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Yongsan Family Park - Based on the Public Records of Seoul -

용산가족공원 조성 과정의 특성과 의미 - 서울시 기록을 중심으로 -

  • 최혜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상민 (건축공간연구원) ;
  • 길지혜 (이코모스한국위원회) ;
  • 김정화 (네바다대학교 라스베가스 건축대학) ;
  •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 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 Received : 2022.10.03
  • Accepted : 2022.10.25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e ongoing Yongsan Park development project began in 1988 with the development of a utilization plan for the US Army base in Yongsan after the Army relocation.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Yongsan Park project by focusing on Yongsan Family Park. Among the public records of Yongsan Park and Yongsan Family Park transferr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53 major rec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ngsan Family Park, built on the site of the US Army golf course in 1992, was considered a part of the Yongsan Park plan and holds status as the first phase of the Yongsan Park project. Second, despite its status, Yongsan Family Park opened as a temporary park occupied by urban facilities. A design and detailed roadmap of the development process is necessary to make Yongsan Park more resilient. Third, organizing and systematizing public records is necessary because lessons learned through past park development processes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project.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uncovered important issues of urban planning discussed in the process of Yongsan Family Park development through a complete analysis of public records,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Yongsan Family Park, which was not known until now, and the ongoing Yongsan Park project, and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park archiving for long-term development projects.

1988년 대통령의 지시로 시작된 용산공원 조성 사업은 용산 미8군 기지의 이전 후 이전적지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면서 시작되었으나 대내외적 상황 변화로 여전히 설계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1992년 미군기지 일부에 조성된 용산가족공원의 조성 과정을 살펴 현재 진행 중인 용산공원 프로젝트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작되었다. 서울기록원에 이관된 용산공원 및 용산가족공원 관련 공공 기록물 중 주요기록물 53건을 최종 분석하여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했다. 첫째, 용산 미8군 반환 기지 전체에 대한 공원 계획뿐 아니라 그 일부인 골프장의 공원화 계획 또한 중요하게 다뤄진 사실을 보았을 때, 미8군 골프장 부지에 조성된 용산가족공원은 용산공원의 1단계 사업으로서 위상을 가진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산가족공원이 임시적으로 개장되고, 그 결과 시설에 잠식당할 수밖에 없었던 사실을 바탕으로, 반환 부지의 임시 공원화가 추진되고 있는 현재 용산공원 조성 과정에서 온전한 공원 조성을 위한 정교한 로드맵과 조성 과정의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과거의 기록을 통해 현재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간 진행되는 사업의 경우 더욱 공원 조성 과정에 대한 기록과 기록물의 정리 및 체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 기록물의 전수 조사를 통해 용산가족공원 조성 과정에서 논의된 도시계획의 중요 이슈를 발굴한 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용산가족공원과 용산공원의 연계성을 살폈다는 점, 현재 진행 중인 용산공원 조성 사업 과정에서 공원 아카이빙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21)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 계획. 국토교통부 고시용 보고서.
  2. 국토해양부(2011)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국토해양부 고시용 보고서.
  3. 길지혜, 박희성(2020)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8(2): 20-33.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4. 김윤순(1989) 경향신문 1989년 5월 12일자, 3면.
  5. 김정화, 길지혜, 서영애, 박희성, 최혜영, 이명준(2022) 서울기록원 소장 남산공원 기록물의 현황과 내용. 한국조경학회지 50(6): 110-123.
  6. 서울특별시(1989a) 용산 미8군 이적지 공원화계획 추진내용 통보. 서울기록원 소장.
  7. 서울특별시(1989b) 용산 미군 골프장 처분계획 송부. 서울기록원 소장.
  8. 서울특별시(1989c) 미군 용산골프장 처분 협의 통보. 서울기록원 소장.
  9. 서울특별시(1990a) 용산군이적지 활용방안과 기본계획 수립 용역계획(안). 서울기록원 소장.
  10. 서울특별시(1990b) 국유재산(미8군 골프장부지 일부) 매매계약서 체결 통보. 서울기록원 소장.
  11. 서울특별시(1990c) 용산 미 8군 골프장부지 매수계획. 서울기록원 소장.
  12. 서울특별시(1990d) 용산가족공원기본계획현상(안) 계획설명서. 서울기록원 소장.
  13. 서울특별시(1990e) 가족공원(가칭) 기본계획현상공모. 서울기록원 소장.
  14. 서울특별시(1990f) 용산 가족공원 실시설계 용역. 서울기록원 소장.
  15. 서울특별시(1990g) 용역 준공기한 연기 조치 의뢰. 서울기록원 소장.
  16. 서울특별시(1991a) 용산가족공원 조성계획 시달. 서울기록원 소장.
  17. 서울특별시(1991b) 용산 미8군 이적지 처리계획. 서울기록원 소장.
  18. 서울특별시(1991c) 용산공원조성추진계획보고. 서울기록원 소장.
  19. 서울특별시(1991d) 건설기술심의 요청. 서울기록원 소장.
  20. 서울특별시(1992) 용산공원 호수 급배수 시설도서 협조요청. 서울기록원 소장.
  21. 서울특별시(1996) 지적분할 동의 및 용산계획위원회 회의록. 서울기록원 소장.
  22. 서울특별시(1997a) 용산가족공원내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에 따른 계획 통보. 서울기록원 소장.
  23. 서울특별시(1997b) 용산가족공원이용 일부제한. 서울기록원 소장.
  24. 서울특별시(2022) 서울의 공원 현황 통계자료(2022.1.1.기준).
  25. 심지수, 이명준(2021) 서울시 기록물을 통해 본 공원 정책의 변화 경향 -텍스트 마이닝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서울도시연구 22(3): 59-74. https://doi.org/10.23129/SEOULS.22.3.202109.59
  26. 이명준, 김정화, 서영애(2019) 미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 동향과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6): 1-11. https://doi.org/10.9715/KILA.2019.47.6.001
  27. 최혜영(2020) 용산공원 조성 과정의 리질리언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최혜영(2022) 대형공원으로서 용산공원의 도시 연결성 향상 전략. 도시설계 23(1): 69-88.
  29. West8 and IROJE(2012) Healing: The Future Park. Design Report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
  30.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0년 7월 21일)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 95084191
  31. 토지이용계획열람 http://www.eum.go.kr/web/ar/lu/luLandDet.jsp