures who appear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is a surprisingly underdeveloped area of study in Daesoon Thought.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典經)을 중심으로 전경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대순사상적 의의와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경은 상제의 말씀에 대해서 그 신앙과 행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경의 말씀을 따른 종도의 기억을 통해 구성되었다. 즉, 전경은 상제의 종교적 행위와 가르침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으로 이해된다. 이는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 등 총 7편 17장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상제의 일생을 담은 행록과 교운 및 교법 그리고 예시 등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 행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편에서는 상제의 가르침과 신앙적 행위를 서술하며, 다양한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내용을 들면서, 대순사상의 요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소개가 각 편에서 나타남으로써, 전경의 말씀과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적 대순사상의 종교적 가치와 연계하여 전경에 소개된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순사상의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전경』 속 인물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대순사상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고남식, 「「전경(典經)」 「제생(濟生)」편 연구: 강증산의 권능(權能).지혜(智慧)와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41,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1.0.63
  5. 고남식, 「연대기(年代記)로 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전경(典經)」구절의 양상과 의미: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와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44,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213
  6. 김성호, 「「전경(典經)」에 나타난 손병희(孫秉熙) 연구」, 「대순회보」 93,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9.
  7. 박건우, 「대순진리회의 국제개발협력 참여와 역할에 관한 시론적 연구」, 「대순사상논총」 45,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5.0.103
  8. 박인규, 「대순진리회의 도통군자상 유교 군자상의 이해를 통해」, 「대순회보」 132,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9. 백춘현, 「「전경」에 나타난 생명의 존재론적 위상」, 「대순사상논총」 45,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5.0.1
  10. 안신,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
  11. 왕쭝위, 「大巡思想中的宗教文化和谐精神」,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2.0.87
  12. 유수민,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5,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255
  13. 이경원, 「대순사상 연구의 현황과 전망」,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6
  14. 이영준.김진영, 「두 얼굴을 가진 영웅: 「전경」의 영웅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201
  15. 잔스촹,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99
  16. 전성기, 「주자(朱子)」, 「대순회보」 168,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5.
  17. 주소연.고남식, 「대순사상에 나타난 덕(德)과 그 실천수행: 강증산의 '천지대덕(天地大德)'과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38, 2021. https://doi.org/10.25050/jdaos.2021.38.0.1
  18. 주소연.고남식, 「아리스토텔레스와 강증산(姜甑山) 성사(聖師)의 덕(德)이론 고찰: 덕의 속성 및 목적성과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46,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189
  19. 주현철, 「대순사상(大巡思想)의 인간론 소고(小考)」, 「대순회보」 126,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1.
  20. 황의동, 「대순사상의 유교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9
  21. 《불교평론》https://www.budrevie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