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ical Changes and Visual Preferences of Floating Solar Photovoltanics - Focusing on EEG and SD Methods -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의 심리적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 - 뇌파(EEG) 및 SD법을 중심으로 -

  • Zhang, YuJi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eay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eo, Seonghyeo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03.06
  • Accepted : 2023.04.12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Solar power facilities to reduce carbon emissions are continuously being installed in forests, farmland, city, and on water. However, research on visual preferences and the psychological impact on observers after installing solar power facilit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shoo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of the near, middle, and distant views of Hapcheon Dam, Korea's largest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The acquired images were edited using Photoshop to compa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addition, psychological changes and visual pre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an EEG test and questionnaire among 50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allation of wat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s a passive impact on the subjects' psychological changes and visual preference. Second, the psychological changes due to the installation of wat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ere judged to affect almost all research subjects, regardless of nationality, gender, or universisty major. Third, the visual preference for installing the wat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low,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wat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negatively affecting the "friendliness" and "naturalness" of the landscape. In addition, this change in visual preference was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gender and universiity major of the subjects. Fourth,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visual preference of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found that the close range had a higher effect than the middle and distant ranges.

탄소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태양광발전시설은 산림, 농지, 도시, 수상 등에 우후죽순처럼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 이후 관찰자에게 미치는 시각적 선호도 및 심리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발전시설 합천댐을 대상으로 근경, 중경, 원경의 시(視)거리에 따라 촬영을 실시하였다. 획득한 이미지를 포토샵을 통해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을 유무에 대해 비교하여 총 50명 연구 대상자의 뇌파(EEG) 및 설문지 분석을 통해 수상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전후의 심리적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에 따라 연구 대상자의 심리적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에 소극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둘째,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심리적 변화는 연구대상자의 국적/성별/전공과는 상관없이 거의 모든 연구대상자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는 낮으며, 이는 수상 태양광발전시설로 인해 경관의 '친근성' 및 '자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런 시각적 선호도의 변화는 연구대상자의 성별/전공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視)거리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시설이 관찰자에게 끼치는 심리적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는 근경이 중경과 원경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아(2008) 부산 해안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지용, 송재준, 이지은(2011) 태양광발전소의 입지에 따른 환경문제 해결방안. 한국환경기술학회지 12(2): 141-147.
  3. 김명호(2011) 시각적 자극에 의한 뇌파 기반 생체신호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관리학회지 16(1): 61-66.
  4. 권태흔, 김정용, 김의경, 홍성규(2022) 수위변화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발전량 영향.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42(2): 13-21.
  5. 권영한, 김지영, 이민주(2008) 환경성을 고려한 태양광․풍력발전소 입지 선정 가이드라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노태호, 이후승(2019)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쟁점의 허와 실-팩트체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7. 문경도(1989)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형욱(2022) 수상태양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 사공정희(2018) 충남의 태양광발전시설 현황 및 생태적․경관적 대응 전략. 충남리포트 Vol. 295.
  10. 서주환, 황지희(2012) 도시가로변 가설시설물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주․야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지 (22): 25-34.
  11. 신정철, 신지훈(2003)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용도지역별 경관계획 기준 연구. 국토연구원.
  12. 황민철, 류은경, 변은희, 김철중(1997) 감성과 뇌파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 한국감성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0-84.
  13. 임승빈, 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9): 153-161.
  14. 장영호(2019) 공공건축 및 공동주택 등의 태양광발전시스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안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14(4): 119-126.
  15. 주진철, 허남주, 최선화, 이승헌(2018) 국내외 수상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현황 및 주요 쟁점. 대한민국수자원학회지 51(11): 34-41.
  16. 최윤의, 이정아, 전진형(2013) 하천의 물리적 구조에 따른 하천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비교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5(3): 301-315. https://doi.org/10.17663/JWR.2013.15.3.301
  17. Brown, T. C. and T. C. Daniel(1986) Prediciting scenic beauty oftimber stands. Forest Science 32(2):471-487. https://doi.org/10.1093/forestscience/32.2.471
  18. Bell, P. A., J. D. Fisher and R. J. Loomis(1978) Enbironmental Psyc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 pp. 1-20.
  19. Holahan, C. J.(1982) Environmental Psychology. Transatlantic Book Service: London. Psychological Medicine 13(1): 219-220.
  20. Edward, O. W.(1984) Biophilia. Harvard University Press.
  21. Hashimoto, Y., T. Nishioka, N. Umemiya and R. Okura(2003) The effects of traffic noise: An EEG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69(570):1-6.
  22. Jasper, H. H.(1958)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0: 371-375.
  23. Kaplan, S.(1979) "Perception and landscape: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in Nasar, J. l.(1988) ed., Environmental Aesthe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5-55.
  24. Kim, M., S. H. Cheon and Y. Kang(2019) Use of electroencephalography(EEG) for the analysis of emotional perception and fear to nightscapes. Sustainability 11(1): 233.
  25. Niedermeyer, E. and F. H. Lopes da Silva(2005) Electroencephalography: Basic Principles, Clinical Applications, and Related Fields (5th ed.). Lond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6. Shuttleworth, S.(1980) The use of photographs as an environmental presentation medium in landscape studi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1):61-76.
  27. Wohlwill, J. F.(1976) Environmental Aesthetics: The Environment as a Source of Affect.
  28. 환경부(2021) me.go.kr/home/web/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